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원 산성은 숨겨진 역대급 백제 산성
● KBS 앵커 : 남원에서 백제시대 거물성으로 추정되는 산성이 발견되어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고 최근 전해드렸는데요. 성 둘레가 1.2 킬로미터에 달하는 초대형 산성이며, 백제는 물론 통일 신라 시대를 아우르는 성곽 양식을 갖추고 있어, 문화재적 가치가 아주 높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 리포트 : 백제시대 거물성으로 추정되는 산성입니다. 돌을 일정한 규칙없이 얼기설기 쌓아 올렸는데 전형적인 백제의 축성기법입니다. 1천 5백년이 지났지만, 형태가 온전합니다. 바로 옆에서는 커다랗게 다듬은 돌을 자로 잰 듯 층층이 쌓은 성벽이 나타납니다. 백제 패망 후, 철제 도구가 발달한 통일신라 시대에 쌓은 것으로, 서로 확연히 구분됩니다. 전문가들은 이 성을 우리나라 산성 변천사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유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 LH 토지주택 박물관 심광주 관장 : "고증이 되는 것들이 별로 없거든요. 그런데, 이것은 기록도 남아있고, 이게 만약에 거물성으로 비정되면, 이건 당연히 국가 사적감이죠."
★ 리포트 : 특히 성곽 둘레가 1.2 킬로미터에 달하는 초대형 산성으로 드러났습니다. 백제 산성의 둘레가 보통 5백 미터 안팎임을 감안하면, 당대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핵심 산성이라는 겁니다.
★ LH 토지주택 박물관 심광주 관장 : "보통 백제 오방성을 얘기하는데, 오방성의 규모가 2.0 킬로미터 정도 되는 그런 규모인데, 그 정도 급에 해당하는…."
★ 리포트 : 산성 규모를 고려하면, 방어는 물론 이 일대를 다스리는 치소의 역할도 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때문에 산성 터는 물론 채석장과 사찰, 주거지 유적 등 주변 지역에 대한 전면 발굴도 필요합니다.
★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안재원 교수 : "거물성으로 추정되는데, 전체를 연구하려면, 산이 남아 있으니까, 전체를 아울러서 발굴 조사를 해야…."
★ 리포트 : 하지만, 인근에 대규모 태양광 발전 단지를 조성하고 있어 훼손 위기에 처했습니다. 1천 5백 년이 넘는 장구한 역사를 간직한 남원 백제 산성. 훼손이 아닌 이 일대에 대한 전면적인 발굴과 보존 대책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입력: 2020년 10월 12일]
■ 남원 산성 (전라도)(김세레나)
남원산성(南原山城) 올라가
이화문전(梨花門前) 바라보니
수진이 날진이 해동청 보라매
떴다 봐라 저 종달새
석양은 늘어져 갈매기 울고,
능수 버들 가지 휘늘어질 때
꾀꼬리는 짝을 지어 이산으로 가면,
꾀꼬리 쑤루룩 음허-
어허야 에헤야 뒤-여--
둥가 어허 둥가 둥가 내 사랑이로다.
........ 간 주 ........
남원산성(南原山城) 찾아가
후유 한숨 바라보니
수진이 날진이 해동청 보라매
떴다 봐라 저 종달새
산천은 푸르고 산새는 우니,
일만(一萬) 꽃들이 보기가 좋은데
뻐꾸기는 짝을 지어 이 산으로 가면,
뻐꾸기 쑤루룩 음허-
어허야 에헤야 뒤-여--
둥가 어허 둥가 둥가 내 사랑이로다.
■ 남원산성(南原山城) : 전북 남원 산성 주변의 풍경
이화문전(梨花門前) : 옛날에 남원 산성에서 내려 보면, 배(梨) 밭이
펼쳐져 있었다. 이(李)씨 왕조를 상징
능수 버들 : 가지가 길게 늘어지는 버드 나무
수진 이 : 사람이 길들인 전통 사냥 매(鷶).
날진 이 : 야생에서 자란 매(鷶).
해동청(海東靑) : 해동(海東)에서 젊고 좋은 매
보라매(鷶) : 출생후 1년이 안된 새끼를 길들여 사냥에 쓰는 매
종달새 : 백성과 민중을 상징한다.
어허야 : 호국신(護國神)과 조상신(祖上神)을 호명(呼名)함
둥가 : 상대방에게 애정을 표시할 때 쓰임
■ 중중모리 장단
■ 전라도 민요
■ 장단의 종류
● 느린 장단
1. 진양조 장단 (세계에서 가장 느린 박자)
1) 덩쿵쿵쿵덕덕 2) 쿵쿵쿵쿵(기덕)(기덕)
3) 쿵쿵쿵쿵(더러)(러러) 4) 쿵쿵쿵쿵(덩덩)(구궁)
: 희망가
● 중간 장단
1. 굿거리 [덩-기덕쿵(더러)(러러) 쿵-기덕쿵(더러)(러러)]
: 성주풀이. 풍년가. 창부 타령. 갑돌이와 갑순이. 사발가
남한 산성. 태평가. 닐리리야. 뱃 노래. 자진 뱃 노래(본절)
2. 중모리 [덩쿵 덕쿵(덕더)(더덕) 쿵쿵 덕쿵(덕더)(더덕)]
: 새 타령
3. 중중모리 (덩-덕 쿵덕덕 쿵쿵덕 쿵-쿵)
: 남원 산성
● 빠른 장단
1. 세마치 장단 (덩--덩-덕쿵덕-)
: 정선 아리랑. 진도 아리랑. 밀양 아리랑
경기 아리랑.
2. 자진모리 (잦은모리)
1) 기본 (덩ㅡㅡ쿵ㅡㅡ쿵ㅡ덕쿵ㅡㅡ)
2) 변형 (덩ㅡ덕쿵ㅡ덕쿵ㅡ덕쿵ㅡㅡ)
: 꽃 타령. 농민가. 옹헤야. 까투리 타령. 자진 뱃 노래(후렴)
3. 엇중모리 (엇모리)
: 강원도 아리랑. 한오백년. 심청가. 흥부가
4. 휘모리 (단모리)
1) 기본 (덩--쿵--쿵-덕 쿵덕-)
2) 변형 (덩-덕 덕 쿵 덕 쿵-)
: 판소리. 가야금 산조
'삼국(三國).고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삼천궁녀? 사료에 없는 거짓말! 역사왜곡 바로잡기 (0) | 2022.01.19 |
---|---|
고구려 살수는 청천강 아닌 중국 요녕성 (0) | 2018.03.20 |
동아시아 최대 국제전쟁, 백촌강 전투 (0) | 2014.09.06 |
백제, 문익점 800년 이전 면직물 (0) | 2010.07.16 |
고대 가야와 인도 왕실은 혈연 관계 (0) | 2010.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