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도 인공 지능(AI) 기술 개발에 사활
북한이 인공 지능(AI), 정보 통신 기술(ICT), 빅 데이터 등 디지털 경제 고도화 사업을 전면 추진한다. 연구 기관을 중심으로 교육과 과학 연구, 생산 일체화(산학 협동)를 본격화한다. 2019년 12월 30일 KDB 미래 전략 연구소와 업계에 따르면, 북한은 국가과학원, 김일성종합대학 첨단기술개발원, 김책공대 미래과학기술원 등 연구 기관 중심으로 디지털 경제 고도화 사업을 수립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스마트폰 보급과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개발 인력을 양성하고, 빅 데이터 분석 기술 프로그램 개발, 정보센터 구축을 국가 과제로 수립했다. 중국처럼 정부가 강력한 집행력을 갖고, 법규 제정과 탈규제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2019년 11월 북한은 '수자 경제와 정보화 열풍'이라는 주제로 '전국 정보화성과 전람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AI, 로봇 기술, 사물 인터넷(IoT), 안면 인식, 전자 상거래, 전자 결제 등이 화두로 등장했다. 게임, 안면 인식, 디지털 사전 등 새로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과 3D 프린팅 기술 상용화 사례까지 나타났다.
북한 정부는 최근 디지털 경제로 전환하는 세계 추세와 발전 잠재력을 언급하며, 정보 통신 등 첨단 기술 발전을 바탕으로 하는 '디지털 경제화'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KDB 미래 전략 연구소는 보고서를 통해 북한은 디지털 경제를 구현할 수 있는 여건과 한계를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독자 디지털 경제가 태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강력한 집행력, AI, 로봇, 안면 인식, IoT 등 일정 수준에 도달한 첨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국제 사회의 대북 제재와 폐쇄성, 데이터 관련 인프라 부족, 자금 부족 등이 한계로 꼽혔다. KDB 미래 전략연구소 한반도 신경제센터 사진환 연구원은 “과학 기술 중시 정책의 핵심인 디지털 경제 전환을 위해 북한은 조만간 '디지털 경제 발전 전략'을 채택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디지털 경제는 모든 경제 활동 전반을 컴퓨터망과 하나로 결합시킨 생태계를 뜻한다. 북한은 공업, 농업, 무역, 교육, 서비스업을 비롯한 사회 생활 전반이 디지털화 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정보 기술 결합에 기초한 AI, IoT 등 첨단 기술 개발, 초고속 광대역 통신망 구축, 정보 기술 인재 양성에 나설 계획임을 시사했다. 북한 로동 신문은 디지털 경제에서 부를 창조하는 활동이 몇몇 나라에 편중되어 있고, 일부 기업이 독점하고 있어 국가간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유엔 사무총장의 디지털 분열을 막기 위한 노력과 포괄성에 대해 언급했다.
유엔 무역 개발회의 '2019년 디지털 경제 보고서'에 따르면, 70개 주요 디지털 플랫폼 시가 총액의 90%, 블록체인 기술 특허 75%, 사물 인터넷 소비 50%,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의 75% 이상이 미국과 중국에 집중되어 있다. 2019년 디지털 경제 규모는 세계 GDP의 4.5-15.5%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이 디지털 경제 실현에 적극 나섰지만, 여러 한계가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국제 사회 대북 제재 등으로 첨단 기자재 확보와 무역을 통한 수요 확대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북한 전문 매체 NK 경제 강진규 대표는 “다만 북한은 국제 사회의 대북 제재로 인해 IT 부품, SW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에 실제 북한이 추구하는 목표를 어느 정도까지 구현할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인공 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인공지능(AI), 특허 3위 스타트업 2위 (0) | 2020.01.03 |
---|---|
인공지능(AI) 반도체, 르네상스 시대 (0) | 2020.01.02 |
AI 통역사, 자동 통번역 시장 급성장 (0) | 2020.01.02 |
인공지능. 5G. 로봇 기술 개발에 올인 (0) | 2020.01.02 |
중국 바이두(Baidu), AI 기술력 세계 1위 (0) | 2019.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