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은하 52

■ 달 표면에 물 수천억톤 존재한다. 달 기지 건설!

■ 달 표면에 물 수천억톤 존재한다. 달 기지 건설! ★ 인류의 달 기지 건설에 희소식이 전해졌다. 달 표면에 물 수천억톤(t)이 있을 가능성이 확인된 것이다. 2023년 03월 27일 CNN 방송 등 외신에 따르면, 중국과학원대학교(UCAS)를 필두로 한 국제 연구진은 중국 무인 달 탐사선 ‘창어-5호’가 2020년 12월 지구로 가져온 달 토양 샘플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가능성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중국 연구진이 2023년 03월 과학 저널 ‘네이처 지구 과학’에 발표한 연구 결과를 보면, 창어-5호가 가져온 토양 샘플에서는 지름 1mm 미만의 작은 유리 조각 117개가 발견됐다. ★ ‘IGB’(impact glass bead)라고 부르는 유리 조각들은 과거 운석이 달과 충돌하는 순간에 생성된 것..

우주. 은하 2023.03.29

■ 노벨상 받은 우주 가속 팽창 이론, 그건 틀렸소!

■ 노벨상 받은 우주 가속 팽창 이론, 그건 틀렸소! ● 암흑 에너지 없고, 우주 가속 팽창 이론 틀렸을 가능성 제시 이영욱 연세대 교수는 2022년 10월 25일 “지난 10여 년 동안 밤낮으로 연구하며 노벨상을 수상했던 우주 가속 팽창 이론이 틀렸다는 증거를 찾았습니다.” 라고 말했다. 파격적인 주장이다. 이영욱 교수 연구팀은 2011년 노벨상까지 받은 우주 가속 팽창 이론을 반박하는 논문을 2020년 01월 미국 천체 물리학회지에 게재해서 국내외 학계의 관심을 끌었다. 최근에는 노벨상 연구팀의 반박이 잘못됐다는 증거를 다룬 논문을 영국 왕립 천문학회지에 다시 실어 조명을 받고 있다. 그의 연구가 관심을 끄는 이유는 우주의 70%를 구성한다고 추정되는 암흑 에너지의 존재를 뒷받침하는 이론 중 하나인 ..

우주. 은하 2022.11.02

■ 태양계 가장 바깥에 있는 천체 26개 발견

■ 태양계 가장 바깥에 있는 천체 26개 발견 ● 태양계 초기 비밀 풀 수 있을까? 해왕성(Neptune) 너머 천체 26개 발견 국내 연구진이 태양계 가장 바깥에 있는 천체 26개를 발견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2019년부터 매년 04월 태양계 전체가 모여 있는 황도면을 칠레에서 운영 중인 외계 행성 탐색 시스템(KMTNet)으로 관측해서 '2019 GJ23'를 비롯한 총 26개의 천체를 발견, 국제 천문 연맹 소행성 센터의 공인을 받았다고 2022년 06월 09일 밝혔다. 이는 최근 3년 간 천문학자들이 보고한 해왕성(Neptune) 바깥 천체(TNO) 86개 중 30%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해왕성(Neptune) 바깥 천체(TNO)는 태양계 가장 외곽 행성인 해왕성 너머에 있는 천체로, 대표적으로 명..

우주. 은하 2022.06.09

■ 우주는 무한한가? 끝이 있다면, 어디쯤일까?

■ 우주는 무한한가? 끝이 있다면, 어디쯤일까? ● 우리 은하계 바깥으로 나가면, 우주는 어떻게 보일까? '우주의 끝' 문제는 언제나 우리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흥미로운 주제이다. 우리 머리 바로 위에는 하늘이 있다. 과학자들이 그것을 대기(atmosphere)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기(atmosphere) 속에는 질소 78%, 산소 20%, 비활성 기체 2% 정도로 구성되어 있다. 대기(atmosphere)는 지구 위로 약 32km 높이까지 뻗어 있다. 대기를 이루며, 우리 주위에 떠다니는 것은 분자의 혼합물이다. 아주 작은 공기의 입자들은 우리가 숨을 쉴 때마다 수십억 개의 우리 몸 속으로 흡수된다. 대기층 위로는 우주 공간이 펼쳐져 있다. 대기 성분의 분자가 극히 희박하며, 그 사이에 빈 공간이..

우주. 은하 2021.07.03

지구보다 더 나은 환경 가진 행성 24개 존재

■ 지구보다 더 나은 환경 가진 행성 24개 존재 ● "지구 최상 아냐!", 생명체 거주 최적 행성 후보 24개 제시 지구는 우주에서 생명체 거주가 확인된 유일한 행성이지만 생명체가 살아가는데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는 없다. 지구가 지금보다 조금 더 크고 온도와 습도도 약간 더 높았다면, 그리고 태양보다 수명이 더 긴 별을 더 서서히 돈다면 생명체가 출현하고 진화하는데 더 적합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런 곳은 우주 안에 얼마든지 있을 수 있는데, 과학자들이 지금까지 발견된 약 4천 500개의 외계행성 중에서 그나마 잠재력을 갖춘 곳 24개를 추려냈다. 미국 워싱턴주립대학교와 외신 등에 따르면 이 대학 우주생물학자 더크 슐츠-마쿠치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생명체 거주 환경이 지구보다 더 ..

