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춘(回春)을 이루는 열쇠, 회춘 호르몬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생리학의 귀재로 불렸던 캐논(Cannon) 박사는 하버드 의과대학을 다닐 때, "인간은 몸이 비정상이 되면, 정상 상태로 되돌아가고, 질병 상태로부터 건강해지려는 항상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는 ‘자연 치유 이론’을 제창했는데, 그는 ‘우리 안에 있는 자연적인 힘이야말로 모든 질병을 고치는 진정한 치료제이다.’ 라고 했다. 인간의 노화(老化)는 항상성(homeostasis) 유지 기능이 떨어져 가는 것을 말한다.
체내 호르몬은 1,000가지 이상으로 추정한다. 그 중에 노화 시계를 정지시키는 것에 그치지 않고 심지어 다시 노화를 되돌릴 수 있다고 알려진 노화 방지 호르몬 혹은 회춘(回春) 호르몬이 있다. 그것의 정체가 바로 성장 호르몬(Growth hormone)이다. 많은 사람들이 성장 호르몬은 나이가 들어 성인이 되면, 몸에서 더 이상 나오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성장 호르몬(Growth hormone)은 시상하부(Hypothalamus)의 자극에 의해 뇌하수체(Pituitary gland) 전엽에서 분비되며, 뼈. 근육 성장뿐만 아니라 세포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준다. 성장 호르몬은 남녀 구분 없이 죽을 때까지 분비된다. 하지만, 성장 호르몬은 여자는 18-19세 때에 감소하고, 남자는 20세 때에 감소한다. 20대를 정점으로 10년마다 약 14%씩 감소한다.
성장 호르몬(Growth hormone)은 평생 분비된다. 성인이 되어서도 분비가 되지만, 이때는 근력. 콜라겐. 골밀도 등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성장 호르몬은 나이가 들면서 줄어들 뿐이지 분비가 멈추어지지는 않는다. 성인이 되어서 성장 호르몬이 부족하면, 심혈관계 질환이 빨리 온다. 같은 나이라도 관리 여부에 따라서 분비량이 2-3배 이상의 차이를 보일 수 있어 젊음 유지를 위해 성장 호르몬을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중요하다. 성장 호르몬의 분비량은 취침(Sleep) 30분 후와 운동(Exercise) 20-30분 후에 성장 호르몬 분비가 가장 많다.
★ 성장 호르몬(Growth hormone)의 기능 및 역할
1) 뇌(腦)에서 엔돌핀(endorphin) 분비를 촉진하고, 기억력(記憶力)을 개선시켜 준다.
2) 심장의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고, 신체 활력을 증가시켜 준다.
3) 단백질을 합성을 촉진하고, 근육의 양과 강도를 높여 준다.
4) 지방의 분해를 촉진하고, 혈관 내막의 기름때를 제거한다.
5) 소아. 청소년기에 가장 많이 분비되면서 뼈. 연골 등을 잘 성장하게 하고, 골밀도를 높여준다.
6) 피부 노화를 방지해 준다.
7) 성(性) 호르몬. 갑상선 호르몬. 코르티솔(cortisol). 멜라토닌 등의 분비에 관여하기 때문에 마더 호르몬(mother hormone)이라고 한다. 코르티졸(원형 탈모). 남성 호르몬(M 자형 탈모). 갑상선 호르몬(뒷머리 탈모) 모두 탈모(脫毛)와 관련된 호르몬이다.
★ 성장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는 방법
1. 근력 운동(Strengthening Exercise)은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한다. 운동을 무조건 열심히만 하면 되는 것이 아니다.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는 운동은 따로 있다. 파워 존(Power Zone)으로 알려진 허벅지. 엉덩이. 복부 근육의 근력 운동이 가장 좋다. 점핑하는 강력한 신체 운동은 평상시 보다 성장 호르몬 분비가 평균 5-6배, 최고 25배까지 증가한다. 줄넘기. 농구 등의 점핑 운동이 추천된다. 운동을 하고 나면, 혈당이 낮아지는데, 운동으로 인한 저혈당(Hypoglycemia) 상태는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한다.
