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사 (조선)

■ 중국 장웨이린 교수의 이순신(李舜臣) 장군 평가

마도러스 2021. 4. 28. 03:28

■ 중국 장웨이린 교수의 이순신(李舜臣) 장군 평가

 

매년 04 28일은 이순신 장군 탄신일이다. 중국의 역사학자 장웨이린(張維爲) 교수는 어느 날, 강의실에서 서양과 일본에게 전쟁에서 패한 () 나라를 구할 수 있는 위인(偉人)이 만약에 있다면, 과연 누구일까?" 라고 학생들에게 물었다. 제갈공명(諸葛孔明)? 손자(孫子)? 관우(關羽)?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그 어떤 영웅이 나타난다 해도 그 결과는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나는 이순신(李舜臣)이라는 한 인간의 삶과 죽음을 알고 나서 눈물을 흘릴 수 밖에 없었다. () 나라에 이순신(李舜臣)과 같은 장수가 있었더라면, 중국은 일본 제국과 서양 열강에게 무너지지 않았을 것이다. 그는 학생들에게 거북선(turtle ship) 사진을 보여주었다. 모두들 의아해 했다. “400여년전 조선과 일본의 전쟁 때에 조선을 구한 이순신(李舜臣) 장군이야 말로 중국을 구할 수 있는 유일한 영웅이다!” 라고 나는 감히 여러분께 말할 수 있다. 여기 저기에서 웅성웅성 소리가 들렸다.

 

조선 수군(水軍) 장수 이순신(李舜臣) 5천명도 안 되는 군사와 50척도 안 되는 함대를 이끌고, 40만 왜군과 1,300대의 일본 함대와 맞서 싸워 단 한번의 패배도 없이 23번 싸워 23번 모두 승리했고, 결국 조선을 구했다. 당시 일본군은 100년의 전국 시대를 거치면서 싸움의 고수들이었고, 동아시아 최강의 전력을 갖추고 있었다. 그때, 조선(朝鮮) 수군은 물고기나 잡고 농사나 짓던 나약한 병사들이었으나, 이순신(李舜臣) 1년만에 강하게 훈련시켜 40만 대군과 1,300척을 거느린 일본군과 맞서 이길 수 있는 군대를 만들었기 때문에 그는 위대했다. 만일, 이순신 장군이 일본 장수였다면, 당시 () 나라는 물론이고, 태국과 베트남. 인도네시아까지 일본군에 점령되었을 것이다.

 

세계 어느 국가도 한 인물의 존재에 의해서 이토록 역사의 큰 줄기가 바뀌는 경우는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여기 거북선(turtle ship)을 보라! 누가 이 배가 400여년 전에 만들어졌다고 믿겠는가? 여러분들은 눈을 떠야한다. 장웨이린(張維爲) 교수는 1시간 정도 더 이순신(李舜臣) 장군에 대한 삶과 죽음에 대해 이야기를 해주고 강의를 끝마쳤다. 강의가 끝났을 때, 학생들이 모두 일어나서 기립 박수를 했다. 어떤 학생은 눈물을 흘리기까지 했다. 그가 처음 이순신(李舜臣)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었을 때의 그 감정을 그의 제자들도 느끼고 있었던 것이다. 중국은 2002년부터 중국 동북쪽 변경 지역의 국경 변방에서 전개된 모든 고대(古代) 역사를 중국 역사로 만들기 위한 동북공정(東北工程)을 감행했다. 바로 그 때, 장웨이린(張維爲) 교수는 동북공정(東北工程)의 일환으로 고구려(高句麗) 역사를 중국의 역사로 편입시키는 일을 맡았다가 '이순신(李舜臣) 학술회를 시작으로 고구려 역사 편입 작업에서 스스로 물러났다. 그리고, 그는 말했다. 역사 학자가 후세 사람들에게 해서는 안 되는 2가지 부끄러움이 있다. 하나는 히틀러(Hitler) 200만 유대인을 죽인 것 보다 진짜 역사를 감추며 숨기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진정한 위인(偉人)을 알아보지 못하고 찾지 못하는 것이다.

