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형외과) 56

■ 근육 긴장 이상증. 근근막 통증 증후군 치료제 개발

■ 근육 긴장 이상증. 근근막 통증 증후군 치료제 개발 ● 국내 바이오 기업 "뉴로토브"(Neurotobe)는 먹는 알약 형태의 근긴장이상증(Dystonia) 치료 물질을 개발해서 임상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이 물질은 ‘근육 긴장 이상증’ (Dystonia)뿐 아니라, 근육 통증, 스트레스에 의한 담으로 불리는 '근근막 통증 증후군' (myofascial pain syndrome) 치료에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 근긴장이상증(Dystonia)은 손가락이나 팔 등 몸의 일부나 전신에서 근육 수축이 일어나 뒤틀림을 유발하는 운동 질환이다. 2023년 현재, 근본적인 치료제가 없는 상황이다. ★ "뉴로토브"(Neurotobe)는 세계 3대 운동 장애 질환인 파킨슨병, 본태성 진전증, 근긴장이상증 치료..

■ 무릎 점액낭염(Bursitis)의 원인. 증상. 치료. 합병증

■ 무릎 점액낭염(Bursitis)의 원인. 증상. 치료. 합병증 ● 정의 : 관절이 운동을 하면, 근육. 힘줄. 뼈가 움직이는데, 이런 조직들이 서로 부딪혀서 마찰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마찰을 막기 위해서 점액낭(Bursa)이 존재한다. 점액낭(Bursa)은 “점액이 들어있는 윤활낭 주머니” 라는 뜻이다. 마찰열이 발생하지 않고, 관절이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점액을 분비하는 주머니이다. 이런 점액낭에 염증(infammation)이 발생하는 것을 점액낭염(Bursitis)이라고 한다. 점액낭(Bursa)은 무릎뿐만 아니라 신체 곳곳에 150개 이상 존재하는데, 양측 어깨에는 각각 8개의 점액낭이 있고, 무릎의 점액낭은 상슬개 점액낭(Suprapatellar Bursa), 전슬개 점액낭(Prepa..

■ 브로멜라인(bromelain)의 효능 효과 및 섭취 용량 방법

■ 브로멜라인(bromelain)의 효능 효과 및 섭취 용량 방법 파인애플(Pineapple)은 고기를 부드럽게 해 주는 효과가 있고, 소화를 돕는 과일로 유명하며, 이런 효과의 중심에는 브로멜라인(bromelain)이 있다. 1891년 파인애플 주스에서 처음 발견된 브로멜라인(bromelain)은 단백질 분해 효소의 역할 뿐만 아니라 강력한 항염 작용을 바탕으로 각종 질병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어서 건강 식품 원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브로멜라인(bromelain)은 항염증. 항진통. 항혈전. 객담 용해 작용을 하며, 면역력 증가. 알레르기 개선. 혈행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염증성 단백질을 분해시켜서 관절 통증 제거하고, 염증 및 부종을 감소시킨다. 화농성 염증을 개선하고, 혈전 분해 능력이 있다...

■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하는 새로운 신규 물질 개발

■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하는 새로운 신규 물질 개발 ★ 국내 연구진이 대표적인 난치병인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과 림프암(Lymphoma)을 치료할 새로운 물질을 개발했다. 한국화학연구원 조희영. 임희종 박사팀은 몸속에 있는 특정 물질의 기능을 억제해서 류마치스 관절염과 특정 림프암을 치료하는 신물질을 찾아냈다고 2023년 02월 07일 밝혔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전 세계 인구의 약 1%가 걸리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 통증을 동반하면서 관절이 붓는다. 증세가 악화하면, 보행을 하기 어려워진다. 신체 면역 체계가 외부의 위협이 아니라 자신의 몸에 있는 관절(joint)을 공격해서 생기는 질병이다. ★ 병원에서는 소염제와 항류마티스 주사제가 주로 처방되는데, 많은 환자들에게서..

■ 골절 의심되면, 꼭 CT 사진 촬영해야 하는 이유

■ 골절 의심되면, 꼭 CT 사진 촬영해야 하는 이유 ● 72세 여자가 밭에서 일하다가 1.5m 높이 도랑으로 굴러 넘어져서 우측 발목 통증 및 부종 때문에 119 차량으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 x선 사진 소견으로 3군데 골절이 보였다. → 골절, 1) 우측 비골 하부 2) 우측 발목 외측과 (비골) 3) 우측 발목 내측과 (경골) ★ CT 사진 소견에서는 골절 1군데 추가되어서 4군데 골절이 보였다. → 골절, 1) 우측 비골 하부 2) 우측 발목 외측과 (비골) 3) 우측 발목 내측과 (경골) 4) 우측 경골 하단 외측 ■ 남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는 것이 비젼(Vision)이다. ★ 건강 관련 자료 및 혁신적인 문화 소식을 소개하고 공유하고자 합니다. ★ 그래서, → ★★ 젊음(靑春), 생명공학..