우주. 은하 2020.11.11

생명체 존재 가능 3억개 지구형 행성 새로 발견

■ 생명체 존재 가능 3억개 지구형 행성 새로 발견 우리 은하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행성이 3억 개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NASA 에임스 연구센터,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외계 지적생명체 탐사(SETI) 연구소,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 연구진 등 5개국 44개 연구기관 전문가로 구성된 국제공동연구진은 우리 은하 내에 인류를 포함한 생명체가 잠재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행성은 약 3억 개에 달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중 일부는 태양계에서 30광년 이내에 있으며, 대부분이 일명 골디락스 존 (행성이 지구와 유사한 조건을 가지고 있어 물과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항성 주변의 구역)에 존재한다. 이번 연구는 2009-2018년 우주에서 활동한 케플러 ..

우주. 은하 2020.11.10

7,000년 만에 찾아온 니오와이즈 혜성

■ 7,000년 만에 찾아온 니오와이즈 혜성 지구촌의 많은 별지기들이 새벽마다 하늘을 올려다보며 관측했던 혜성의 모습이 허블 우주 망원경에 포착됐다. 2020년 08월 22일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은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한 니오와이즈(Neowise) 혜성(C/2020 F3)의 생생한 모습 사진을 공개했다. 이 사진은 2020년 08월 08일 촬영한 것으로 당시 C/2020 F3 혜성은 '태양계 구경'을 마치고, 다시 초당 64.4㎞의 엄청난 속도로 태양계 바깥으로 향하던 중이었다. 앞으로 이 혜성이 다시 우리에게 찾아오는 시기는 무려 7,000년 후이다. NASA에 따르면, C/2020 F3의 '심장'인 핵은 지름 약 4.8㎞ 정도로 매우 작아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도 자세히 보기 힘들다. 다만..

우주. 은하 2020.10.27

생명체 존재 가능 지구형 행성 45개 발견

■ 생명체 존재 가능 지구형 행성 45개 발견 [서울신문] 지구와 비슷한 대기와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해 생명체가 살 가능성이 큰 외계 행성을 천문학자들이 무려 45개나 발견했다. 스웨덴 룰레오 공대 연구진은 잠재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외계 행성들의 대기 조성을 연구함으로써 이런 ‘먼 세상’에서 거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정하는 새로운 분석 기술을 만들었다. 이들 연구자는 대기 중의 화학 물질인 ‘대기 종류’에 관한 정보와 이런 물질이 우주로 얼마나 빨리 탈출하는지(대기 탈출)를 알아내서 지구와 비교했을 때, 기온과 대기 조성면에서 얼마나 비슷한지를 추정할 수 있었다. 그러고 나서, 이들은 자신들이 만든 새로운 모형을 기존 외계 행성 목록에 있는 잠재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후보 행성 55개에 적용했다. 기..

우주. 은하 2020.09.11

태양계 끝에 자몽 크기의 블랙홀 존재?

■ 태양계 끝에 자몽 크기의 블랙홀 존재? 태양계 끝에서 다른 천체를 잡아당기며, 중력 작용을 하는 미지의 천체는 과연 행성 질량을 가진 자몽 크기의 블랙홀일까? 제9 행성의 존재와 관련해 제기되는 가설 중 하나인 행성 질량 블랙홀의 진위가 머지않아 가려질 전망이다. 하버드 스미스 소니언 천체물리학 센터(CfA)에 따르면, 하버드대학 천문학과 어비 로브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블랙홀이 주변 물질을 빨아들일 때 방출되는 '강착 불빛'(accretion flares)을 통해 태양계 끝에 있을지 모를 작은 블랙홀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현재 칠레 북부 체로 파촌의 해발 2천682m 천체 관측 단지에 건설 중인 베라 C. 루빈 천문대가 완공되어 '시공 유산 탐사' (LSST·..

우주. 은하 2020.07.14

6,800년 만에 찾아온 네오와이즈 혜성

■ 6,800년 만에 찾아온 네오와이즈 혜성 모처럼 ‘큰놈’이 나타났다. 2020년 07월 새벽 하늘에서 볼 수 있는 네오와이즈(Neowise) 혜성(comet)이다. 네오와이즈(Neowise C/2020 F3)는 우리나라에서 맨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밝은 혜성이다. 2020년 03월 27일 미국 항공 우주국(NASA)에서 발사한 적외선 우주 망원경을 이용해서 지구에 근접하는 천체를 찾는 네오와이즈(Neowise) 프로젝트에 의해 발견된 이 혜성은 프로젝트의 이름을 따서 네오와이즈(Neowise)라는 이름을 얻었다. 2020년 06월 09일 7등급 밝기로 눈으로 관측이 불가능할 정도였지만, 06월 27일 NASA의 소호(SOHO) 태양 관측 위성의 LASCO-3 카메라의 시야에 나타났을 때, 100배로 ..

우주. 은하 2020.07.14

지구 자기장이 약해지고, 극 반전 진행 중

■ 지구 자기장이 약해지고, 극 반전 진행 중 지구(地球)의 자기장이 점차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프리카와 남미사이에 큰 구멍이 난 것처럼 약화된 지역이 넓어지는 양상이다. 지구 자기장은 태양풍과 외계서 오는 티끌 등을 막아주기 때문에 인류 생존에 필수 불가결한 존재이다. 2020년 05월 22일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지난 5년간 '남대서양 변칙(South Atlantic Anomaly)'으로 불리는 약화 지역이 시간당 약 17km 속도로 동쪽으로 이동하며,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 우주국(ESA)의 연구팀은 관측 위성 '스웜'(Swarm)을 통해 2013년말부터 이를 관찰 추적해왔다. 연구팀은 지역의 자기장이 지난 200년간 9% 줄어든 것으로 추산했다. 일단 연구팀은 이러한 현상은..

우주. 은하 2020.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