 

● 서해맹산(誓海盟山: “바다에 맹세하고산에 다짐한다는 뜻이다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경남 통영 앞바다 한산도(閑山島)에서 읊은 한시 중의 일부분으로 알려져 있다원문은 서해어룡동(誓海魚龍動맹산초목지(盟山草木知)” ‘바다에 서약하니 물고기와 용이 감동하고산에 맹세하니 초목이 아는구나!’ 이다이순신 장군 동상이 있는 경남 창원시 진해구 복원 로터리 자리에는 독립 운동가 김구 선생의 친필로 새긴 시비(詩碑)가 있다.

 

● 생즉필사(生卽必生) 사즉필생(死卽必生)

★ 거북선(turtle ship)은 임진왜란 초기인 1592년에 3척이 건조되었고, 1593년에 2척이 추가로 제작되었다. 거북선은 모두 5척 있었는데, 원균(元均)이 칠천량(漆川梁) 해전에서 패배하면서 모두 격침되었다. 1597년 원균은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가 되어 조선 수군을 이끌었고, 1597년 07월 16일 칠천량(漆川梁) 해전을 벌였다. 조선 수군은 이 전투에서 대패했다. 거북선 5척 모두 격침되고 말았다. 칠천량 해전 이후, 전쟁이 끝날 때까지 조선 수군에 거북선은 없었다. 1598년 09월 16일, 이순신은 명량(鳴梁) 해전(海戰)에서 거북선(turtle ship)이 없는 상태에서 판옥선 12척만으로 전투를 해야 했다. 일본 왜군의 전함은 대형선인 안택선과 중소형 전선을 합쳐 400척에 이르렀다. 이순신(李舜臣)이 적과 싸우자면, 특별한 지형적 이점을 얻지 않고는 애초 승리를 기약할 수 없었다. 이순신은 소규모 군사로 적군을 혼란에 빠뜨릴 장소를 물색했다. 그리고, 명량(鳴梁) 울돌목이 전투 장소로 결정되었다. 울돌목은 전남 해남군 문내면 학동리에 있는 해협인데, 해협이 좁고 물살은 무척 세고 빨라서 폭포처럼 소용돌이 치는 곳이다. 능히 소규모 군사로 많은 적을 깨뜨릴 수 있는 곳이다. 이순신의 심정은 어떠했을까? 전투 전날 밤, 여러 장수들을 모아 놓고 그 유명한 '생즉필사(生卽必生) 사즉필생(死卽必生)"의 준엄한 훈시를 내렸다. 살고자 하는 자는 반드시 죽을 것이요, 죽고자 하는 자는 반드시 살 것이다. 목숨을 내놓지 않고서는 도저히 승리를 꿈꿀 수 없는 막다른 상황에서 세운 비장한 훈시였다. 하늘도 감동한 것일까? 그날 밤, 이순신의 꿈에 신인(神人)이 나타나서 "이렇게 하면 크게 이길 것이고, 이렇게 하면 진다" 라고 전투 방법을 상세히 가르쳐주는 것이 아닌가? 12척의 배로 133척의 적을 무찌른 명량대첩은 세계 해전사(海戰史)에 길이 남을 대기록이 되었다. ★ 선조(宣祖)는 모든 장수에게 축하 선물과 벼슬을 올려주고 포상하였으나, 이순신에게는 아무런 포상을 하지 않았다. 이같은 선조에 처사에 영의정 양호는 편지를 보내어 이순신을 위로하며, 비단 한필을 보내주었다. 이순신은 선조의 처사에 아무런 대꾸도 불평도 하지 않았다. 싸움터에서는 언제나 진두에 나서서 목숨을 걸고 분투했지만, 전투가 끝난 뒤에는 언제나 모든 전공(戰功)을 부하 장병들에게 돌릴 뿐이었다. 이순신은 지극한 정성으로 오로지 자기 할일에만 전념할 뿐이었다. 모든 일이 끝난 후에 그 결과에 대해서 그저 담담한 심정으로 지냈다. 이순신은 수행(修行)를 마친 성자(聖者)와 같았고, 여러 장수는 그를 해신(海神)으로 여겼다.