■ 손가락 꺾으며 뚝 소리 내는 습관, 매우 위험!

■ 손가락 꺾으며 뚝 소리 내는 습관, 매우 위험! 습관적으로 손가락을 꺾으며 '뚝' 하는 소리를 내거나, 손가락을 바깥쪽으로 잡아당기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이런 행위는 손가락 관절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관절을 꺾거나 비틀 때 소리가 나는 현상을 전문 용어로 '크레피투스(crepitus)'라고 한다. 크레피투스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는데, 관절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소리가 난다는 의견이 있다. 2015년 캐나다 앨버타대 재활의학교실 연구팀은 손가락 관절 변화를 살피기 위해 MRI 촬영을 했다. 그 결과, 손가락 관절을 당겨 내부에 공간이 생기는 순간, 관절낭(관절을 감싸는 주머니) 안에 공기가 들어오며 소리가 나는 것이 확인됐다. 프랑스 에꼴폴리테크대 압둘 바라카..

■ 허리를 뒤로 쭉 펴고 걸으면, 허리 건강해진다.

■ 허리를 뒤로 쭉 펴고 걸으면, 허리 건강해진다. ● 허리를 뒤로 쭉 펴고, 걷기 운동의 효과 ★ 허리를 뒤로 쭉 펴고, 걸으면, 굽은 가슴과 배가 꼿꼿해진다. 허리 자세가 굽을 때는 뇌는 몸의 불안을 느끼고 허리 앞쪽에 있는 복부에 지방을 실어준다. 허리를 뒤로 쭉 펴고, 걸으면, 배에 실어 놓은 지방을 소모하게 된다. 배불뚝이에겐 희소식인 것이다. 허리를 뒤로 쭉 펴고, 걸으면, 가슴이 시원해진다. 내 몸에 변화가 시작된다는 뜻이다. 허리를 뒤로 쭉 펴고, 걸을 때, 다리에 힘을 주지 말고, 가볍게 걸으면, 힘차게 걷는 것보다 살 빼기 효과가 더 낫다. 다리에 힘을 주지 않는 것은 뇌에 배를 내민 것을 알리기 위해서이다. 하루 30분씩 허리를 뒤로 쭉 펴고, 걸으면, 몸무게를 한 달에 3kg 줄이기..

■ Crowned dens syndrome의 증상.진단.치료

■ Crowned dens syndrome의 증상.진단.치료 ★ 정의 : Crowned dens syndrome(CDS)은 노인층에 발생하는 가성 통풍의 일종이다. 전형적으로 중증 경추부 통증을 호소하며, x선 혹은 CT 검사에서 2번 경추인 축추(C2. Axis)의 치상 돌기(odontoid process) 주변 혹은 1-2번 경추 사이에 칼슘 피로 인산염(Calcium pyrophosphate dehydrate) 결정 침착 소견이 보인다. 1번 경추인 환추(C1. atlas)의 dens 주변에 석회화가 나타나기 때문에 ‘Crowned dens syndrome’이라고 부른다. ★ 역학 : 주로 노인 인구에서 발생하고, 여성에 더 많다. 젊은 환자에서도 가끔 발생한다. ★ 증상 : 갑작스런 후경부 동통 ..

■ 미만성 특발성 골격 과골증(DISH)의 증상.진단.치료

■ 미만성 특발성 골격 과골증(DISH)의 증상.진단.치료 ● 목. 등. 허리의 뻣뻣한 통증, 3개 이상 척추 인대 구조물의 융합성 골화 미만성 특발성 골격 과골증(Diffuse Idiopathic Skeletal Hyperostosis. DISH)은 원인 모르게 등. 목. 허리의 골격(특히, 척추 인대 구조물)이 차츰 뼈처럼 골화(ossification)되어 가는 질환'인데, 최소 3개 이상의 척추 인대 구조물의 융합성 골화(ossification)가 일어나는 질환이다. 흉추 하부에 가장 흔하며, 경추. 요추 순서로 많이 발생한다. 갈비뼈. 골반에도 나타날 수 있다. ★ 정의 : 척추체 앞쪽으로 전종 인대(Anterior longitudinal ligament), 척추체 뒷쪽으로 후종 인대(Poster..