2. 아주 어두운 곳에서 숙면(deep Sleeping)을 취한 후, 30분-2시간 후에야 비로소 성장 호르몬이 적극 배출된다. 하지만, 시끄럽거나 밝은 곳에 침실이 있어 깊이 잠들지 못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성장 호르몬 배출이 현저히 적다. 방 커튼을 두꺼운 차양으로 바꾸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3. 미역. 다시마. 굴. 생선. 콩. 된장. 계란. 요구르트. 멸치. 야채. 과일. 잡곡 등의 음식은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한다. 시금치. 마에는 아르기닌 성분이 풍부해서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한다. 우엉차에 들어있는 아르기닌 역시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한다.
4. 성장 호르몬은 단백질(Protein)의 자극에 의해 분비되고, 지방질(fat). 고혈당 탄수화물(sugar)을 과다 섭취하게 되면 억제된다. 단백질의 매일 최소 섭취량은 1g(단백질)/kg(체중)이다. 계란. 요구르트. 검은 콩을 통해 단백질을 보충하고, 닭고기. 돼지고기. 소고기 등은 기름을 제거한 후에 섭취하는 것이 좋다.
5. 매일 귀(Ear)를 잡아 당겨주거나 귀(Ear)의 내분비(內分泌) 및 뇌(腦) 혈 자리를 각각 지압해 준다. 귓구멍 입구의 아래쪽에 접시같이 움푹 파인 곳의 내분비(內分泌) 혈 자리와 귓구멍 입구의 부드러운 뼈 부위의 뇌(腦) 혈 자리를 지압하면, 뇌하수체를 자극해서 성장 호르몬 분비가 촉진된다.
6. 성장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는 회춘 지압법
1) 족삼리(足三里) 지압법
- 무릎 슬개골 바로 밑에 네 손가락을 대고난 후, 바깥쪽 정강이뼈 경계 지점이 족삼리(足三里)이다. 그곳을 10초간 눌러준다.
- 그곳의 대칭점이 바로 음릉천(陰陵泉)이다. 그곳을 함께 눌러주면 더욱 효과적이다.
2) 삼음교(三陰交) 지압법
- 안쪽 복숭아 뼈 바로 위에 네 손가락을 대고난 후, 엄지손가락 끝 지점의 정강이뼈 경계 지점이 삼음교(三陰交)(비장, 간장, 신장의 3개 경락이 만나는 지점)이다. 그곳을 10초간 누른다.
- 그곳의 대칭점이 바로 절골(絶骨)이다. 그곳을 함께 눌러주면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게 된다. 특히, 절골을 지압해주면 인슐린 분비가 원활해진다.
3) 곤륜혈(昆仑穴) 지압법
- 바깥쪽 복숭아뼈와 아킬레스 건 사이가 바로 곤륜혈(昆仑穴)이다. 그곳을 10초간 누른다.
- 그곳의 대칭점이 바로 태계혈(太溪穴)이다. 그곳을 함께 눌러주면 더욱 효과적이다.
7. 멜라토닌(melatonin)이 잘 분비되어 숙면(deep Sleeping)이 유도되어야 성장 호르몬(Growth hormone)이 잘 분비된다. 멜라토닌(melatonin)은 빛이 있으면 잘 생성되지 않고, 밤 10시부터 새벽 2시까지 잘 분비된다. 낮에 생성된 세로토닌(serotonin)은 뇌(腦)로 운반되고, 밤에 빛이 없는 상태에서 인간이 잠을 자면, 송과선(松科腺)에서 다시 멜라토닌(melatonin)으로 전환된다. 결론적으로, 낮에 세로토닌(Serotonin)이 잘 분비되도록 하고, 밤에 멜라토닌(Melatonin)이 잘 분비되도록 하면, 성장 호르몬(Growth hormone)이 잘 분비된다는 얘기이다.
★ 멜라토닌(Melatonin)은 수면을 유도하고, 성장 호르몬(Growth hormone) 및 갑상선 호르몬의 분비를 자극한다. 또한, 멜라토닌(melatonin)은 T 세포(T-cell)를 활성화하여 면역력을 높여주고, 활성 산소를 낮춰주며, 몸을 재생시켜준다. 멜라토닌(Melatonin)은 콩(soybean) 특히 검은 콩(서리태). 계란. 요구르트. 치즈, 양파, 꿀, 체리(7,000㎍). 샐러리(982㎍). 부추(275㎍). 브로콜리(225㎍). 치커리(156㎍). 새송이 버섯(150㎍). 마늘(135㎍) 등에 많다. 그런데, 밤에 야식(夜食)을 먹거나 밤늦게 운동 및 심한 활동을 하면, 멜라토닌 생성이 억제된다. 또한, 잠들기 전에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스마트폰의 불빛과 전자파가 멜라토닌 생성을 억제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고지방. 고칼로리 음식. 청량 음료 역시 멜라토닌 생성을 억제하므로 가급적 피하도록 해야 한다.