 

● 싸워서 이기려 하지 말고이겨 놓고 싸워야 한다.

★ 손자병법(孫子兵法) 4편 군형편(軍形篇)에 ‘선승이후구전’(先勝而後求戰)이란 말이 있다. 군형(軍形篇)은 군(軍)의 배치 형태를 뜻한다. 싸워서 이기려 하지 말고이겨 놓고 싸워야 한다. 이순신(李舜臣) 장군은 승리할 준비를 미리 완벽하게 해 놓고, 전투를 구사하는 ‘선승구전’(先勝求戰) 전법을 항상 선택했다. 준비 없는 승리는 없다유비무환(有備無患)이다. 이순신 장군은 23번 싸워서 23번 승리했다. 그는 항상 싸워서 이기는 것이 아니라, 완벽하게 이겨 놓고 싸웠다. 만약, 패배할 것 같은 싸움이라면, 설사 그것이 비겁할지라도 일단 피해야 한다. 이순신은 아군의 단점은 줄이고, 장점은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전략을 늘 연구하였다. 조선의 무기와 일본의 무기의 특징을 연구하여 그는 결론을 내렸다. 우리의 화포가 일본의 조총보다 더 강력했다. 따라서, 근접전(近接戰)을 통한 백병전(白兵戰)보다 거리를 두고, 화포 공격으로 적을 섬멸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거기에 추가해서 전투가 벌어지는 곳의 물살과 해안의 지형적 특징을 정확히 파악하였다. 적들을 넓은 바다로 유인하는 방법, 적들의 전열을 흐트러트리는 방법, 적과의 거리를 유지하는 방법을 미리 계산해 두고 싸움에 임하였기 때문에 싸워서 이기는 것이 아니라, 이겨 놓고 싸움을 유도하는 방법을 선택했다. 승자(勝者)는 항상 불패의 위치에 서서 적이 패배할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 승리하는 군대는 먼저 승리할만한 태세를 갖추어놓고 적과 싸우며, 패배하는 군대는 먼저 싸움을 걸어놓고 승리를 추구하려 한다.

● 지극한 정성으로 자기 할일에만 전념할 뿐이다.

★ 1597년 02월 26일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 이순신(李舜臣)은 원균(元均)의 모함(謀陷)과 일본의 이간책에 의해 한산도 통제영에서 체포되었다. 후임으로 원균(元均)이 임명되었다. 원균(元均)은 충무공이 애써 닦아 놓은 모든 기초를 엎어버리고, 주야로 주색에 빠졌다. 이순신은 서울로 압송(押送)되었다. 이순신은 하옥(下獄)된 후 사형(死刑)을 받게 되었는데, 다행히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정탁(鄭琢)의 간곡한 반대로 사형을 면했고, 한 차례 고문을 받은 후, 아무런 혐의가 없어 석방(釋放)됐다. 4월 1일 출옥해서 권율(權慄)의 휘하에서 백의종군(白衣從軍)을 하게 되었다. 이순신은 죽을 때까지 고문의 후유증에 시달려야 했다. 04월 13일 백의종군의 남행 길에 모친상(母親喪)을 당했다. 1597년 06월 19일 원균(元均)의 함대는 칠천량(漆川梁) 해전(海戰)에서 참패했다. 조선 전함 3백척 이상이 깨어졌고, 삼도 수군은 전멸되었다. 원균(元均)도 전사했다. 한산 통제영은 궤멸되었다. 

