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 잠 80%,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잠을 충분히 잤는데도 낮 시간에 졸음이 밀려온다면,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등으로 인한 불량한 잠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 순천향대 천안병원 수면 센터는 불량 잠 원인 분석 결과, 80%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2018년 08월 28일 밝혔다. 센터가 2011년 01월부터 2018년 07월 31일까지 20세 이상 성인 1,431명을 대상으로 한 수면 다원 검사 결과를 보면, 1,145명(80%)이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으로 진단됐다.
수면 중 10초 이상 호흡 중단이 반복되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수면의 질과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생명까지 위협하는 위험한 질환이다. 수면 무호흡증 진단은 수면 다원 검사로 한다. 수면 기기 검사 하에 수면을 취하는 동안, 안(눈)전도 및 뇌파를 통한 수면 양상을 비롯해 호흡 패턴 센서, 근전도, 심전도, 산소 포화도 등을 종합적으로 측정해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유무와 정도를 밝혀준다.
순천향대 병원은 대표 치료로 양압기를 소개하고 있다. 마스크를 착용한 채, 수면하는 것으로, 일정 압력을 코나 입을 통해 전달함으로써 폐쇄된 상기도를 열어 수면 중 숨을 제대로 쉴 수 있게 해준다.
수면 무호흡증은 주간 졸음, 기상 후 두통, 기억력 감퇴, 성욕 저하, 학습 부진 등 각종 문제를 야기하고, 심뇌혈관 질환 및 대사 질환 위험은 물론 주간 졸음으로 인해 산업 재해 및 교통사고 위험도 크게 높인다. 심한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이 있다면,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반드시 검사와 치료를 받아야 한다. 코골이, 수면 무호흡은 환자 자신은 인지하지 못하고, 가족에 의해 발견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더 많은 사람이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한편, 수면 다원 검사 및 양압기 치료가 2018년 07월부터 건강 보험 적용됨에 따라 환자들의 비용 부담이 크게 줄었다. 순천향대 천안병원 수면 센터는 2011년 충청 지역 최초로 수면 다원 검사를 시작했다. 센터장인 양광익 신경과 교수는 미국 클리블랜드 클리닉 수면 장애 센터 연구 전임의로 활동한 바 있으며, 국내외에서 권위를 인정받는 수면 전문의이다.
'건강 (정신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니 뇌졸중은 심각한 뇌졸중의 전조 (0) | 2018.09.24 |
---|---|
치매, 새로운 원인 단백질 발견 (0) | 2018.09.21 |
뇌손상 치료할 수 있는 물질 개발 (0) | 2018.08.16 |
파킨슨병은 자가 면역 질환의 일종 (0) | 2018.08.09 |
술 마시는 사람, 치매 확률 47% 낮다. (0) | 2018.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