★ 세로토닌(Serotonin)은 ‘행복 호르몬’이라고 하는데, 장(腸)에서 대부분(95%) 생성되며, 뇌(腦)로 운반된다. 뇌(腦) 속의 세로토닌 신경은 도파민 신경(쾌락)과 노르에피네프린 신경(불안)을 잘 중재하여 너무 흥분하지도 않고 불안해하지도 못하게 하며, 평온한 마음, 즉 평상심(平常心)을 유지하도록 해 준다. 세로토닌(Serotonin)은 율려(律呂) 리듬을 통해 분비된다. 율(律)은 양(陽)으로 동작(動)을 하는 것을 말하고, 려(呂)는 음(陰)으로 고요하게(靜) 하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율려(律呂)는 동정(動靜)의 반복되는 리듬을 말하고, 우주 만물의 생명 리듬과 같은 것이다. 인간에게 가장 이상적인 호흡이 바로 율려(律呂) 호흡인데, 그것은 리듬을 갖춘 단전(丹田) 호흡을 말한다. 율려(律呂) 호흡을 통해 신체 면역력의 70%-80%를 담당하고 있고, 행복 호르몬이라고 불리는 세로토닌(Serotonin)이 95% 생성되는 복부(腹部)를 자극해야 한다. 그리고, 그곳에 정체되어 있는 혈액들을 제대로 순환시켜야 한다.
★ 세로토닌(Serotonin)은 율려(律呂) 동작을 통해 분비된다. 단전(丹田) 호흡, 복근 리듬 운동, 장 맛사지, 치아와 입술 사이를 혀로 돌려가며 맛사지, 씹는 동작, 익살스럽게 웃는 동작, 리듬 동작, 리듬 체조(댄스. 큰북 두드리기), 리듬타고 노래 부르기, 리듬타고 주문(呪文) 읽기, 몸을 리듬 있게 움직이기, 걷기, 조깅, 페달링, 수영 등의 동작을 통해서 분비된다. 세로토닌(Serotonin) 형성을 촉진하는 음식은 트립토판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콩(soybean) 특히 검은 콩(서리태). 계란. 요구르트. 치즈. 바나나. 아몬드. 붉은 생선 등이 있고, 세로토닌(Serotonin) 형성을 억제하는 음식은 밀가루 음식(빵. 라면. 과자), 커피, 설탕, 단순 탄수화물, 알콜 등이 있다.
★ 근력 운동(Strengthening Exercise)은 성장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는 가장 빠른 방법이다. 근력 운동을 하면, 근육 섬유가 마디마디 끊어진다. 성장 호르몬은 액틴(actin). 미오신(myosin) 근육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해서 끊어진 근육 섬유를 회복시킨다. 이것이 반복되면서 근육이 강화된다. 근력 운동을 꾸준히 계속하면 끊어진 근육을 복구하기 위해 성장 호르몬(Growth hormone)이 지속적으로 분비된다. 하루에 약 20-30분 정도의 근력 운동이면 충분하다.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운동 후, 반드시 휴식을 취해야 한다는 점이다. 매일 하는 것보다 하루 걸러서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장 호르몬은 휴식 시간에 분비되고 이때 근육이 붙기 때문이다. 운동 선수들이 훈련 후에 낮잠을 자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인체의 근육은 70%를 차지하는 하체부터 퇴화된다. 하체를 단련해야 몸이 나이 들지 않는다. 파워 존(Power Zone)으로 알려진 무릎 위의 허벅지. 엉덩이. 복부 근육의 근력 강화 운동은 성장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여 신체 나이를 젊게 한다.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 보다 1.8-2.0배 많은 성장 호르몬이 분비된다고 알려졌다. 1주일에 3일 정도 하루에 30분 이상 꾸준히 운동하면, 성장 호르몬이 증가하고, 뼈, 근육에 탄력이 생겨 혈액 순환을 촉진하며, 세포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하므로 성장이 촉진된다. 운동은 칼슘 흡수를 도와주어 뼈를 튼튼하게 만들어 준다.