 

★ 1597년 07월 23일 조정은 모친상(母親喪 중의 이순신을 다시 삼도수군통제사로 임명했다해군을 소생시키는 길은 이순신 밖에 없다는 판단에서였다임명 교서는 8월 3일 남해안을 정찰 중인 이순신에게 전달되었다순신이 다시 부임했을 때 남아있는 배는 겨우 12척뿐이었고, 군대의 사기는 완전히 저하되어 있었다. 수군의 상황은 이제 회복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1597년 07월 23일 조정은 모친상(母親喪) 중에 있는 이순신을 다시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로 임명했다. 임금과 조정에서는 배 12척 가지고서는 도저히 적의 수군과 대항하기 힘들다고 판단하여 이순신에게 육군(陸軍)에 합류하라고 명을 내렸다. 그러나 이순신은 “아직도 배가 12척이나 남았으니잘하면 적의 진입을 막을 수 있다.” 라며 임금을 설득했다. “내가 죽지 않는 한, 왜군이 감히 우리의 수군을 넘보지 못할 것입니다.“ 라고 임금과 조정을 설득했다. 이순신은 비장한 결의를 표하며 다가오는 전투를 기다렸다. 1598년 09월 16일, 이순신은 량(鳴梁) 해전(海戰)에서 ‘울돌목’이라는 지리적 특성을 잘 이용하여 크게 승리했다. 기적과도 같았다1598년 08월 마침내 도요토미가 죽자, 일본군은 철수하기 시작했다. 결국, 정유재란(丁酉再亂 1597-1598)은 끝나게 되었다.

■ 이순신처럼 미래 희망의 꽃이 되어야 한다.

 

★ 이순신(李舜臣)은 32세의 늦은 나이로 무인(武人)으로서 북쪽 변방(邊方)에서 관직을 시작했다그는 23년간 3번의 파직을 당했고1번의 사형 선고를 받기도 했다2번의 백의종군(白衣從軍)을 겪는 수모와 고통을 당하면서도 자신의 꿈과 희망(希望)을 끝까지 지켜냈다권력에 굴하지 않는 용기(勇氣)와 스스로 옳다고 믿는 신념을 가지고 맡은 일에 최선을 다했다희망을 잃어버린 백성을 항상 높이 섬기며따듯하게 배려하였다자신을 모함하는 험한 소리에도 자신의 굳은 의지를 절대로 굽히지 않았고항상 오직 한길만을 바라보고 걸었다이순신은 여수의 전라좌수사로 부임한 지 1년 2개월 만에 수군(水軍)을 굳건하게 키워냈다★ 그는 거북선을 미리 만들어 전쟁에 대비했었고그 때문에 23전 23승의 전과(戰果)를 올렸다물론그의 탁월한 지혜 그리고 지칠 줄 모르는 끝없는 용기와 끈기 덕분이었다★ 불가능”(不可能)? 그것은 나약한 사람들의 핑계에 불과하며한낱 그 사람의 의견일 뿐이다현재와 미래는 이순신처럼 지혜로 준비하는 자들에게는 기회의 시간이 되지만그렇지 못한 자들에게는 가장 위험한 위기의 시간이다★ 이순신은 전라좌수사로 부임하면서 홀로 14개월간 임진왜란(1592-1598)을 준비했다이것은 그에게 미래를 볼 수 있는 지혜의 혜안(慧眼)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이순신의 일생에서 중요한 요소가 바로 포기(抛棄)가 없었다는 것이다★ 이순신의 삶은 말로는 형용할 수 없는 힘든 고난의 과정이었다그러나포기를 하거나 의욕이 저하될 만한 숱한 상황들이 헤아릴 수 없이 많았다이순신은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을 중간에 그만둔다는 생각은 꿈에서 조차 생각해 본 적이 없었고사람들 앞에서도 역시 절대로 표현해 본 적이 없었다

 

