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체 금속 현실화에 한발짝 다가섰다.
중국의 한 대학이 영화 '터미네이터'의 액체 금속형 로봇 'T-1000'과 유사한 액상 금속 개발에 다가섰다고 중국 과기 일보가 2017년 04월 05일 보도했다. 중국 난징(南京) 이공대의 글라이터 나노 과학 연구소는 중국, 미국, 호주, 일본 과학자 간 협조로 비정합금(非晶合金) 미시 구조의 작용 기제를 규명하고 액체 금속 물질 개발에 한 발짝 다가서게 됐다고 밝혔다.
금속 유리 또는 액상 금속으로 불리는 이 비정합금(非晶合金)에 대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도 실렸다. 란스(蘭司) 홍콩 중문대 박사가 주도한 연구팀은 비정합금(非晶合金)이 유리 전이점에서 고체와 액체 구조의 전환이 이뤄지는 것을 발견한 뒤, 이 변환 과정의 미시적 메커니즘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백금족 원소인 팔라듐 금속 유리를 원형으로 하는 비정합금(非晶合金)의 변환 순서도를 그릴 수 있게 됐고 전통적인 열처리 방법으로 비정합금(非晶合金)을 조정 통제할 방법을 확보했다. 변압기 속에서 철기(基)비정합금(非晶合金)에 대한 미시 구조 조정을 통해 재료의 연성과 자성 성능을 강화하고 전압 변환 과정에서 에너지 소모도 70%가량 낮출 수 있게 됐다고 연구팀은 소개했다.
이번 연구로 비정합금(非晶合金)의 응용 범위가 운동 기자재, 의료 기계, 통신 장비 등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신문은 이 같은 비정합금(非晶合金)으로 만든 스마트폰 케이스는 수은 같은 광택에 액상의 유동감을 느낄 수 있고 충격 내구력과 내마모성도 뛰어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비정합금(非晶合金) 가공을 통해 골프채 재료 성능을 한층 고도화하면, 골프 선수의 비거리를 크게 늘릴 수 있으며 더욱 얇고 예리해진 비정합금(非晶合金) 메스로 환자 수술을 더 정교하게 할 수 있고 수술 부위 봉합도 빨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금속. 부품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토류 대체할 차세대 자성 소재 개발 (0) | 2018.01.09 |
---|---|
인체 무해한 반도체 소자 개발 성공 (0) | 2018.01.09 |
깨진 액정 스스로 복구하는 신소재 개발 (0) | 2017.04.08 |
스스로 학습 진화하는 강자성 물질 발견 (0) | 2017.03.09 |
공중 부양, 지구에 없는 新물질상 발견 (0) | 2016.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