★ 잠자는 시간(Sleeping time)에 성장 호르몬이 가장 많이 분비된다. 일반적으로 잠들기 시작해 30분-2시간 후, 깊은 수면에 들게 되면, 성장 호르몬이 분비된다. 수면에 방해되는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잠자기 전에 모든 불빛을 차단하고, 소음을 줄여야 한다. 성장 호르몬은 뇌(腦) 속의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멜라토닌의 영향을 받아 수면 중에 렘(REM) 수면 주기에 따라 분비된다. 주변 빛의 밝기가 일정 수준으로 떨어지면, 송과선에서 멜라토닌이 분비되고, 잠시 후 성장 호르몬 분비가 일어난다. 성장 호르몬이 가장 많이 분비되는 오후 10시부터 오전 2시 사이에는 잠자리에 들 수 있도록 수면 습관을 들이는 것도 필요하다.
★ 식사(Meal) 시간과 간식 시간은 3시간 정도의 간격을 유지해야 좋다. 성장 호르몬 분비는 인슐린(insulin)의 분비 시간과 반비례하기 때문에 식후 인슐린(insulin) 분비가 활발해지면, 성장 호르몬 분비는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 사람 보다 간식 등을 조금씩 자주 먹는 사람의 성장 속도가 느린 것도 이 때문이다.
식생활에서 단백질(Protein)과 칼슘 섭취가 가장 중요하다. 콩(soybean) 특히 검은 콩(서리태). 계란. 요구르트. 생선 등을 자주 먹는 것이 좋다. 중년층에게 가장 건강한 식단이 무엇인지 물으면, 대부분 채식이라고 답한다. 육류 섭취를 멀리하는 것이 건강한 식생활의 기본인 것처럼 잘못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장수와 고기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실제로 100세 이상 장수 노인들은 평생 계란. 요구르트. 치즈 등을 꾸준히 먹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인스턴트 식품. 패스트푸드와 같은 고열량 식품은 피해야 한다. 체지방을 분해하는 활동에 성장 호르몬이 모두 사용되어 키 성장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라면은 칼슘이 체내에 흡수되는 것을 막고, 탄산 음료는 체내 칼슘을 소변으로 빠져나가게 하므로 피해야 한다. 커피. 초콜렛. 콜라. 탄산 음료 등은 성장 호르몬 분비를 억제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설탕(sugar)은 충치. 골다공증을 유발하는 주범이 되기도 하지만, 혈중 포도당 수치를 올리고, 노화를 촉진하는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하며, 성장 호르몬을 감소시킨다. 그렇게 되면, 면역 체계가 약해지고, 몸 곳곳의 세포에 염증이 생기면서 체내 항산화 능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는 단순히 정제된 설탕의 문제만이 아니라 요리에 들어간 물엿, 과당, 올리고당 등도 상황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를 대신할 수 있는 조청 같은 비정제당을 먹는 것이 더 좋다.
우유(milk)는 칼슘 보충 식품이라고 믿었던 사람들에게는 충격적인 이야기일지 모르나, 우유를 많이 마시는 사람이 오히려 골다공증에 걸릴 확률이 높을 수 있다. 우유에 칼슘이 들어 있는 것은 맞지만, 우유를 마셨을 때 그 칼슘이 모두 몸에 흡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승남 박사는 저서 ‘내 가족을 위협하는 밥상의 유혹’에서 산성 식품인 우유를 많이 마시면, 산을 중화하기 위해 알칼리성 미네랄인 칼슘이 필요한데, 이를 대부분 치아나 뼈에 저장하고 있는 칼슘에서 가져가 오히려 뼈가 약해진다고 말한다. 따라서, 우유 속 칼슘을 그대로 흡수시키고 싶다면, 채소처럼 알칼리성 미네랄이 풍부한 식품과 반드시 함께 먹어야 한다.
★ 이렇게 먹으면, 빨리 늙는다.
1) 잠자기 전에 야식을 먹는다? : 나쁜 음식도 문제지만 먹는 습관도 노화를 부추길 수 있다. 잠자기 전에 탄수화물을 많이 섭취하거나 술을 잔뜩 먹으면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억제되는 것도 문제다. 성장 호르몬이란 젊음을 유지하는 데에 꼭 필요한 요소이다.