★ 임진왜란 7년 동안이순신은 새벽 3-4시에 일어나 어김없이 병서(兵書)를 보고 전술을 연구했다거북선의 제조도 그가 직접 앞장서서 진두지휘했다도대체 이런 이순신에게 어떤 신념이 있었기에 그러한 고통 속에서도 다시 왜적을 향해 활을 쏘고 검을 들게 하였을까혹독하게 어려운 환경과 처참한 상황을 이겨낼 수 있었던 것은 이순신만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희망(希望리더십 때문이었다★ 백의종군과 함께 어머니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전장(戰場)에서 듣고도 전선(戰線)을 향하는 이순신의 고뇌(苦惱)는 이루 말할 수가 없었다당시 조선 조정의 권력 암투에서 힘없이 당하는 자신의 모습은 한마디로 절망이었지만그는 그것을 전혀 내색하지 않았다다시 부임장(赴任狀)을 받고임지(任地)에 도착했을 때전선(戰線)의 상황은 도저히 전쟁을 치르기에는 불가능하리만큼 무기와 전선이 턱없이 부족했다더 큰 문제는 부하들의 패배감과 절망감은 매우 처절했었다백성들은 공포에 쌓여서 무조건 도망을 가려고만 하였다그러나이순신은 결코 좌절하지 않았다반드시 승리하고야 말겠다는 강한 신념을 가지고패배감에 쌓여있던 부하들과 백성들에게 희망을 심어주었다★ 계속되는 전란(戰亂속에서 절망적인 패배를 연거푸 겪어 왔던 부하들과 백성들에게 이순신은 어둠 속을 밝혀주는 등불(lamp)과 같았고미래 희망(希望)의 꽃이 되었다미래 성공의 승패(勝敗)는 끈기와 노력에서 결정된다물론좌절감불안감초조감이 밀려와서 마음이 흔들릴 수도 있다하지만끈기있고 당당하게 그리고힘차고 야심차게 거듭거듭 달려가면언젠가는 반드시 성공한다언제나 힘과 용기를 잃지 말고미래의 멋진 내 모습을 상상하며한눈팔지 말고꿋꿋하게 흔들림없이 달려가야 한다.

 

■ 이순신(李舜臣장군처럼 무한 긍정하며 살자!

 

● 이순신(李舜臣장군은 28세 때에 무과(武科별과 시험에서 낙방했다달리는 말이 거꾸러져 말에서 떨어졌고왼쪽 다리가 부러졌다그러나곧 버드나무 껍질로 상처를 싸매고 태연해했다결코 낙담하거나 좌절하지 않았다오뚜기처럼 다시 무한 긍정”, “무한 도전했다4년 후, 32세가 되어서야 비로소 무과(武科)에 합격 급제했다★ 1592년 05월 29이순신 장군은 새벽에 제2차 출정을 했다이 출정에서 거북선이 처음으로 실전에 투입이 되었다경상 해안 쪽으로 출정한 이순신 함대는 경남 사천경남 통영 당포경남 고성 당황포전남 보성 율포를 차례로 돌며 적선 70여 척을 격파했다. 70척 적선은 그 포구에 정박해 있던 적의 거의 전부였다이 싸움의 공로로 이순신은 자헌대부(資憲大夫정이품)로 승품되었다. 1592년 05월 29사천 선창에서 교전 중에 이순신은 왼쪽 어깨에 적진의 조총 탄환이 박혔다총알은 관통되다가 등짝 쪽으로 박혀 버렸다피가 발꿈치까지 흘러 내렸다이순신은 활을 놓지 않고 계속 독전하였다싸움이 끝난 뒤칼 끝으로 살을 쪼개고태연하게 탄환을 꺼내었다깊이가 두어 치(6cm)였다사람들은 이순신의 상처를 보고 놀랐다이순신은 웃고 이야기하며 태연해 했다전쟁을 치루는 동안 갑옷을 입고 있었으므로 상처가 곪아서 진물이 나왔다바닷물로 씻어내고항상 뽕나무 잿물을 바르고 했지만 상처는 쉽게 아물지 않았다.

