콧속 미생물, 독감 및 세균 감염 예방
★ 미국 미시간 대학의 베치 폭스만 연구팀은 코와 목에 있는 미생물이 세균 감염은 물론 독감도 예방한다는 증거를 발견했다. 이전 연구에서 호흡기 미생물이 외부 세균의 침입을 막아 호흡기 감염을 예방한다는 사실은 알려졌으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었다. 연구팀은 2012년에서 2014년 사이 니콰라과에서 진행된 니콰라과 가구 질병 전파 연구(Nicaraguan Household Transmission Study)에 참가한 717명의 지원자 중 독감에 걸리지 않은 537명의 코와 목에서 미생물을 채취했다.
연구팀은 채취한 미생물군의 전체 DNA를 추출해 세균을 동정하고 그 종류에 따라 다섯 그룹으로 나눴다. 그리고 독감 발생율을 추적 관찰한 결과, community state type 4라고 명명한 그룹에서 독감 발생율이 낮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그룹의 미생물은 푸조박테리움(Fusobacterium) 1 균주, 나이세리아(Neisseria) 1 균주,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1 균주 같은 특정 미생물의 비중이 높았다. 이는 코와 목의 호흡기에 있는 특정 미생물이 독감 예방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다만, 이번 연구에서는 연관성만 확인했으며, 정확한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외부에서 침입해서 인체에 감염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돌파해야 한다. 그중 하나는 본래 그 장소에서 살고 있는 미생물로 당연히 외부 침입자를 달갑게 여기지 않는다. 이들이 부리는 ‘텃세’는 숙주인 인간에게 면역력을 제공한다. 숙주가 건강해야 공생 미생물도 삶의 터전을 지킬 수 있음을 생각하면 사실 당연한 결과이다. 과학자들은 이 고마운 동반자들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앞으로 이들 통해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누구도 혼자서는 존재할 수 없다. 이 이야기는 철학이 아니라 과학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분명한 사실이다. 왜냐하면, 우리 몸에는 인간 세포 보다 더 많은 공생 미생물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과거에서는 이 미생물들이 그냥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고 살아가는 세균들이라고 생각했지만, 최근에는 숙주인 인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존재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대표적인 것은 장내 미생물로 음식물의 소화를 돕는 것은 물론 비만. 당뇨. 고혈압 같은 여러 가지 질환의 발생과 예방에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장 이외에 다른 장소에 사는 미생물 역시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건강 (미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치 유발 세균이 대장암 증식 촉진 (0) | 2019.03.10 |
---|---|
장내 미생물 균형 깨지면 우울증 발생 (0) | 2019.02.17 |
김치 유산균, 면역력 증강 효과 입증 (0) | 2019.01.19 |
노로바이러스 장염, 원인.증상.예방.치료 (0) | 2019.01.17 |
샤워기 헤드, 비결핵 항산균 조심! (0) | 2019.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