■ 바닥에 양반다리 앉으면, 소건막류(Bunionette) 위험

■ 바닥에 양반다리 앉으면, 소건막류(Bunionette) 위험 ● 소건막류(小腱膜瘤 Bunionette)의 원인. 증상. 치료. 합병증. 예방 ★ 정의 : 소건막류(小腱膜瘤 Bunionette)는 새끼 발가락의 뼈가 엄지 발가락 쪽으로 휘면서 튀어나온 부분이 신발에 닿을 때에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며, 새끼 발가락이 바깥으로 돌출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 질환은 엄지 발가락이 튀어나온 무지외반증(拇趾外反症 Hallux valgus)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우리가 흔히 아는 '무지외반증(엄지발가락이 바깥으로 돌출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의 반대라고 생각하면 쉽다. ★ 원인 : 소건막류(Bunionette)는 대부분 후천적으로 발생한다. 선천적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개 신발 앞끝 앞볼이 좁고, 뾰족한..

■ 모과가 관절 연골의 연골 세포를 보호한다.

■ 모과가 관절 연골의 연골 세포를 보호한다. 모과가 관절 연골 성분의 분해를 억제하여 연골 세포를 보호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여창환 연구원 연구팀은 퇴행성 관절염과 같은 연골 소실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연골 세포에 염증과 관련된 신호 전달 물질인 염증성 사이토카인(IL-1β)을 노출시켰다. 이어 연골의 유연성과 탄력성 유지 필수 성분인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과 '제2형 콜라겐(Col2a1)'의 발현량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후 모과 추출물을 3가지 농도(12.5, 25, 50μg/mL)로 처리해 손상된 성분이 회복되는지 살펴봤다. 연구 결과, 모과 추출물에 농도 의존적으로 제2형 콜라겐과 프로테오글리칸의 발현량이 많아지며, 연골 구조가 회복..

■ 간접 흡연, 류마티스 관절염 위험 증가와 연관

■ 간접 흡연, 류마티스 관절염 위험 증가와 연관 간접 흡연 노출이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지금까지 아동기 또는 성인기의 간접 흡연 노출과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의 위험 사이의 연관성은 충분한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다.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어린 시절이나 어른이 된 뒤, 간접 흡연에 노출이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발병 위험 증가와 연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프랑스 파리의 사클레대 연구팀은 건강한 여성을 대상으로 간접 흡연에 대한 노출과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의 발병 위험 사이 연관성을 코호트 조사했다. 간접흡연에 대한 노출을 평가하..

■ 구획 증후군(Compartment syndrome) 원인.증상.치료

■ 구획 증후군(Compartment syndrome) 원인.증상.치료 우리 몸의 상지와 하지는 몇 개의 근육이 하나의 덩어리를 이루어 구획(compartment)을 형성하고 있다. 구획 증후군(Compartment syndrome)은 여러 이유로 인해 부종이 심해질 때, 근육 구획 내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그곳의 동맥을 압박하고, 말단부의 혈액 공급을 차단하여 4-8시간 안에 구획(compartment) 내의 근육과 기타 연부 조직이 괴사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구획 증후군의 종류로는 임박형 구획 증후군, 만성형 구획 증후군, 확정형 구획 증후군이 있다. 임박형 구획 증후군은 조직의 압력이 상승하지만, 조직의 괴사는 발생하지 않는 질환이다. 확정형 구획 증후군은 조직의 괴사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만성형 구..

■ 척추 질환, 정밀 진단 치료, 재활 운동해야 한다.

■ 척추 질환, 정밀 진단 치료, 재활 운동해야 한다. ● 척추는 몸의 기둥이며, 척수를 보호하고, 뇌와 말초신경 연결해 준다. 국내 전체 인구의 80% 이상이 평생 한번 이상 허리 통증으로 고생한다. 척추(vertebra)는 총 33개의 뼈로 이뤄져 있고, 각 척추뼈 사이에는 완충 작용하는 추간판(intervertebral Disc)이 존재한다. 추간판(intervertebral Disc)은 척추와 척추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 역할을 한다. 척추(vertebra)는 뇌(brain)에서부터 내려오는 중추신경인 척수(spinal cord)를 감싸고 보호하는데, 척수(spinal cord)는 중추신경계인 뇌와 말초신경계를 잇는 역할을 한다. 척수(spinal cord)는 몸의 촉각. 압각. 온도. 통..

