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배 전기 생산 압전 소재 개발 100배 전기 생산 압전 소재 개발 한국 화학 연구원 이수연. 정선호. 최영민 박사 연구팀이 움직이거나 휘어지면, 스스로 전기를 생산해낼 수 있는 새로운 압전 소재를 개발했다고 2018년 06월 18일 밝혔다. 이 소재는 화학적 처리를 하지 않은 소재 보다 100배 더 많은 전기를 생산해낼 수 있다.. 금속. 부품 2018.06.29
고무줄처럼 늘어나는 전지 기술 개발 고무줄처럼 늘어나는 전지 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전지 양극과 음극 사이의 '분리막'에 유연성을 부여해 고무처럼 '늘어나는 전지(Stretchable battery)' 구현 기술을 개발했다. UNIST(울산 과학 기술원)는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박수진. 최남순 교수팀이 '늘어나는 전지'를 만들 수 있는 '늘어.. 금속. 부품 2018.06.28
해저 6000m 희토류 탐사 장비 개발 해저 6000m 희토류 탐사 장비 개발 일본 정부가 무인 잠수기를 이용해 해저 6000m 심해를 탐사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착수한다고 요미우리 신문이 2018년 06월 25일 전했다. 해저에 매장된 희토류 등 희귀 자원 탐사가 주목적이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심해에서도 해상과 통신을 하거.. 금속. 부품 2018.06.27
다중 강성 물질, 신소재 제어 성공 다중 강성 물질, 신소재 제어 성공 다중 강성 물질의 전기적 성질과 자기적 성질을 동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발견되어 차세대 전자소자 개발에 한걸음 다가갔다. 광주과학기술원 조지영 교수, 광주과학기술원 이성수 박사 과정, 성균관대학교 김영민 교수 연구팀이 다중강성 박막에서.. 금속. 부품 2018.04.10
고속 충전 가능 리튬 산소 전지 개발 고속 충전 가능 리튬 산소 전지 개발 고속으로 충전할 수 있는 고성능 리튬 산소 전지를 KAIST(한국 과학 기술원)가 개발했다. 리튬 산소 전지의 충전 성능을 높인 것으로, 차세대 전지 상용화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KAIST는 변혜령 화학과 교수팀, 정유성 EEWS 대학원 교수팀이 고속.. 금속. 부품 2018.04.01
수십초 만에 충전하는 저장소자 개발 수십초 만에 충전하는 저장소자 개발 한국 과학 기술원(KAIST) EEWS 대학원 강정구 교수 연구팀은 수십 초안에 급속 충전을 할 수 있는 물 기반 융합 에너지 저장 소자를 개발했다고 2018년 02월 20일 밝혔다. 전력을 모아뒀다가 필요할 때, 쓰는 에너지 저장 장치(ESS)는 전력 효율화 방안 중 하.. 금속. 부품 2018.02.21
쇠 보다 강한 고강도 압착 목재 개발 쇠 보다 강한 고강도 압착 목재 개발 미국 매릴랜드(Maryland) 대학 재료 공학과 송지안웨이 연구팀은 목재를 화학 처리한 뒤, 열을 가해 압착하는 방식으로 목재의 밀도와 강도를 크게 높이는 새로운 가공법을 개발하여 네이처 2018년 02월 08일자에 발표했다. 고강도 강철이나 티타늄 합금 .. 금속. 부품 2018.02.10
나트륨 이차전지 한계, 뼈 소재로 극복 나트륨 이차전지 한계, 뼈 소재로 극복 세종대학교 명승택 교수 연구팀은 사람 뼈를 모방한 소재를 나트륨 이차 전지 전극 소재에 적용했다고 28일 밝혔다. 나트륨 이차 전지는 리튬 이차 전지를 대체할 것으로 주목받는다. 나트륨은 지구 물질 중에서 부존량이 6번째로 많아서 리튬 보다 .. 금속. 부품 2018.01.28
4초내 초고속 충전 필름형 전지 개발 4초내 초고속 충전 필름형 전지 개발 한국 과학 기술원(KAIST)은 양민양 기계 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4초 안에 초고속 충전할 수 있는 필름형 고성능 차세대 전지를 개발했다고 2018년 01월 11일 밝혔다. 기존의 복잡한 제작 과정과 달리 간단하고 저렴한 제작 기술로 높은 성능의 전지를 만들.. 금속. 부품 2018.01.15
1분만에 충전하는 고체 배터리 개발 1분만에 충전하는 고체 배터리 개발 미국의 전기차 제조사 피스커(Fisker)가 1분만에 충전되는 배터리 기술을 공개했다. 2018년 01월 09일 CES 2018에서 공개된 피스커(Fisker)의 고체 배터리 기술은 804km 주행이 가능한 배터리팩을 1분만에 충전하는 기술로 양산될 경우 큰 파장이 예상된다. 고체 .. 금속. 부품 2018.01.11
