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만드는 도로, 와트 웨이(Watt way) 전기 만드는 도로, 와트 웨이(Watt way) 한국에서는 낯설지만 프랑스나 네델란드에서는 도로 바닥의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위에 태양광 패널을 깔아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 상용화돼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 가장 유명한 것이 '와트웨이(Watt way)'이다. 와트웨이는 프랑스 국영 연구소인 태양 .. 미래 과학 문명 2018.06.22
인간 눈 뺨치는 시각 지능 칩 개발 인간 눈 뺨치는 시각 지능 칩 개발 ● 인공 지능(AI)이 사람 눈 수준의 시각 능력 갖게 됐다. 로봇이 인간 수준의 시각 능력을 갖출 날이 멀지 않았다. 국내 연구진이 사람 수준으로 사물을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고성능 칩을 개발했다. 향후 스마트폰, CCTV, 드론 등에 칩을 적용하면, 특정 .. 미래 과학 문명 2018.06.20
스스로 광합성 하는 인공 세포 개발 ■ 스스로 광합성 하는 인공 세포 개발 한국과 미국 공동 연구진이 스스로 광합성하는 인공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서강대 신관우·정광환 교수와성균관대 안태규 교수, 미국 하버드대 케빈 파커 교수가 공동 연구를 통해 살아있는 세포와 같은 형태와 기능을 가지며, 빛을 사용해 .. 미래 과학 문명 2018.05.30
시킨 대로 움직이는 사이보그 생쥐 개발 시킨 대로 움직이는 사이보그 생쥐 개발 국내 연구진이 뇌의 소유욕을 이용해 생쥐를 자유자재로 조종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동물의 본능을 억제하고 사람이 시키는 대로 움직이는 사이보그 생쥐가 국내에서 탄생한 것이다. 로봇과 동물의 장점을 겸비한 사이보그 생쥐는 다양한 구조 .. 미래 과학 문명 2018.04.05
공중에서 그림 그리는 스타일러스 펜 공중에서 그림 그리는 스타일러스 펜 애플이 공중에서 3D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 애플이 압력을 느껴 터치를 인식하는 방식이 아닌 추적 센서와 카메라를 사용해 어떤 표면에서도 그림을 그릴 수 있으며, 3D 드로잉을 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에 대.. 미래 과학 문명 2018.02.07
손등을 스크린으로 쓰는 스마트 워치 손등을 스크린으로 쓰는 스마트 워치 중국 화웨이가 세계 지적 재산권 기구(WIPO)에 '웨어러블 장치 및 웨어러블 제스처 입력 방법' 특허를 출원했다. 손등에 적은 글씨가 화면에 담기고 허공을 쓸어내리는 제스처를 감지하는 스마트 워치가 등장할 전망이다. 화웨이 특허는 두 가지로 구.. 미래 과학 문명 2018.02.07
허공에 띄운 입체 영상 가지고 논다. 허공에 띄운 입체 영상 가지고 논다. ● 허공에 3D 영상 띄우고, 사방에서 입체감 느낀다. 미국 브리검 영 대학의 대니얼 스몰리 교수 연구진은 2018년 01월 25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레이저로 공중에 컬러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3D 디스플레이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연구진은 영.. 미래 과학 문명 2018.02.07
일반 안경처럼 생긴 스마트 안경 개발 일반 안경처럼 생긴 스마트 안경 개발 세계적 칩 메이커 인텔은 일반 안경처럼 생긴 스마트 안경 '바운트'를 개발 중이다. 플라스틱 프레임에 50g도 안 되는 무게의 바운트는 겉으로는 일반 안경과 거의 구별할 수 없지만, 테의 안쪽에 프로세서, 가속도계, 블루투스 칩과 나침반은 물론, .. 미래 과학 문명 2018.02.07
공기 중에 3D 영상 띄우는 기술 개발 공기 중에 3D 영상 띄우는 기술 개발 영화 ‘스타워즈’에서는 로봇 알투디투(R2-D2)가 공기 중에 레이저로 레아 공주의 입체 영상을 투영한다. 이런 공상 과학(SF)적인 장면이 현실이 될 날이 그리 멀지 않은 듯하다. 영국 브리검영 대학 대니얼 스몰리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공기 중에 무.. 미래 과학 문명 2018.01.25
공중에 물체를 띄우는 기술 현실화 공중에 물체를 띄우는 기술 현실화 영국 브리스톨 대학 연구진들은 일반 음파 보다 훨씬 큰 음향을 내는 ‘견인 빔’(tractor beam)을 사용해 물체를 공중 부양 하는 기술을 2018년 01월 개발했다. 연구진은 견인 빔을 통해 약 2cm의 원형 구를 공중에 띄웠다. 연구진은 40 킬로 헤르츠(kHz) 수준의.. 미래 과학 문명 2018.01.22
