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이 곧으면, 천하(天下)가 곧아진다.
조선(朝鮮) 숙종(肅宗) 때, 당하관(堂下官) 벼슬에 있던 이관명(李觀命. 1661-1733)이 암행어사가 되어 영남 지방을 시찰한 뒤 돌아왔다. 숙종이 여러 고을의 민폐가 없는지 묻자, 곧은 성품을 지닌 이관명은 사실대로 대답했다.
"황공하오나 한 가지만 아뢰옵나이다. 경남 통영에 소속된 섬 하나가 있는데, 무슨 일인지 대궐의 후궁 한 분의 소유로 되어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섬 관리의 수탈이 어찌나 심한지 백성들의 궁핍을 차마 눈으로 볼 수가 없을 지경이었습니다."
숙종(肅宗)은 화를 벌컥 내면서 책상을 내리쳤다. "과인이 그 조그만 섬 하나를 후궁에게 준 것이 그렇게도 불찰이란 말인가!" 갑자기 궐내의 분위기가 싸늘해졌다. 그러나, 이관명은 조금도 굽히지 않고 다시 아뢰었다.
"신은 어사로서 어명을 받들고 밖으로 나가 1년 동안 있었습니다. 그런데, 전하의 지나친 행동이 이 지경에 이르렀는데, 누구 하나 전하의 거친 행동을 막지 않은 모양입니다. 그러니, 저를 비롯하여 이제껏 전하에게 직언하지 못한 대신들도 아울러 법으로 다스려주십시오."
숙종은 여러 신하 앞에서 창피를 당하자 화가 치밀어 올랐다. 그리고, 곧 승지(承旨)를 불러 전교(傳敎)를 쓰라고 명하였다. 신하들은 이관명에게 큰 벌이 내려질 것으로 알고 숨을 죽였다.
"암행 어사 이관명에게 부제학을 제수한다." 숙종의 분부에 승지(承旨)는 깜짝 놀라면서 교지(敎旨)를 써내려갔다. 주위에 함께 있던 신하들도 서로 바라보기만 할 뿐 도무지 짐작할 수가 없었다.
그리고, 숙종이 이윽고 다시 명했다. "부제학 이관명에게 홍문 제학을 제수한다." 괴이하게 여기는 것은 승지만이 아니었다. 신하들은 저마다 웅성거렸다. 또 다시 숙종은 승지에게 명을 내렸다. "홍문 제학 이관명에게 예조 참판를 제수한다."
숙종(肅宗)은 이관명을 불러들여 말했다. “경의 간언으로 이제 과인의 잘못을 깨달았소. 앞으로도 그와 같은 신념으로 짐의 잘못을 바로잡아 나라를 태평하게 하시오.”
권력 앞에서 그릇된 것을 그릇되다 말하는 용기도 훌륭하지만, 충직한 신하를 알아보는 숙종 임금의 안목도 훌륭했다. 정의를 외칠 수 있는 사회, 현자를 알아보는 사회, 상식이 통하는 사회, 이것이 진정 우리가 꿈꾸는 세상 아닐까요?
■ 세종 대왕의 명언 : “임금이 덕이 없고 정치를 잘못하면, 하늘이 재앙을 보내 하늘이 경계시킨다고 하는데, 지금 가뭄이 극심하다. 대소 신료들은 제각기 위로는 나의 잘못과 정령의 그릇된 것을 말하고, 아래로는 백성들의 좋고 나쁨을 거리낌 없이 마음껏 직언하여 하늘을 두려워하고 백성을 걱정하는 나의 지극한 생각에 부응 되게 하라!”
'한국 역사.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선도(尹善道) 오우가(五友歌) 중에서 (0) | 2017.03.06 |
---|---|
소년등과(少年登科) 패가망신(敗家亡身) (0) | 2017.01.26 |
걸레는 빨아도 수건이 되지 않는다. (0) | 2016.11.03 |
풍각쟁이로 변신한 젊은 참판 박중권 (0) | 2015.10.05 |
꼭 살아 돌아오라는 말을 남겼지만 (0) | 201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