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 강성 물질, 신소재 제어 성공
다중 강성 물질의 전기적 성질과 자기적 성질을 동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발견되어 차세대 전자소자 개발에 한걸음 다가갔다. 광주과학기술원 조지영 교수, 광주과학기술원 이성수 박사 과정, 성균관대학교 김영민 교수 연구팀이 다중강성 박막에서 강유전성과 강자성이 발현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한국 연구 재단이 2018년 04월 08일 밝혔다.
다중 강성은 강유전성과 강자성의 성질을 모두 갖는 성질이다. 전기장을 형성하는 강유전성 물질은 컴퓨터 메모리칩, 축전기 등에 사용되고, 자성을 띠는 강자성 물질은 하드디스크 자기 헤드부터 전기 제품의 모터까지 다양하게 활용된다. 두 가지 성질을 모두 가진 다중강성은 신개념 소재, 소자로 개발될 것으로 기대되어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연구팀은 다중 강성 물질이자 차세대 메모리 재료 후보로 언급되는 비스무스철산화물 박막의 산소 원자 위치를 인위적으로 조절해 강유전성과 강자성을 동시 제어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고품질 박막 제작 기술을 개발해 산소 원자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박막의 두께를 10배 이상 증가시켰고, 그 결과 강유전성과 강자성의 크기를 이전 대비 2배 이상 향상시키는 데 성공했다.
광주과학기술원 조지영 교수는 “지금까지는 수 나노미터 이하의 경계면 영역에서만 산소 원자 위치 조절이 가능해 강유전성과 강자성의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전자 소자로서 응용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며, "이 연구에서 강유전성과 강자성의 크기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어 가능하도록 하여 다중강성 물질의 응용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이 연구는 광주과학기술원 조병기 교수, 포항 가속기 연구소 구태영 박사, 울산과학기술원 이준희 교수, 성균관대학교 김윤석 교수 등과 공동으로 진행됐다.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이공학 개인 기초연구 지원사업, 미래소재 디스커버리 사업 및 국가전략 프로젝트, 포스코 청암재단 청암과학 펠로십, 양자전자 소재은행 등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재료 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에 2018년 03월 26일 게재됐고,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금속. 부품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무줄처럼 늘어나는 전지 기술 개발 (0) | 2018.06.28 |
---|---|
해저 6000m 희토류 탐사 장비 개발 (0) | 2018.06.27 |
고속 충전 가능 리튬 산소 전지 개발 (0) | 2018.04.01 |
수십초 만에 충전하는 저장소자 개발 (0) | 2018.02.21 |
쇠 보다 강한 고강도 압착 목재 개발 (0) | 2018.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