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정신과)

치매, 새로운 원인 단백질 발견

마도러스 2018. 9. 21. 23:26


치매, 새로운 원인 단백질 발견

 

알츠하이머 치매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뇌 신경세포의 단백질 베타 아밀로이드(β-amyloid) 생성을 촉진하는 촉발 단백질이 발견됐다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KCL) 정신 의학심리학신경과학 연구소(Institute of Psychiatry, Psychology and Neuroscience)의 리처드 킬릭 박사 연구팀은 베타 아밀로이드는 스스로 베타 아밀로이드를 만들어내는 악성 선순환 피드백 고리(positive feedback loop)가 있으며, Dkk1이라는 또 다른 단백질이 이 피드백 고리를 활성화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UPI(United Press International) 통신이 2018년 09월 20일 보도했다.

 

베타 아밀로이드의 이 피드백 고리는 일단 통제의 한계를 벗어난 후에는 베타 아밀로이드 생산을 억제하는 약을 투약해도 너무 늦어 효과가 없다고 킬릭 박사는 밝혔다지금까지 베타 아밀로이드를 표적으로 개발된 약들이 거의 모든 임상시험에서 실패한 것은 이 때문일 수 있다고 킬릭 박사는 지적했다베타 아밀로이드가 늘어나면서 서로 뭉쳐 플라크를 형성하면 독성을 띠면서 신경 세포들이 서로 메시지를 주고받은 접합부인 시냅스(synapse)를 파괴기억 기능이 소실되면서 치매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킬릭 박사는 따라서 베타 아밀로이드가 아닌 Dkk1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으면 베타 아밀로이드 생성과 시냅스 파괴의 악순환을 차단치매의 진행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과 중국에서 이미 뇌졸중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파수딜(fasudil)이라는 약이 이 피드백 고리를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 쥐 실험에서 나타났다고 그는 밝혔다파수딜(fasudil)은 죽상 경화 발생을 억제하고혈관성 발기 부전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뇌졸중 치료에도 사용되는 약이다치매 모델 쥐에 파수딜(fasudil)을 투여한 결과, 2주 후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크게 줄어들었다는 것이다지금까지 개발된 치매 치료제들이 거의 모두 실패로 끝난 만큼 초기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파수딜(fasudil)을 투여해 보는 임상 시험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킬릭 박사는 강조했다이 연구 결과는 '중개 정신 의학'(Translational Psychiatry) 최신호(2018년 09월 20)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