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난의 섭리 12

■ 고난(苦難) 없이는 그 어떤 알맹이도 없는 법이다.

■ 고난(苦難) 없이는 그 어떤 알맹이도 없는 법이다. 어느 날, 호두(胡桃) 농사를 짓는 농부(農夫)가 하늘의 신(神)을 찾아가 이렇게 부탁했다. 저에게 1년만 날씨를 맡겨 주십시오. 딱 1년 동안만 제 뜻대로 날씨를 바꿀 수 있도록 해 주십시오. 농부(農夫)가 하도 간곡히 사정하는 바람에 신(神)은 그가 1년 동안 날씨에 대한 모든 것을 조종할 수 있도록 허락해 주었다. 그가 햇볕을 원하면 해가 나타났고, 비를 원하면 비가 내렸다. 호두알을 떨어뜨리는 바람도 천둥도 없었다. 모든 것이 마무 탈없이 순조로웠다. 농부(農夫)가 하는 일이라고는 나무 그늘 아래 누워서 잠을 자는 것뿐이었다. 이윽고, 가을이 찾아왔다. 호두 농사는 대풍년이었다. 농부는 기쁨에 들떠 호두 하나를 먹으려고 깨뜨려 보았다. 그런데..

고난의 섭리 2021.09.03

■ 고생이 열매 맺으면, 반드시 기쁨이 된다.

■ 고생이 열매 맺으면, 반드시 기쁨이 된다. ★ 고생은 이 세상에 태어나면서부터 시작이다. 고생은 끝도 없이 찾아온다. 불교에서는 인생을 ‘고해(苦海) 바다’ 라고 했다. 하나의 고생이 다 하면, 다음 고생이 또 찾아온다. 하지만, 원효대사는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라고 했다. 일체의 모든 것이 오로지(唯) 마음 먹기(心造)에 달려 있다는 뜻이다. 고생은 기쁨의 씨앗이다. 고생이 열매 맺으면, 반드시 기쁨이 된다. 그래서, 우리는 고생을 기쁜 마음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우리는 하나 하나의 고생을 모두 기쁨의 씨앗으로 여겨야 한다. 그래서, 마음의 수양(修養)이 필요하다. 마음을 단단하게 수양(修養)하면, 세상 모든 것이 기쁨의 씨앗이 되고, 인생은 저절로 기쁨의 바다가 된다. 그래서, 이 세상의 모..

고난의 섭리 2021.02.15

■ 하늘이 그 사람을 크게 쓰고자 할 때에는

■ 하늘이 그 사람을 크게 쓰고자 할 때에는 ★ 맹자(孟子) 책에 평생을 가슴에 두고 새겨야 할 명문장이 하나 있다. 고자하(告子下) 편에 나오는 다음 구절이다. “하늘이 장차 그 사람에게 큰 일을 맡기려 할 때에는 반드시 먼저 그 심지(心志)를 괴롭게 하고, 그 살과 뼈를 고달프게 하며, 그 신체와 피부를 주리게 하고, 그 몸을 궁핍하게 하며, 그가 하는 일마다 잘못되고 뒤틀리게 하는데, 이는 그 사람 마음을 분발시키고, 성격을 강인하게 함으로써 그의 부족한 능력을 키워주려는 것이다.” 어려움에 빠진 사람이 이 문장을 읽으면 큰 용기를 얻게 될 것이다. “내가 능력이 부족해서 궁핍하게 살고, 재수가 없어서, 암 수술까지 받은 줄 알았는데, 그런 것들이 나를 더 큰 인물로 만들기 위해 단련시키는 과정이었..

고난의 섭리 2020.10.18

■ 치열한 경쟁과 팽팽한 긴장감이 주는 건강 효과

■ 치열한 경쟁과 팽팽한 긴장감이 주는 건강 효과 → 치열한 경쟁과 팽팽한 긴장감은 큰 성장 효과를 유발한다. ● 위기(危機)는 위험(危險)과 기회(機會)가 함께 상존(相存)한다. 그래서, 위기(危機)는 위험(危險) 고통과 도전 기회(機會)가 반드시 함께 찾아온다. ★ 정신 분석의 창시자인 프로이드(Freud)가 너무나 너무나 멋진 말을 언급했다. ‘Optimal Frustration’ 적절한 좌절 고통이 있어야 인간이 도전. 발달. 성장. 성숙한다는 진리이다. ★ 늑대 효과(wolf effect) : 처음에 사슴과 늑대가 알래스카의 자연 보호 지역에서 함께 살았다. 그런데, 알래스카 당국은 사슴의 안전을 위해 늑대를 모조리 없애버렸다. 그 후, 안전이 보장된 사슴은 그 수가 10년 동안에 4천 마리에서..

고난의 섭리 2016.08.10

■ 위기는 위험 고통과 도전 기회가 함께 찾아온다.

■ 위기는 위험 고통과 도전 기회가 함께 찾아온다. 위기(危機)는 위험(危險)과 기회(機會)가 함께 상존(相存)한다. 그래서, 위기(危機)는 위험(危險) 고통과 도전 기회(機會)가 반드시 함께 찾아온다. 삼성 그룹의 창업자 이병철 회장이 일본에서 대학을 다니다가 중도에 그만두고, 자신의 고향에서 농사를 지을 때, 논(畓) 1마지기(200평)에는 벼를 심고, 그 옆에 있는 또 다른 한 마지기에는 미꾸라지 새끼 1,000마리를 사다가 봄부터 길렀다. 가을에 수확 때까지 양쪽 모두 똑같은 비용을 투입하여 각각 재배하고 길렀다. 벼를 심은 논에서는 예상대로 쌀 2가마니가 생산되었고, 미꾸라지를 기른 논에서는 커다란 미꾸라지가 약 2,000마리 수확되었다. 미꾸라지를 전부 잡아서 시장에 팔았더니 쌀 4가마니 값을..

고난의 섭리 2015.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