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살수는 청천강 아닌 중국 요녕성
● 고구려 살수는 청천강 아닌 요녕성 ‘혼하’이다.
인하대 고조선 연구소 문성재 교수는 2018년 03월 20일 "조선 총독부가 편찬한 '조선사'에 대한 번역, 정밀 해제 연구팀의 중간 연구 결과를 분석하던 중, 고구려의 살수가 지금까지 알려져 있던 것과는 전혀 다른 곳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그동안 알려져 있던 고구려 시대 을지문덕의 살수 대첩이 있었던 '살수'의 위치를 뒤집는 내용이어서 학술적 논쟁이 붙을 전망이다.
문성재 교수는 "국내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고려의 귀주를 지금의 청천강 일대로 추정하고 있지만, 청천강이 아니다"며, "국내외 사서, 지리서, 문집에 소개된 살수 관련 기록들을 지구 과학적 접근을 통해 재검증한 결과, 중국 요녕성 중부 지역에 있는 '혼하'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은 살수 대첩과 관련해 "612년(영양왕 23), 중국 수나라의 군대를 고구려가 살수에서 크게 격파한 싸움"이라고 정의하면서 고구려 살수를 지금의 청천강으로 소개하고 있다.
문성재 교수는 "살수의 위치는 고구려 평양성, 압록강의 위치와 긴밀한 관계가 있다"며, "그동안 인하대 고조선연구소에서는 이 평양성, 압록강의 정확한 위치를 찾기 위한 연구 작업을 꾸준하게 진행해 왔다"고 전했다. 이어 "그 결과 평양성은 현재의 중국 요녕성 요양 지역으로, 압록강은 현재의 요하 유역으로 비정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덧붙였다.
"이를 바탕으로 살수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 살수가 현재 중국 요녕 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국내외의 각종 문헌 기록들을 분석한 결과, 명나라 때 문헌에서 살수가 현재의 요녕성 중부 지역에 존재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기록의 출처는 당시 명나라 조정의 최고 학자들이 공동으로 편찬한 관찬 지리서와 병서이다. 그 지리 정보의 신뢰도가 상당히 높다는 뜻이다."
문성재 교수는 "보다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추가 검증이 이뤄져야겠지만, 현재로서는 대단히 설득력이 높은 주장이라 할 수 있다"며, "살수 위치 문제 제기는 조선 총독부에서 편찬한 '조선사'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이고, 그동안 지리 고증 과정에서 많은 의문점이 제시됐던 고대사와 중세사 사이의 '잃어버린 연결 고리(missing link)'를 찾는 데에 획기적인 단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문성재 교수는 2018년 03월 30일 서울 고궁 박물관 별관 회의실에서 열리는 학술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날 학술 회의에서는 문성재 교수 논문 외에 일본 학자들은 어떻게 반도 사관을 구축해 나갔는지 추적한 박지영 교수의 논문, 조선은 명나라와 어떻게 국경선을 유지했는지 살펴본 남의현 교수의 논문 등이 함께 발표될 예정이다.
'삼국(三國).고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삼천궁녀? 사료에 없는 거짓말! 역사왜곡 바로잡기 (0) | 2022.01.19 |
---|---|
■ 남원 산성은 숨겨진 역대급 백제 산성 (0) | 2020.10.14 |
동아시아 최대 국제전쟁, 백촌강 전투 (0) | 2014.09.06 |
백제, 문익점 800년 이전 면직물 (0) | 2010.07.16 |
고대 가야와 인도 왕실은 혈연 관계 (0) | 2010.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