희토류 대체할 차세대 자성 소재 개발 희토류 대체할 차세대 자성 소재 개발 국내 연구진이 베일에 싸였던 신소재 '전자화물(electride)' 원리를 규명했다. 고가의 희토류 없이도 자성 소재를 설계할 수 길을 열고, 스마트폰, 배터리, 디스플레이 등에 쓰이는 값비싼 희귀 자원인 희토류를 대체할 새로운 자성 소재 개발에 활용될 .. 금속. 부품 2018.01.09
인체 무해한 반도체 소자 개발 성공 인체 무해한 반도체 소자 개발 성공 국내 연구진이 인체에 무해하고 폭발 위험성도 없는 나트륨 이온을 활용해 이차원 반도체의 막인 '나노 시트'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이에 따라 종전 보다 값싸고 간편한 방식으로 반도체 소자를 개발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반도체 두께를 줄이는데.. 금속. 부품 2018.01.09
액체 금속 현실화에 한발짝 다가섰다. 액체 금속 현실화에 한발짝 다가섰다. 중국의 한 대학이 영화 '터미네이터'의 액체 금속형 로봇 'T-1000'과 유사한 액상 금속 개발에 다가섰다고 중국 과기 일보가 2017년 04월 05일 보도했다. 중국 난징(南京) 이공대의 글라이터 나노 과학 연구소는 중국, 미국, 호주, 일본 과학자 간 협조로 .. 금속. 부품 2017.04.08
깨진 액정 스스로 복구하는 신소재 개발 깨진 액정 스스로 복구하는 신소재 개발 미국의 한 대학 연구팀이 휴대전화 액정에 활용할 수 있는 자가 복구(셀프 힐링) 신소재를 개발해 냈다. 2017년 04월 05일 텔레그래프 등은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리버사이드 캠퍼스 왕차오 교수팀이 외부 충격으로 훼손됐다가 복구되는 능력을 가진.. 금속. 부품 2017.04.08
스스로 학습 진화하는 강자성 물질 발견 스스로 학습 진화하는 강자성 물질 발견 서강 대학교 물리학과 이기진 교수와 이한주 박사는 인공 지능 컴퓨터에 도입될 것으로 기대되는 '스스로 학습하고 진화하는 강자성 물질'을 발견했다고 2016년 12월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7년 동안의 연구 기간을 통해 기존의 전기 전류 신호에 의.. 금속. 부품 2017.03.09
공중 부양, 지구에 없는 新물질상 발견 공중 부양, 지구에 없는 新물질상 발견 ● 표준연, 우주 행성 탐사. 게놈 지도. 신약 개발 등에 활용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서는 우주라는 특수한 환경을 이용해 새로운 단백질 결정을 만드는 실험이 이뤄지고 있다. 중력이 거의 없어 물체가 공중에 뜨고, 대류 현상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 금속. 부품 2016.11.04
태양빛 흡수해 바로 물 끓이는 메타필름 태양빛 흡수해 바로 물 끓이는 메타필름 태양빛을 흡수해 바로 물을 끓이는 고효율의 메타 필름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태양광을 이용한 증기 발전이나 해수 담수화 장치 등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세대 교수 연구팀은 태양빛을 대부분 흡수해 나노 크기로 빛을 모.. 금속. 부품 2015.12.30
백금 대체, 성능 좋고 값싼 촉매 개발 백금 대체, 성능 좋고 값싼 촉매 개발 비싼 백금을 대신할 저렴한 고성능 촉매가 개발됐다. 수소 연료 전지. 금속 공기 전지를 싸게 만들 길이 열려 상용화할 경우 경제적 효과가 클 전망이다. 울산 과학 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 공학부의 김건태·백종범 교수팀은 수소 연료 전지. 금.. 금속. 부품 2015.12.14
결정.비결정 특성 동시 갖는 신물질 발견 결정.비결정 특성 동시 갖는 신물질 발견 ■ 서울대 교수 "광학·반도체 소자 획기적 성능 향상 기대" 국내 연구진이 결정 물질의 에너지 제어 특성과 비결정 물질의 에너지 압축 특성을 동시에 가진 새로운 형태의 물질을 처음으로 제시했다. 서울대 전기 정보 공학부 박남규 교수 연구.. 금속. 부품 2015.12.11