■ 통풍(痛風 gout) 환자에 좋은 식품, 나쁜 식품

■ 통풍(痛風 gout) 환자에 좋은 식품, 나쁜 식품 ● 통풍에 나쁜 식품 : 닭고기. 쇠고기. 돼지고기. 오리고기. 개고기. 술. 버터. 고지방 생크림. 동물의 내장. 밀가루. 생선류. 버섯. 굴. 게. 정어리. 장어. 연어. 청어. 조개. 멸치. 오징어. 생선알. 새우. 고등어. ● 통풍에 좋은 식품 : 계란. 우유. 요구르트. 치즈, 콩. 팥. 된장. 청국장. 콩나물(아스파라긴산), 해조류. 김 (포피란 성분. 노폐물 배출), 미역. 수박 (요산 배출). 토마토. 체리 (안토시아닌), 우엉 (아르기닌산), 사과 (마릭산), 바나나 (칼륨 풍부. 요산 소변 배출), 고구마. 감자. 호박. 쌀. 보리. 다래. 채소. 오이. 당근. 브로콜리. 양배추. 부추. 오메가-3. 코코아. 곡식류. 각종 과일 야..

■ 어깨 통증 회전근개 질환, 치료제 최초 발견

■ 어깨 통증 회전근개 질환, 치료제 최초 발견 ● 어깨 힘줄 파열, 회전근개 질환, CTRP3 항체 치료법 개발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어깨 통증의 주요한 원인인 회전근개 질환을 기존의 수술이 아닌 약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서울대학교는 김진홍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이 항체 치료제를 이용한 회전근개 질환의 치료에 대한 실마리를 찾았다고 2021년 11월 23일 밝혔다. 회전근개 질환은 어깨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 가운데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회전근개 질환이란 어깨를 감싸는 4개의 힘줄을 통칭하는 회전근개가 변성되어 점차 손상되다 결국 어깨 힘줄 파열을 초래한다. 특히 환자들은 흔히 오십견과 혼동하여 치료 시기를 놓치고 만다. 퇴행성 변화가 진행되면, 회전근개가 점차 약해지면서 작..

■ [팩트 체크] 마라톤하면 무릎 연골 닳는다? 거짓

■ [팩트 체크] 마라톤하면 무릎 연골 닳는다? 거짓 ● KBS ‘생로병사의 비밀’, 일반인들보다 마라토너들이 오히려 무릎 건강 ● 운동 후 근육 손상, 1-3일후 정상 회복, 달리기가 무릎 건강에 오히려 도움 ★ 마라톤을 하면, 무릎 연골이 닳는다는 얘기를 많이 한다. 일반인들이 마라톤에 쉽게 도전하지 못하는 이유 중의 하나가 달리기가 무릎관절에 좋지 않다는 것 때문이다. 정말 그럴까? 정형외과 의사들과 마라톤 전문가 취재를 통해 팩트 체크한 결과, 사실과 다르다는 것이 확인됐다. KBS ‘생로병사의 비밀’이 ‘마라톤과 무릎 연골과의 상관관계’ 실험을 해 눈길을 끌었다. 2018년 05월 방송된 ‘생로병사의 비밀’에서 고려대 구로병원 정형외과 서승우 교수는 달리기가 무릎 관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

■ 요통. 목통증 치료된다는 기괴한 운동에 화들짝

■ 요통. 목통증 치료된다는 기괴한 운동에 화들짝 목으로 나무에 매달리는 것은 위험하다. 하지만 중국인들에게는 아니다. 중국 노년층이 요통을 치료하기 위해 하는 기이한 운동 영상이 공개되어 화들짝 화제이다. 2021년 06월 01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외신에 따르면, 최근 몇 년간 중국 랴오닝성(辽宁省)의 노인 헬스 매니아들 사이에서 기이한 운동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공개된 사진과 동영상에서 중국 노년층이 특수 기구에 목을 넣은 채, 공중에 매달리는 동작을 하거나 몸을 앞뒤로 흔들며 움직이는 모습이 담겼다. 이들은 이 운동이 자신들의 척추에 놀라운 효과가 있다고 믿는다. 매일 최소 30분씩 이 운동을 한다는 한 여성은 "척추 요통 질환이 다 나았다" "이런 상태로 공중에서 낮잠도 잘 수 있을 ..

