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역사.문화 20

■ 커피의 기원과 조선에 도입된 시기 및 역사 기록

■ 커피의 기원과 조선에 도입된 시기 및 역사 기록​ ● 커피의 기원 : 6세기경 아프리카 에티오피아(Ethiopia) 지역에 살던 ‘칼디’(Kaldi)라는 양치기는 가뭄이 계속되자 평소 가지 않던 먼 곳까지 염소 떼를 몰고 갔다. 그런데 얼마 후, 칼디는 한 무리의 염소들이 평소와는 달리 비정상적으로 흥분하고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사실을 알아차렸다. 그 염소들을 자세히 관찰한 결과, 염소 입 속에 빨간색 열매를 넣고 아작아작 씹는 것을 발견했다. 궁금해진 칼디는 염소들이 먹는 열매를 직접 따먹어 보았다. 잠시 후, 칼디(Kaldi)는 자신도 마구 춤출 것처럼 기분이 좋아지는 것을 느꼈다. 바로 인류가 처음으로 커피의 효능을 알게 된 순간이었다.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커피는 아랍으로 전파되면서 본격적..

■ 젊은 20대가 제사(祭祀) 차례(茶禮) 거부하는 이유

■ 젊은 20대가 제사(祭祀) 차례(茶禮) 거부하는 이유 ● 젊은 20대 중에서 64% "제사(祭祀) 지내지 않겠다" “전통적인 제사는 하지 않을 거 같아요. 돌아가신 분을 기억하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어머니가 제사(祭祀) 차례(茶禮) 준비로 고통받는 것을 지켜보기 힘들었다는 대학생 이연지(24)는 제사(祭祀) 차례(茶禮) 문화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MZ세대 (millennium 2000년 전후 세대)는 추석 차례(茶禮) 등 제사(祭祀)는 절차 보다 고인을 기억하는 데 의미를 둬야한다고 생각한다. 제사(祭祀) 상을 차리고, 절을 올리는 것이 불필요한 형식일 뿐이라고 생각하는 이들이 많다. 2021년 05월 정부가 발표한 4차 가족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대의 64%가 제사..

■ 땅 속에서 훈민정음 금속 활자들이 쏟아졌다.

■ 땅 속에서 훈민정음 금속 활자들이 쏟아졌다. ● 기록만 전하던 과학 유산 실물 대거 발견, '세계적인 사건' 평가 "대단한 사건입니다. 깜짝 놀랄 만한 일이죠. 기다리던 유물이 나온 것 같아서 매우 기쁩니다." 서지학자인 한국학중앙연구원 옥영정 교수는 2021년 06월 29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서울 인사동 피맛골에서 무더기로 나온 조선 전기 금속 활자 1천 600여 점을 평가해 달라는 요청에 이같이 답했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서울 인사동 유적에서는 매우 희귀한 조선 전기 금속 활자뿐만 아니라 그동안 기록으로만 전하던 천문시계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부품과 물시계 옥루 혹은 자격루의 부속품인 '주전'(籌箭)으로 추정되는 동제품까지 한꺼번에 출토됐다.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이번 발굴이 구텐베르크 인..

■ 인간이 갖춰야 할 덕목 싸가지, 인의예지(仁義禮智)

■ 인간이 갖춰야 할 덕목 싸가지, 인의예지(仁義禮智) ● “싸가지가 없다!” 라는 말이 있다. 과연, "싸가지"란 무슨 뜻일까? ★ 인(仁) 의(義) 예(禮) 지(智), 네 가지가 없는 사람을 "사(四)가지 없는 놈"이라고 칭했다. 그리고, 이것이 변하여 "싸가지 없는 놈"이 되었던 것이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모두 사가지 (싸가지) 덕목을 잘 지켜야 남으로부터 신뢰감을 받을 수 있다 ● 오상(五常)이란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을 말하며, 인간이 갖춰야 할 다섯가지 기본 덕목을 뜻한다. ● 맹자(孟子)는 인간이 본래부터 선(善)한 마음을 가지고 태어난다는 성선설(性善說)을 주장하며, 인의예지(仁義禮智)를 생활 실천 철학으로 강조했다. ★ 인(仁)은 측은지심(惻隱之心)으로, 불쌍한 것을..

■ 조선시대 타임 캡슐, 이재난고(頤齋亂藁)

■ 조선시대 타임 캡슐, 이재난고(頤齋亂藁) ● 현존하는 조선시대 일기(日記)류 기록 중 최대·최다 사료, 530만자 분량 조선 후기 실학자 이재(頤齋) 황윤석(1729-1791년)이 평생에 걸쳐 기록한 백과전서 '이재난고'(頤齋亂藁) 일부가 황윤석의 고향인 고창군으로 돌아온다. 고창군은 황윤석의 8대 종손 황병무씨는 이재난고(頤齋亂藁)와 이재유고 목판 100점을 최근 고창군에 기탁. 기증했고, 이에 감사와 그 의미를 널리 알리기 위해 오는 2021년 04월 30일 기탁. 기증 행사를 연다고 2021년 04월 26일 밝혔다. 이재난고(頤齋亂藁)는 실학자 황윤석이 열 살 때부터 작고하기 이틀 전까지 53년 동안 조선 시대의 온갖 다양한 정보들을 상세히 기록한 일기류 기록이다. 전북도 유형 문화재 제111호..

[스크랩] 구변지도(九變之道) 끝에 이루어지는 `대한`과 개벽

구변지도(九變之道) 끝에 이루어지는 '대한'과 개벽 9천년 역사를 이어온 우리 한민족의 국운을 예언한 위대한 인물이 있다. 바로 고조선 6대 달문 단군 때의 신지神誌 발리發理이다. 그는 대우주의 조화옹하나님이신 삼신상제님을 예찬하고 한민족사의 뿌리 되는 역대 열성조의 성덕과 치적을 칭송하..

[스크랩] 왜 제사상에 조기를 빠지지 않고 올렸을까?

왜 제사상에 조기를 빠지지 않고 올렸을까? 임금님 수랏상에 올라가고 조상님 제사상에도 빠지지 않고 올라가는 고기가 조기다. 동해에서 잡힌 명태가 고삿상의 필수품이라면 조기는 제사를 지내는데 없어서는 안 될 생선이다. 근데 왜 우리 민족은 제사상에 반드시 조기를 올렸을까? 조기를 올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