무선 청소기, LG전자가 최고 성능 무선 청소기, LG전자가 최고 성능 ■ LG전자 무선 청소기, 최고 점수 획득 주요 청소기 업체의 고가 무선 청소기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 LG전자의 무선 청소기가 최고 점수를 받았다. 세부 항목의 성능 평가에서는 바닥 틈새 청소 부분에서 LG전자, 바닥 먼지 청소 부분에서 테팔이 경쟁사 보.. 미래 과학 문명 2018.01.21
안경없는 무안경 3D TV 본격 상용화 안경없는 무안경 3D TV 본격 상용화 ● 미국 스트림 TV가 무안경 3D TV 기술을 개발하고 TV 제조사와 협력해 2018년 상용화한다. 무안경 3D 핵심 기술을 패널 제조사와 협력했다. 첫 번째 협력사는 중국 BOE이다. 스트림 TV 네트웍스는 무안경 3D 기술 '울트라 D'를 보유한 기술 기업이다. 2D나 3D 영.. 미래 과학 문명 2018.01.15
스마트폰도 DSLR처럼 원거리 촬영 가능 스마트폰도 DSLR처럼 원거리 촬영 가능 삼성전기는 스마트폰으로 DSLR 카메라처럼 원거리 촬영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됐다. 지금까지 원거리 촬영을 위해선 렌즈 모듈 두께가 많이 두꺼워져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에 탑재가 어려웠다. 이 기술은 앞으로 삼성전자 플래그십 스마트폰에 .. 미래 과학 문명 2018.01.02
■ 4차 산업 혁명, 어떻게 대비해야 하나? ■ 4차 산업 혁명, 어떻게 대비해야 하나? ★ 증기 기관의 제1차 산업혁명, 대량 생산의 제2차 산업혁명, 컴퓨터. 인터넷. 정보 산업으로 인한 제3차 산업혁명 다음으로 인공 지능. 로봇. 바이오. 나노 기술의 기술 융합(fusion)으로 인한 제4차 산업 혁명이 닥쳐오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을 대표.. 미래 과학 문명 2017.12.21
뇌(腦)에 전자칩 삽입하는 초능력 인간 시대 뇌(腦)에 전자칩 삽입하는 초능력 인간 시대 ● 뇌(腦)에 인공 지능(AI) 컴퓨터를 삽입하는 원초적인 기술 미국의 벤처 기업 뉴럴링크(Nueralink)는 ‘전자 그물망(neural lace)’이란 기술에 주목한다.액체 상태의 전자 그물망을 뇌(腦)에 주입하면, 특정 뇌 부위에서 액체가 최대 30배 크기의 그.. 미래 과학 문명 2017.03.29
표준 선점에 운명이 걸린 미래 경제 표준 선점에 운명이 걸린 미래 경제 세계 첫 표준 전쟁이라고 볼 수 있는 사례는 철도의 두 레일 간격을 의미하는‘표준궤’(Standard gauge)를 둘러싼 대결이다. 가장 먼저 철도를 발명하고 사업을 시작한 영국의 조지 스티븐슨(Stevenson)은 탄광에서 석탄을 나를 때 쓰던 마차의 표준을 채용.. 미래 과학 문명 2017.03.25
인공 지능 로봇이 세상을 확 바꾼다! ■ 인공 지능 로봇이 세상을 확 바꾼다! 인공 지능은 무서운 속도로 사회. 교육. 산업. 금융 등 모든 분야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과거 인터넷이 산업 판도를 바꿨듯이 인공 지능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기업이 모든 산업의 주도권을 가지게 된 것이다. 2016년 03월 09일 인터넷 기업 구.. 미래 과학 문명 2017.03.25
미세한 향까지 감별하는 인공 코 개발 미세한 향까지 감별하는 인공 코 개발 부산대학교 연구진이 미세한 화학 물질을 감지하는 이른바 '인공 코'(artificial nose) 개발에 성공했다. 앞으로 식품 원산지를 구별하거나 환경 호르몬을 감지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 눈길을 끌고 있다. 부산대는 나노 과학 .. 미래 과학 문명 2017.03.08
평생 30번 이직하는 4차 산업 혁명 시대 ■ 평생 30번 이직하는 4차 산업 혁명 시대이제, 직장 환경이 급변했다. 고정된 일자리는 없다. 기민한 노동 유연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평생 30번 이상 이직(移職)하거나 업종(業種)을 바꾸는 시대가 도래했다. 제4차 산업 혁명은 정보 통신 기술의 융합으로 이루어내는 혁명 시대를 .. 미래 과학 문명 2017.03.06
공기 중 습기로 물 만드는 기구 개발 공기 중 습기로 물 만드는 기구 개발 지구 상에는 아직도 물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국가들이 많다. 물 부족 국가를 현실적으로 도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 발명품이 개발되어 전세계인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오스트리아 빈 기반의 연구팀은 공기의 습기를 응결시켜 마실 수 있는 물.. 미래 과학 문명 2016.04.14