 

★ 이순신(李舜臣장군은 23번 싸워 23번 승리했다그 비결은 바로 침착(沈着)과 치밀(緻密)함이었다한산도 대첩에서 이순신에게 패배한 왜장(倭將와키자카(ワキザカ)는 한산도(閑山島대첩 패배의 충격으로 6일 굶으며이렇게 말했다. “나는 성급(性急)했고적장(敵將)은 침착(沈着)했다나의 전술은 단순(單純)했지만그의 전술은 치밀(緻密)했다나는 적장 앞에 꼼짝할 수가 없었다” "나는 이순신(李舜臣)이라는 조선의 장수를 전혀 몰랐다단지 해전에서 몇 번 승리를 거둔 그저 그런 다른 조선 장수와 비슷할 정도라고 생각했다하지만내가 겪은 한산도 해전의 이순신은 여느 조선의 장수와 사뭇 달랐다나는 그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음식을 몇 날 며칠을 먹을 수가 없었으며전쟁에 계속 임해야 하는 나는 앞으로 장수로서 본연의 책무를 다할 수 있을지 의문이 갔다." 또한그는 이렇게 말했다. “내가 제일 두려워하는 자도가장 미운 자도 이순신이다가장 좋아하는 자도흠모하고 숭상하는 자도 이순신이다가장 죽이고 싶은 자도 이순신이며가장 차를 함께 마시고 싶은 자 또한 이순신이다

 

■ 고통 없이 얻는 것은 세상에 아무것도 없다.

● 무한 긍정하면나쁜 불운(不運)도 깨지고 부서진다.

★ 항상, 꿈(夢) 보다 해몽(解夢)이 좋아야 한다. 똑같은 일이라도 해석(解釋)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그 기분이 다르다. 그 사람의 삶의 질이 달라진다. 운명이 달라진다. 그래서, 무한 긍정의 자세가 중요하다. 오후 들녘에 태양이 지는 것을 바라보며, 누구는 ‘태양이 진다’ 라고 말한다. 하지만, 누구는 ‘곧 별이 뜬다’ 라고 말한다. 무한 긍정하면나쁜 불운(不運)도 깨지고 부서진다임진왜란(壬辰倭亂 1592-1598) 와중에 배가 12척 남았다. 조선(朝鮮) 조정에서는 ‘배가 12척 밖에 안 남았다’ 라고 말했다. 당장이라도 수백 척의 배가 들이닥칠 거라는 공포가 만연해 있었다. 조선 수군(水軍)은 이제 싸움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순신(李舜臣)은 달랐다. ‘아직도 배가 12척이나 남았다’ 라고 말했다. 이순신의 이런 뚝심은 정유재란(丁酉再亂 1597-1598)의 흐름을 바꾸어 놓았다.

● 무한긍정 불운타파. 무한도전 필유여경

★ 일락서산(日落西山) 성출동령(星出東嶺). 서산에 해가 지면, 동쪽 언덕에 별이 뜬다.

★ 인생지락(人生之樂) 여광여취(如狂如醉). 인생 사는 즐거움이 때로는 미친 것 같기도 하고, 때로는 취한 것 같기도 하다.

★ 무한긍정(無限肯定) 불운타파(不運打破). 무한정 긍정하는 마음으로 살면, 나쁜 불운(不運)도 깨지고 부서진다.

★ 무한도전(無限肯定) 필유여경(必有餘慶). 무한정 도전하는 마음으로 살면, 종국(餘)에는 경사(慶事)스런 일이 생긴다.

 

■ 남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는 것이 비젼(Vision)이다★ 건강 관련 자료 및 혁신적인 문화 소식을 소개하고 공유하고자 합니다★ 그래서젊음(靑春), 생명공학의 열망(熱望)! 네이버 밴드로 초대합니다

→ http://www.band.us/#!/band/55963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