삼국(三國).고려 38

■ 삼천궁녀? 사료에 없는 거짓말! 역사왜곡 바로잡기

■ 삼천궁녀? 사료에 없는 거짓말! 역사왜곡 바로잡기 ● 삼천궁녀, 조선(朝鮮) 9대 성종(成宗) 때, 시조에 최초 등장. 백제(百濟) 역사에서 유명한 표현 중의 하나는 ‘삼천궁녀’(三天宮女)이다. 그런데, 삼천궁녀(三天宮女)라는 말이 처음 등장한 것은 조선(朝鮮) 9대 왕인 성종(成宗 1469-1494) 때, 김흔(金訢)의 시조가 최초이다. 그 이전까지, 삼천궁녀(三天宮女)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문헌이나 자료는 전혀 없었다. 결국, 궁녀(宮女)가 3,000명이라는 말은 역사 사료(史料)에는 전혀 없는 거짓말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다. 그래서, 충남 부여군은 백제(百濟) 역사 바로 잡기 사업에 나섰다. 부여군은 2022년 01월 18일 “백제 역사를 다시 쓴 책 3권을 2022년 02월 출간..

■ 남원 산성은 숨겨진 역대급 백제 산성

■ 남원 산성은 숨겨진 역대급 백제 산성 ● KBS 앵커 : 남원에서 백제시대 거물성으로 추정되는 산성이 발견되어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고 최근 전해드렸는데요. 성 둘레가 1.2 킬로미터에 달하는 초대형 산성이며, 백제는 물론 통일 신라 시대를 아우르는 성곽 양식을 갖추고 있어, 문화재적 가치가 아주 높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 리포트 : 백제시대 거물성으로 추정되는 산성입니다. 돌을 일정한 규칙없이 얼기설기 쌓아 올렸는데 전형적인 백제의 축성기법입니다. 1천 5백년이 지났지만, 형태가 온전합니다. 바로 옆에서는 커다랗게 다듬은 돌을 자로 잰 듯 층층이 쌓은 성벽이 나타납니다. 백제 패망 후, 철제 도구가 발달한 통일신라 시대에 쌓은 것으로, 서로 확연히 구분됩니다. 전문가들은 이 성을 우리..

[스크랩] 붉은 악마의 마스코트 배달국 치우(蚩尤) 천황

붉은 악마와 배달국의 치우(蚩尤) 천황 중국의 사마천(司馬遷)은 ‘사기’ 오제본기(五帝本紀)에서 “나는 일찍이…북쪽으로는 탁록(?鹿)까지 갔으며, 동쪽으로는 바다까지 가고 남쪽으로는 장강(長江)과 회수(淮水)를 건넌 적이 있었다”라고 광활한 중국 대륙을 답사한 사실을 전한다. 북경에서 서..

[스크랩] 하늘의 별이 된 `남이(南怡)장군`과 북정가(北征歌)

하늘의 별이 된 '남이(南怡)장군'과 북정가(北征歌) 출처: http://cafe.daum.net/do92 , dosu8888@daum.net 백두산석마도진 (白頭山石磨刀盡)이고, 두만강파음마무 (頭滿江波飮馬無)로다. 남아이십미평국 (男兒二十未平國)이면, 후세수칭대장부 (後世誰稱大丈夫)리요! ...... (태사부님께서 자주 부르시는 싯구) 백두산..

여자를 존중해 온 우리들의 전통문화

여자를 존중해 온 우리들의 전통문화 중국의 역사는 대부분 이민족이 들어와서 중국 대륙에 나라를 세웠고, 하(夏).은(殷)나라 이후 한 왕조가 300년 이상 지탱한 나라가 없었으며, 기껏해야 명나라 276년, 청나라 268년 유지했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역사는 신라만 해도 1000(992)년 왕국이고, 고려 500(457)년, 조선 500(519)년 유지했었다. 중국의 문화는 매우 호전적이고 침략적 기질이 강해서, 중국의 가족 문화는 부계중심의 가부장적 차별적 가족문화였다. 그러나, 한국의 문화는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材)를 잘 받들고 사람을 존중하는 기질이 강해서, 한국의 전통 문화는 아들. 딸. 친가. 외가를 차별하지 않는 평등의 가족문화로서 특히 여자를 존중하는 문화를 지켜왔다. 그러한 전통은 ..

[스크랩] ‘고구려’와 ‘고려’는 같은 나라였다.

고구려’와 ‘고려’는 같은 나라였다. 고려의 고구려계승에 대한 종합적 검토, 박용운 지음 | 일지사 너무나 당연하다고 생각됐기 때문에 정작 잘 모르는 역사적 문제가 있다. 고려(高麗) 왕조는 왜 ‘고려’ 인가? 고구려(高句麗)를 계승했기 때문에 ‘구’자를 뺀 ‘고려’라고 국명을 지었다는 것..

[스크랩] 자식 딸린 과부 소서노와 주몽, 재밌지 않은가?

자식 딸린 과부 소서노와 주몽, 재밌지 않은가? 민족 자긍심에 호소한 동북공정 반박이 아니다. 말 되는 고구려 드라마로 공감 불러일으키고 싶어” 요즘 TV 드라마를 장악한 것은 출생의 비밀, 엽기적 캐릭터 같은 것들이다. 고구려 건국 신화를 다룬 MBC 60부작 드라마 ‘주몽’의 시청률 고공행진은 ..

[스크랩] "姜邯贊 장군은 강감찬이 아니라 강한찬 장군"

"姜邯贊 장군은 강감찬이 아니라 강한찬 장군" ◆ 출처 : --> 2006-04-13. 동아일보. 강감찬 장군1010년과 1018년에 걸친 거란의 침략을 막아냈으며, 특히 우리나라 대외항전사상 나라를 구한 결정적 전투의 하나로 꼽히는 귀주대첩을 승리로 이끈 고려시대, 강감찬(姜邯贊, 948~1031) 장군. 국사교과서에 그의 ..

■ 족보(族譜)의 역사와 임진왜란 및 위조 족보

■ 족보(族譜)의 역사와 임진왜란 및 위조 족보 1. 임진왜란 이후의 족보와 신분 변화 2. 우리나라에서의 족보의 기원 3. 우리나라의 “성(姓)”과 “씨”의 기원 4. 우리나라의 “성(姓)”과 “씨”의 종류 5. 중국에서의 족보의 기원 6. 외국의 성씨와 족보 및 한국의 여성존중 7. 백두산과 한라산은 여자 존중의 표상! 8. 여자를 존중하는 한국문화와 결혼제도 1) 여자를 존중해 온 우리들의 전통문화 2) 우리나라의 결혼제도와 여자에 대한 존중 1. 임진왜란 이후의 족보와 신분 변화 원래, 조선 개국(1392년)에서 임진왜란(1592~1598년) 때까지는 양반이 전체인구의 10% 정도였다. 그런데, 임진왜란(壬辰倭亂)이 끝나면서 신분제의 동요가 일어나게 된다. 양반들이 나라를 지키지 못하고 도망질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