新 모계사회, 처가살이 풍속 유행 新 모계사회, 처가살이 풍속 유행 ■ 처가(妻家)살이 하는 남성 20년만에 3배 증가 대학원생 김모(31)씨는 한 집에 같이 사는 장모와 함께 다음 달 동해안으로 여름 휴가를 떠날 계획이다. 유학 가기 전까지만 친정에 들어가 살자는 외동딸 아내(30)의 설득에 시작한 처가(妻家)살이가 벌써 2.. 미래 과학 문명 2011.08.03
뇌파(腦波)로 통신하는 시대가 오는가? 뇌파(腦波)로 통신하는 시대가 오는가? 영국의 세계적 천체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는 “기술적 조작을 통한 ‘신(新)인류’가 출현할 것이라고 말했는데, 새롭게 변형된 ‘새로운 인간’들이 21세기 중에 탄생할 것이며, 지금과 다른 외모를 갖게 될 것이다.” 라고 1999년 03월 13일 예.. 미래 과학 문명 2008.12.08
인조 로봇이 수종(隨從)드는 시대가 온다. 인조 로봇이 수종(隨從)드는 시대가 온다. 인간을 사이보그가 수종(隨從)드는 꿈같은 시대도 도래할 것이다. 이제 이런 일은 공상과학영화의 한 장면에서나 볼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바로 생명과학기술(BT)과 정보기술(IT), 나노기술(NT), 로봇기술(RT) 등의 신기술을 통해 이루어 지고 있는 .. 미래 과학 문명 2008.12.08
로봇이 만능 비서 역할을 한다. 로봇이 만능 비서 역할을 한다. 로봇은 이미 가정과 직장 및 공장에서 만능비서 역할을 하고 있다. 로봇은 로봇기술의 적용 범위에 따라 마이크로 로봇과 생활형 로봇 및 산업형 로봇으로 분류된다. 마이크로 로봇은 몸 속의 혈관을 마음대로 돌아다니며 고장난 단백질과 세포를 수리하.. 미래 과학 문명 2008.12.08
나노 기술은 미래 문명의 핵심 기술이다. 나노 기술은 미래 문명의 핵심 기술이다. 나노기술(NT)은 정보기술(IT), 생명기술(BT)과 더불어 21세기 3대 기술로 여겨지고 있다. 나노기술이 소재에 적용되면, 소재의 강도 및 화학반응성이 강해지거나 내연성이 생기고 마모성이 변화한다. 소자나 센서에 적용되면, 소자의 작동속도가 빨.. 미래 과학 문명 2008.12.08
요람에서 무덤까지 전자. 광자 기술 문명! 요람에서 무덤까지 전자. 광자 기술 문명! 언제(Anytime). 어디서나(Everywhere). 누구나(Who) 정보를 활용하고 즐길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 IT(정보기술)가 지향하는 최종 목표이다. 통신기기 기능들을 서로 통합하여, 새로운 부가 기능을 가진 제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인터넷.. 미래 과학 문명 2008.12.08
NASA “화성의 물(water) 만지고 맛 봤다” NASA “화성의 물(water) 만지고 맛 봤다” 화성에서 마침내 물의 존재가 공식 확인됐다고 미항공우주국(NASA)이 2008.07.31일 발표했다. 과학자들은 화성에 물이 존재할 것이라는 확신을 갖고 있었지만, 정황 증거에 근거했을 뿐 직접 물(water) 성분이 확인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화성 탐사로.. 미래 과학 문명 2008.08.01
장차, 인간과 컴퓨터 지능이 서로 호환한다. 장차, 인간과 컴퓨터 지능이 서로 호환한다. ★ IT 기술 혁명, 인간이 컴퓨터 지능 갖게 된다. 미래학자 커즈와일은 정보기술(IT) 발전으로 생물학·의학·에너지 분야에서 혁명이 일어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오는 2020년 인간의 뇌에 컴퓨터를 삽입할 수 있게 되고, 인간만큼 영특한 .. 미래 과학 문명 2008.07.30
로봇이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을 수 있을까? 로봇이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을 수 있을까? 인간 진화의 다음 단계는 사이보그, 생체에 기계장치 결합. 이미 인공장기·신체삽입 칩·보병의 이동 보조기 등으로 현실화 미래 과학 영화를 보면, 인간이면서도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능력을 가진 초(超)인간이 많이 등장한다. 수퍼맨이 그.. 미래 과학 문명 2006.07.17
뉴욕타임스 "한국, 로봇 강국 도약할 것" 뉴욕타임스 "한국, 로봇 강국 도약할 것" 뉴욕타임스가 2006.04.02일(현지시간) '인터넷 강국 한국에서 로봇은 내 집 같은 편안함을 느낀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한국의 첨단기술 발전상을 상세히 보도하고 야심찬 로봇 개발 프로젝트를 소개했다. 세계에서 인터넷 보급률이 가장 높은 한국.. 미래 과학 문명 2006.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