3) 배가 불러도 남은 음식은 다 먹는다? : 남는 음식이 아까워서 배가 부른데도 억지로 먹는 것은 당신을 늙게 만든다. 적게 먹을수록 오래 산다는 것은 이제 너무나 잘 알려진 상식이다. 쥐를 가지고 실험한 결과, 1/3 정도 적게 먹은 쥐들은 그렇지 않은 쥐들보다 50%나 오래 살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장수 마을 사람들은 배가 80% 찰 때까지만 먹고 수저를 내려놓는 것이 습관이 되어 있다.
2) 하루 세끼 고기만 먹는 황제 다이어트를 한다? : 무리한 식이 요법은 오히려 당신을 늙게 만들 수 있다. 단백질만 섭취하는 황제 다이어트는 우리 몸의 칼슘 흡수를 방해하고 많은 양의 칼슘을 소변으로 배출하는 황당한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단백질을 너무 많이 먹으면 체액이 산성화되고, 우리 몸은 이를 알칼리화하기 위해 뼈에서 미네랄을 빼내게 된다. 남자들이 근육을 키우겠다고 고기만 먹거나 단백질 보조제를 지나치게 많이 섭취하는 것 역시 비슷한 이유로 문제가 될 수 있다.
실제로 단백질 부족 보다는 단백질 과잉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더 많다. 인간은 잉여 단백질을 몸에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체내에서 배출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간장과 신장에 무리가 간다. 따라서, 습관적인 과잉 단백질 섭취는 간장과 신장에 큰 무리를 준다. 동물성 단백질이 우월하냐 식물성 단백질이 우월하냐의 문제도 있는데, 식물성 단백질이 동물성 단백질에 비해 몸에 더 좋다고 한다. 과도한 동물성 식품의 섭취는 간장. 신장. 대장 질환 및 골다공증 등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 성장 호르몬의 자가 진단법
1) 늘 피곤하고 휴식을 취해도 피곤이 풀리지 않는다.
2) 활력이 없고, 체력이 약하다.
3) 감정 조절이 쉽지 않고 우울하다.
4) 기억력이 떨어진다.
5) 모발 상태가 갑자기 가늘어지거나 푸석해진다.
6) 허리를 자주 삐끗한다.
7) 배 둘레가 급격히 늘어난다,
8) 동년배에 비해 나이 들어 보인다는 소리를 듣는다
위의 8가지 중에 3개 이상 해당되면, 종합 병원을 방문하여 성장 호르몬(Growth hormone)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1개일 경우 성장 호르몬(Growth hormone)에 대해 주의하는 것이 좋다.
★ 성장 호르몬 주사의 부작용
성장 호르몬 주사는 성장 호르몬 결핍증, 터너 증후군 등의 질환이 있을 때만 처방하는 치료제이다. 하지만, 정상인이 맞을 경우, 신체 내에서 정상적으로 만들어오던 성장 호르몬이 감소하게되고, 정상적인 생리 반응이 아닌 인위적으로 호르몬을 투입하게 되므로 부작용이 나타날 수 밖에 없다. 구토. 복통. 발진. 전신 가려움증. 간 효소 수치 증가, 관절통. 백혈구 수 증가. 뇌종양. 골수암, 척추 측만증, 불임 등을 유발할 수 있고, 뇌출혈 위험은 4-7배 증가하며, 장기적으로는 당뇨병. 동맥 경화증 등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작성일: 2016.08.13.일)[글 작성: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 최병문]
■ 남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는 것이 비젼(Vision)이다. ★ 건강 관련 자료 및 혁신적인 문화 소식을 소개하고 공유하고자 합니다. ★ 그래서, → ★ 회춘(回春), 생명공학의 열망(熱望)! 네이버 밴드로 초대합니다. → http://www.band.us/#!/band/55963286
'건강(장생 회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기능성 유산균, 아토피. 건선. 관절염에 효과 (0) | 2016.10.11 |
---|---|
■ 연년(延年) 장수(長壽) 비결 (0) | 2016.10.10 |
잠재 디스크, 허리 아픈데 검사하면 멀쩡! (0) | 2016.08.12 |
찬물로 샤워하면 건강해지는 이유 (0) | 2016.08.12 |
■ 세계적인 열풍, 얼굴 회춘(回春) 운동의 비결 (0) | 2016.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