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뿔도 모르면서’의 뜻과 유래
아주 아득한 옛날, 어떤 마을에 어떤 남자가 살고 있었다. 그는 한가할 때면 윗방에서 새끼를 꼬았는데, 그 때 생쥐 한 마리가 앞에서 알짱거렸다. 그는 조그만 쥐가 귀엽기도 해서 자기가 먹던 밥이나 군것질감을 주었다. 그러자, 쥐는 그 남자가 새끼를 꼴 때마다 윗방으로 왔고, 그 때마다 그 남자는 무엇인가 먹거리를 조금씩 주곤 했다. 그러던 어느 날, 그 남자가 이웃 마을에 외출을 나갔다가 들어오니, 자기와 똑같이 생긴 남자가 안방에 앉아 있지 않은가? 그는 깜짝 놀라서 외쳤다. "네 이 놈, 너는 누군데 내 방에 와 있는 것이냐?" 그러자, 그 남자도 같이 고함을 지르는 것이 아닌가? "너야 말로 웬 놈이냐?'
집안 식구가 모두 나왔으나, 도대체 누가 진짜 주인인지 알 수가 없었다. 자식은 물론 평생을 함께 살아온 부인까지도 구별할 수 없을 만큼, 그 두 사람은 똑 같았다. 어쩔 수 없이 모든 식구가 모인 상태에서 집안 사정에 대해 질문을 하고, 대답을 정확하게 하는 사람을 진짜 주인으로 인정하기로 했다. 부인 이름, 아버지 제삿날, 아들 생일 등등, 둘 다 막힘이 없이 모두 정확하게 대답을 했다. 그러자, 부인이 부엌의 그릇 갯수를 물어 보았다. 옛날의 남편들은 아무리 주인이라도 부엌 출입을 거의 하지 않았다. 부엌 살림살이는 물론 그릇이 몇 개인지 어찌 알겠는가? 진짜 주인은 대답하지 못했으나, 가짜는 그릇과 수저의 수까지 정확하게 맞추었다. 결국, 진짜 주인은 식구들에게 모질게 두들겨 맞은 뒤에 쫓겨나고, 가짜가 그 집의 주인이 되었다.
자신의 집에서 쫓겨난 그는 신세를 한탄하며 이곳저곳을 떠돌았다. 그러던 중 어느 날, 도력(道力)이 뛰어난 선사(仙師)를 만났다. 선사에게 자신의 처량한 처지를 하소연했다. 선사는 여차저차 사연을 들은 뒤에 이렇게 말했다. "그 가짜는 당신이 먹거리를 준 생쥐라오. 그 놈은 당신 집에서 살면서 당신에 대한 모든 것을 파악했고, 부엌에서 밥을 훔쳐 먹다보니, 부엌 살림까지 알고 있었던 것이오." 그는 노발대발하며 당장 돌아가서 그 생쥐를 때려 죽이겠다고 했다. 선사는 조용히 타일렀다. "어림 없는 말이오. 그 놈은 당신의 손때가 묻은 밥을 얻어먹으면서 당신의 정기(精氣)를 모두 섭취해서 영물(靈物)이 되었소. 그렇게 쉽게 죽일 수는 없을 거요."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여기 내가 기른 고양이를 줄 테니, 데리고 가서 여차저차 하시오!"
그는 선사(仙師)에게 얻은 고양이를 보따리에 감추고, 자신의 집으로 들어갔다. 대청에는 가짜 주인이 자신의 부인과 함께 담소를 나누고 있다가 소리를 질렀다. "저 놈이 그렇게 혼나고도 또 왔단 말이냐?" 그러자, 아들을 비롯한 식구들이 모두 나왔다. 그는 보따리를 풀어헤치며, 고양이를 내놓고 이렇게 대꾸했다. "오냐, 이놈아. 이것이나 본 뒤에 떠들어라." 가짜 주인은 고양이를 보자 혼비백산(魂飛魄散)하여 피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고양이가 더 빨랐다. 비호같이 덤벼들어 목을 물자, 가짜 주인은 생쥐로 변해서 찍찍거렸다. "이래도 누가 주인인지 모르겠느냐?" 그가 지금까지의 사연을 털어 놓자, 아내와 가족들은 백배 사죄하면서 잘못을 빌었다.
그 날 밤, 남편에게 술상을 들고 온 아내는 고개를 들지 못했다. 남편은 껄껄 웃으면서 말했다. "여보, 당신은 나와 그만큼 살았으면서 내x과 쥐x을 구별 못한단 말이오?" 아내는 더욱 고개를 들지 못했고, 남편은 너그렇게 용서를 해주고 잘 살았다고 한다. 위 이야기에서 x는 남자의 성기를 가리킨다. 여기에서 "쥐x도 모른다." 라는 말이 생겼다. 그러나, 아무리 속담이라도 남자의 성기를 입에 담기는 남사스러운 일이다. 그래서, x를 외형상 성기와 유사한 뿔로 바뀌어서 "쥐뿔도 모른다."란 속담이 생긴 것이다. 이 속담(俗談)의 의미는 "평생을 함께 산 배우자의 몸에 대해서도 모르는 주제에 뭐가 잘 났다고 아는 척 하느냐? 즉, 당연히 알아야 할 것도 모르는 주제에 공연히 나서지 말고 가만히 있어라." 라는 뜻이다. 하지만, 이 이야기는 여러 지방에서 비슷한 형태로 전해진다. 그러나, 지방에 따라 쥐가 개로 바뀌기도 했다. 그로 인해 "개뿔도 모른다."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고전 민담 우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이솝(aesop) 우화(寓話)에 나오는 박쥐 이야기 (0) | 2021.08.12 |
---|---|
■ 소나기(shower) 낱말에 담긴 고전적인 유래 (0) | 2021.07.06 |
다리 떨지마! 복 나간다! 그것의 유래 (0) | 2020.01.27 |
우리말 '엿 먹어라!’ 뜻의 유래 (0) | 2018.01.25 |
밤새 별일 없었죠? 인사의 유래 (0) | 2015.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