'다강체' 상온서 작동하는 원리 발견 '다강체' 상온서 작동하는 원리 발견 '물질계의 엄친아'로 불리는 '다강체'가 상온에서 작동하는 비밀이 풀려 차세대 메모리 소자 후보로서 다강체의 입지가 더욱 단단해질 전망이다. 2015.11.24일 UNIST(울산과기원)에 따르면 에너지 및 화학 공학부의 이준희 교수(사진)가 '비스무트 산화철(B.. 금속. 부품 2015.12.11
내동댕이 쳐도 안 깨지는 유리 개발 내동댕이 쳐도 안 깨지는 유리 개발 스마트폰 사용자들에게 가장 큰 불만 중 하나가 바로 '액정 파손'이다. 그런데, 최근 일본의 과학자들이 바닥에 내동댕이 쳐도 깨지지 않는 초 강력 유리 개발에 성공해 화제이다. 2015.11.03일 BBC 보도에 따르면, 도쿄(東京)대학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이 .. 금속. 부품 2015.11.05
전기가 통하는 新부도체를 찾았다. 전기가 통하는 新부도체를 찾았다. 흔히 전기가 통하면 도체(導體), 통하지 않으면 부도체(不導體)라고 부른다. 하지만, 부도체 중에서 간혹 전류가 흐르는 경우가 있다. 고분자 물질인 폴리아세틸렌이 대표적인 부도체이다. 최근 국내 연구진은 폴리아세틸렌 외에 전류가 흐르는 새로운 .. 금속. 부품 2015.10.09
희귀 금속 리튬, 바닷물서 무한 생산 희귀 금속 리튬, 바닷물서 무한 생산 ■ 포스텍, 이온 농도 분극 현상 이용 입자 분리 장치 개발 휴대폰이나 노트북의 배터리 필수 소재로 쓰이지만, 전량 해외에서 수입하는 희유 금속인 리튬을 거의 무한한 바닷물에서 뽑아내는 기술이 개발됐다. 바다는 2300억톤의 리튬이 녹아 있는 천.. 금속. 부품 2013.12.27
스티로폼 1/100 초경량 금속 개발 스티로폼 1/100 초경량 금속 개발 미국 과학자들이 스티로폼 보다 100배나 가벼운 금속을 만들어내는 데 성공, 경량 물질의 한계를 새로 정립했다고 사이언스(Science) 데일리가 2011.11.17일 보도했다. 연구진은 99.99%가 공기로 채워지고, 나머지 0.01%만 고체인 밀도 0.9mg/cc의 금속을 만드.. 금속. 부품 2011.11.19
희귀 금속, 인공 합성 성공 희귀 금속, 인공 합성 성공 일본 교토(京都)대 연구팀이 희귀 금속으로 알려진 팔라듐(Pd)과 성질이 같은 새 합금을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고 요미우리 신문이 2010.12.30일 보도했다. 요미우리 신문은 "세계 처음으로 팔라듐(Pd)과 같은 성격의 희귀 금속을 땅이 아닌 곳에서 구할 수 있게 됐다"며 "교토(.. 금속. 부품 2011.01.05
금속의 인공 합성, 마법 연금술 금속의 인공 합성, 마법 연금술 원소 주기율표는 원자 번호 1부터 시작해 100이 넘는 원소들로 죽 나열되어 있다. 이 가운데에서 뒷자리의 원소들은 인간이 핵기술을 발전시킨 덕분에 인공적으로 합성하게 되었다. 최근에 인공 합성으로 탄생한 초중량 원소는 원자번호 117번 우눈셉튬(ununseptium, uus)이라.. 금속. 부품 2011.01.05
메타물질, 투명 인간 및 잠수함 메타물질, 투명 인간 및 잠수함 스크랩: http://blog.daum.net/dosu92 ■ 연세대 물리학과 김철구 교수팀은 2009년 소리를 그대로 통과시키는 음향 투명 망토를 만들 수 있는 물질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음파가 물체 주위를 돌아가게 만들어 물체가 그 자리에 없는 것처럼 속일 수 있는 음향 메타 물질(고성능.. 금속. 부품 2010.12.29
'태양광 발전'하는 유리창 소재 개발 '태양광 발전'하는 유리창 소재 개발 ◆ 유리창에 코팅된 염료가 빛을 흡수해 태양광 발전 2008.06.24일 KAIST와 삼성SDI 공동 연구진은 건물 유리창이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는 '건물 일체형 투명 태양 전지'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지식경제부는 2008.06.24일 서울 교육문화회관에.. 금속. 부품 2008.06.25
공기처럼 가볍고, 강철보다 강한 신소재 공기처럼 가볍고, 강철보다 강한 신소재 한국인 과학자들이 실용화 길 열어..지구상에서 가장 가벼운 고체.. 1000도 불꽃에도 끄떡없어..스키복에서 우주선까지 응용분야 무궁무진 물에 뜰 만큼 가벼우면서도 혜성 파편의 충격을 견딜 수 있을 만큼 단단한 물질이 있다. 섭씨 1000도가 넘는 .. 금속. 부품 2007.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