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혁명 45

■ 인간형 로봇이 자동차 만든다. 생산 라인 첫 투입

■ 인간형 로봇이 자동차 만든다. 생산 라인 첫 투입 ★ 독일 자동차 업체 BMW가 생산 라인에 사람의 신체와 형태가 비슷한 '인간형 로봇'(Humanoid Robot)을 투입하기로 했다고 미국 온라인 매체인 악시오스가 2024년 01월 23일 보도했다. ​ ★ 이에 따르면, BMW는 캘리포니아 소재 로봇 업체인 피규어가 만든 인간형 로봇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스파턴버그 공장에 투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새로 생산 라인에 투입되는 인간형 로봇은 키 170㎝ 정도에 약 60㎏의 무게이다. 두 개의 다리와 다섯개의 손가락을 가지고 있으며, 초당 1.2m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5시간마다 스스로 충전소를 찾아가 충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 인간형 로봇은 창고 등지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으나 자동차 생산 ..

로봇 혁명 2024.01.29

■ 집 가면 반겨주는 로봇 개 (Robot dog)! 진짜 개 같다!

■ 집 가면 반겨주는 로봇 개 (Robot dog)! 진짜 개 같다! ​ ★ 중국 샤오미가 도베르만(Doberman) 개 품종 모습을 본 딴 로봇개 '사이버 독2' (cyber dog Ⅱ)를 공개했다고 2023년 08월 17일 영국 데일리메일이 보도했다. 샤오미는 2021년 현대차 산하 로봇 전문기업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스팟'(Spot)과 경쟁하기 위해 로봇개 '사이버 독'(cyber dog)을 선보였다. 이번에 공개한 '사이버 독2'는 전작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다리가 달린 4족 보행 로봇이라는 느낌이 강했던 전작 보다 로봇 '개'(Robot dog)에 가까워진 모습​​이다. ​ ★ 뾰족한 귀 등은 도베르만(Doberman) 견종의 외형을 본 따 만들어졌다. 무게는 전작(14kg)에 비해 5kg 이..

로봇 혁명 2023.08.25

■ 소리 듣는 인공피부로 로봇 조종하는 기술 개발

■ 소리 듣는 인공피부로 로봇 조종하는 기술 개발 ● 달팽이관 모방해 다양한 주파수 영역 신호 선택적으로 인식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인공피부로 로봇을 조종하는 인터페이스 기술을 개발했다고 2022년 03월 27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고현협(에너지화학공학과) ·김재준(전기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사람의 동작, 촉감, 소리 등을 인식하여 기계에 전달하는 '사람-기계 인터페이스'를 개발했다. 이 인터페이스는 귓속의 달팽이관 구조를 모방한 인공피부 센서를 기반으로 한다. 두께, 다공성, 면적 등이 서로 다른 마찰 전기 센서 여러 개가 연속적으로 붙어 있는 형태이다. 두께와 너비, 단단함 정도가 부위별로 다른 달팽이관 기저막이 소리를 주파수별로 구분하여 받아들이는 원리를 ..

로봇 혁명 2022.03.27

■ 휴머노이드 로봇, 무섭게 진화! 체조 선수 수준

■ 휴머노이드 로봇, 무섭게 진화! 체조 선수 수준 현존하는 휴머노이드(humanoid) 로봇 중에 가장 진보된 로봇으로 평가받는 아틀라스(Atlas) 로봇의 새로운 영상이 공개됐다. 최근 현대차가 인수한 미국 로봇 기업 보스턴 타이내믹스(Boston Dynamics) 측은 한층 더 진보한 장애물 극복 기술을 선보이는 아틀라스의 영상을 공개했다. 2021년 08월 17일 유튜브를 통해 공개한 영상을 보면 아틀라스(Atlas)는 장애물 코스를 이리저리 뛰어다니다가 뒤로 공중 제비까지 도는 체조 기술까지 자연스럽게 수행한다. 기울어진 경사면이나 평균대 위에서 사람처럼 균형을 잡는 아틀라스의 모습을 보고 있으면 놀라움을 넘어 섬뜩한 느낌마저 줄 정도이다. 보스턴 타이내믹스(Boston Dynamics) 측은 ..

로봇 혁명 2021.08.18

■ 태권V처럼 조종사 동작 따라 움직이는 로봇팔

■ 태권V처럼 조종사 동작 따라 움직이는 로봇팔 ● 사람이 하기 힘든 위험한 재난 현장 작업 투입, 소방관 보호 태권V 로봇처럼 조종사의 동작을 따라 하는 로봇팔이 개발됐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조정산 박사팀은 재난 현장에서 소방관들을 보호하면서 복잡한 구조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로봇팔 특수목적기계를 개발했다고 2020년 01월 20일 밝혔다. 한양대,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기계산업진흥회 등과 공동으로 개발한 이 장비는 4개의 하부 모듈 위에 사람의 양팔 역할을 하는 6m 길이 작업기 한 쌍이 달린 형태로 돼 있다. 소방관이 장비에 탑승, 웨어러블 조종 장치를 이용해 작업기를 자신의 팔처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숙련되지 않아도 직관적으로 조종할 수 있다. 최대 200㎏의 대형 장애물을 옮기..

로봇 혁명 2021.01.21

■ 물고기 같이 헤엄치는 군집 로봇 물고기 개발

■ 물고기 같이 헤엄치는 군집 로봇 물고기 개발 ● 실제 물고기처럼 무리를 이루는 로봇 물고기, 美 하버드 대학 개발 스스로 무리를 이룰 수 있는 작은 로봇 물고기를 미국 하버드대학 연구진이 개발했다. 이는 실제 물고기가 무리 속에서 서로의 움직임을 직관적으로 동조하는 습성에서 영감을 얻어 만든 것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몸길이가 약 10㎝인 이 로봇 물고기는 카메라 두 대와 청색 LED 전구 3개가 탑재돼 있으며, 같은 로봇 물고기들과 서로 위치와 거리를 감지하면서 움직일 수 있다. 블루봇(Bluebot)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이 로봇은 생김새도 물고기와 흡사하다. 이는 설계 과정에서 인도양과 태평양 산호초 지대에 주로 서식하며 이른바 ‘블루탱’으로 흔히 불리는 남양쥐돔의 생김새에서 착안했기 때문이다. ..

로봇 혁명 2021.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