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응급) 16

■ 잘못 알려진 의학 상식 55 가지, 충격! 의료 현장!

■ 잘못 알려진 의학 상식 55 가지, 충격! 의료 현장! 1) 주사 맞고, 샤워하면, 되나요? 안 되나요? 된다! ★ 비누 거품 혹은 샴푸 거품으로 씻는 방법은 99% 이상 세균이 제거되는 가장 기본적인 소독 방법이다. 그래서, 주사 맞은 날에 비누 거품 혹은 샴푸 거품으로 샤워해도 된다. 미국이나 유럽 국가에서는 주사 접종 후 의사 또는 간호사가 샤워하면 안 된다고 말하지 않는다. 주사 맞은 후, 샤워하지 말라는 것은 잘못 알려진 건강 상식이다. 그런 말이 나온 배경에는 아마도 주사 맞은 부위의 2차 감염 우려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그런 가능성은 극히 희박하다. 그런 잘못된 상식은 미신(迷信)에 가깝다. 특히, 여름에 오히려 땀 흘리고 난 후, 피부를 씻지 않으면, 주사 부위가 불결(不潔)해져서 ..

건강 (응급) 2023.05.27

■ 피부 봉합(skin suture) 시술에서의 주의 사항

■ 피부 봉합(skin suture) 시술에서의 주의 사항​ 1) 봉합 피부의 좌우 수평을 맞추어야 하고, 피부 가장자리가 안으로 말려들어가는 내반(內反 inversion)을 예방하려면, 반드시, 핀셋(pincette)으로 바늘 삽입할 피부 살을 들어 올린 후, 바늘을 피부 표면과 90˚ 직각으로 삽입해서, 바늘(needle)로 진피(dermis) 전체 깊이까지 깊게 감싸서, 좌우를 서로 맞붙여야 한다. 만약, 핀셋(pincette)을 사용하지 않으면, 표피(epidermis) 수준에서만 봉합이 이루어져서 나중에 피부 살이 벌어질 수 있다. 2) 눈 주위 안면 열상의 경우, 매트리스 봉합(mattress suture)은 최대한 피해야 한다. 매트리스 봉합하면, 안면 피부를 너무 강하게 잡아 당겨서 나중에..

건강 (응급) 2022.08.14

■ 악성 고혈압(malignant hypertension) 증상.진단.치료

■ 악성 고혈압(malignant hypertension) 증상.진단.치료 ● 증례 : 84세 여자 환자는 두통. 어지럼증 때문에 응급실 내원했고, 악성 고혈압(BP 200/110/91) 발견되었다. Brain CT 검사 정상이었다. Brain MRI 검사에서 "만성 뇌출혈" (chronic SDH, scanty amount), "뇌 동맥류" (left cavernous ICA) 소견이 나왔다. ● 주의 사항 : 1) 뇌경색 환자는 혈압을 크게 떨어뜨리면, 뇌혈류 감소하므로 크게 떨어뜨리지 않는다. 2) 뇌출혈. 심근경색으로 인한 고혈압은 두통. 흉통에 의한 2차성 고혈압이므로 혈압 강하제 말고, 페치딘 진통제 0.5-1.0 amp 근육 주사한다. 3) 뇌출혈, 심근 경색. 심부전 환자는 갑자기 저혈압 ..

건강 (응급) 2022.07.13

■ 지나치게 말라도 심근경색 위험. 사망률 높다.

■ 지나치게 말라도 심근경색 위험. 사망률 높다. ● 균형있는 식사 및 규칙적인 근력, 운동 필요하다. 체중이 많이 나가도 문제지만, 지나치게 말라도 심근경색. 뇌졸중 같은 심뇌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고, 사망률도 높아진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조비룡 교수팀 (박진호. 권혁태. 윤재문)은 약 400만 명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하여 저체중과 심뇌혈관질환 발생률 및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를 2021년 03월 08일 이같이 발표했다. 연구팀은 저체중군을 경미한 저체중(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인 체질량 지수(BMI) 17-18.5), 중등 저체중(BMI 16-17), 심한 저체중(BMI 16 미만)으로 나눠 정상군(BMI 18.5-23)과 비교했다. 그 결과,..

건강 (응급) 2021.03.11

■ 실신(Syncope)의 원인과 응급 처치

■ 실신(Syncope)의 원인과 응급 처치 ★ 실신(Syncope)은 갑자기 뇌에 공급되는 혈류가 감소되어 일시적으로 의식이 소실되는 것을 말한다. 의식 소실이 급격히 짧게 발생하고, 완전히 회복되는 것이 특징이다. 실신 증상은 대개 쇼크 (수축기 혈압 60mmHg 이하) 증상, 혹은 뇌혈류가 6-10초 이상 중단될 때, 나타나게 된다. 원인은 미주 신경성 실신(60%), 기립성 실신(15%), 심장 질환(7%), 뇌혈관 질환(1%), 원인 미상(17%) 등이다. 증상은 주로 속이 메스껍고 어지러워 휘청거리며, 안색이 창백해지거나 얼굴과 전신에 식은 땀을 흘리기도 한다. 원인은 부정맥. 심근 경색. 혈관 미주 신경성, 대사성 정신 질환 등이 있고, 역겨운 냄새. 심리적인 충격. 불안. 과호흡. 과로. ..

건강 (응급) 2018.08.11

■ 목에 생선 가시가 걸린 경우, 잘 빼내려면?

■ 목에 생선 가시가 걸린 경우, 잘 빼내려면? ● 생선 가시가 걸렸을 때, 밥을 삼키면 안 되는 이유 ★ 생선 가시가 목에 걸렸을 때, 맨밥을 한 숟가락 먹는 등 민간요법으로 해결하려는 경우가 많다. 음식물이 식도로 내려가면서 가시를 함께 아래로 밀어 내리려고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목에 상처를 내고 가시를 더 깊게 박히게 할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2001-2014년 식도에 이물질이 걸리는 삼킴 사고의 원인 1위(39.6%)가 '생선 가시'였다는 단국대병원의 연구 결과가 있다. ★ 생선 가시는 얇고 뾰족해 목에 걸리기 쉽다. 대부분의 이물질은 눈에 보이는 편도(Tonsil)에 박혀 있는 경우가 많다. 침을 삼킬 때마다 이물감과 통증이 느껴져 일상 생활에 불편을 겪는다. 이때, 밥이나 빵 같은 ..

건강 (응급) 2018.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