■ 척추 측만증, 척추 교정 개선하는 운동 9가지

■ 척추측만증(Scoliosis) 원인. 증상. 진단. 치료 ■ 척추 측만증, 척추 교정 개선하는 운동 9가지 ● 척추 측만증(scoliosis)을 개선 교정하는 효과가 있는 운동 잘못된 자세가 오랜 시간 반복되면, 척추 건강에 이상이 올 수 있다. 특히, 요즘에는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를 장시간 들여다보느라 목뼈, 허리 등 척추가 혹사당하는 경우가 많다. 척추 주변 근육이 불균형하면, 한쪽으로 척추뼈가 휘게 된다. 척추 주변 근육의 균형을 바로잡아주면, 몸의 밸런스가 바로 잡히고, 척추를 교정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1) 옆구리 돌리기 운동 : 좌우(左右)로 옆구리를 돌리고 뻗쳐주는 동작은 척추뼈를 잡아주는 운동이다. 그래서, 척추 근육이 균형 잡히지 않을 때에 하면 좋은 운동이다. 2) 서서 허리를 앞..

■ 슬개골 연골 연화증(patella Chondromalacia)

■ 슬개골 연골 연화증(patella Chondromalacia) 양반다리, 쪼그려 앉기 자세는 ‘슬개골 연골 연화증’을 유발하고, 노화를 촉진할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무리한 등산, 계단 오르내리기 등도 피하는 것이 좋다. 무릎 연골이 약해지고, 노화가 촉진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슬개골 연골 연화증은 딱딱해야 하는 무릎 관절 연골이 푹신해지고 약해져서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대부분의 환자가 주로 앞무릎에서 시큰거리는 통증을 호소한다. ● 다음 증상들 중 3개 이상에 해당하면, 슬개골 연골 연화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 산을 오르고 내려올 때, 계단을 오르고 내릴 때, 불편하고 통증이 있다 ★ 장시간 앉아 있을 때, 무릎이 욱신거린다 ★ 무릎 앞쪽이 저리고 뻑뻑하다 ★ 가만히 있어도 무..

■ 척추 압박 골절(spinal compression fracture) 원인 치료

■ 척추 압박 골절(spinal compression fracture) 원인 치료 ● 원인 : 골다공증(Osteoporosis)이 있다면, 재채기 등 조그마한 외력에도 척추뼈가 주저앉아 압박 골절이 생길 수 있다. 재채기를 하거나, 엉덩방아를 찧거나, 허리를 살짝 삐긋하는 등 조그마한 외력에도 척추뼈가 주저앉아 압박 골절이 생길 수 있다. 골다공증이 있는 60대가 넘는 고령층에서 잘 발생한다. 척추는 위로는 머리를 받히고, 아래로는 골반과 엉덩이관절을 통해 하체로 연결되어 몸 구조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신경 다발이 지나가는 중요한 구조물로 이러한 기능을 위해 척추체. 추간판. 후궁. 후관절이라는 구조물로 이뤄져 있다. 척추는 원통 모양으로 골절이 생기면, 높이의 감소나 변형 등을 보이는 압박 ..

■ 하지 불안 증후군(Restless legs syndrome) 원인 치료

■ 하지 불안 증후군(Restless legs syndrome) 원인 치료 ● 정의 : 하지 불안 증후군(Restless Legs Syndrome)은 누워 있거나 앉아 있는 등 휴식 중에 다리에 근질거리는 이상 감각과 초조함이 느껴지고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이 일어나는 질환을 의미한다. 이는 특히 밤에 증상이 심하고, 수면 장애까지 초래한다.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참을 수 없는 충동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학적 상태이다. 한국인 7.5%가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수면 장애가 동반되는 비율은 60%에 달할 만큼 비교적 흔하다. ● 증상 : 다리가 당기고, 쑤시며, 저리고,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 느껴져 견디기 힘들다.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강한 충동이 든다. 다리가 근질근질하고 벌레가 기어..

비타민D 부족, 손목터널증후군 발병 위험

■ 비타민D 부족, 손목터널증후군 발병 위험 비타민D가 부족하면, 손의 저림과 감각, 근력 저하를 일으키는 ‘손목 터널 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 발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분당 서울대병원 관절센터 공현식 교수팀은 손목 터널 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비타민D와 손목 터널 증후군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019년 08월 29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1-2014년 병원에 내원한 135명의 여성 환자와 건강 검진을 위해 내원한 여성 135명을 대상으로 비타민D 수치와 손목 터널 증후군 사이의 연관성을 파악했다. 그 결과, 비타민D 수치가 낮은 여성은 정상 그룹 보다 손목 터널 증후군 발병 위험이 약 2.3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