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자신의 골수줄기세포를 시험관에서 연골로 배양하는 실험이 사상처음 성공함으로써 골관절염을 “완치”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영국의 BBC인터넷판이 19일 보도했다.
영국 브리스톨 대학 사우스미드 병원의 관절염전문의이자 조직공학교수인 앤서니 홀랜더 박사는 골관절염 환자에게서 채취한 골수줄기세포를 시험관에서 배양해 1개월 남짓한 시간에 양질의 연골로 전환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밝힌 것으로 BBC는 전했다.
홀랜더 박사는 지금까지 인공적으로 배양된 연골은 굳어지거나 섬유질이 너무 많은 것이 문제였지만 자신이 만들어낸 연골은 이러한 문제가 없는 양질의 것이라고 밝히고 이처럼 제대로 된 연골이 시험관에서 배양된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홀랜더 박사는 앞으로 2년 안에 이러한 방법으로 배양된 연골을 환자에게 이식하는 임상시험이 시작될 수 있을 것이며 이 기술을 더 다듬어 개선해 나가면 10년 안에는 골관절염의 완치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골은 환자자신의 골수줄기세포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식했을 경우 거부반응을 걱정할 필요가 없으며 또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것이 아닌만큼 윤리논쟁도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홀랜더 박사는 말했다.
홀랜더 박사는 환자의 골수줄기세포를 세포의 발달을 촉진시키는 성장인자 등 풍부한 배양액이 담긴 시험관에 넣고 그 안에 설치된 폴리글리코산으로 만들어진 조립대(scaffold)를 따라 키운 결과 한 달여만에 0.5인치(약1.3cm)의 연골로 자라게 하는 데 성공했다.
이 조립대는 분해되는 외과용 봉합사와 같은 물질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를 이식했을 경우 그에 붙은 연골만 남고 조립대는 저절로 분해돼 없어진다고 홀랜더 박사는 설명했다.
연골이란 관절에서 뼈와 뼈가 맞부딪치지 않도록 그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해 주는 조직으로 연골이 손상되거나 닳아없어지면 양쪽 뼈 끝이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두꺼워지면서 서로 부딪쳐 심한 통증이 나타나게 된다.
(서울=연합뉴스) 입력 : 2005.12.20
'건강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흡연 여성.뚱뚱한 남성, 디스크 잘 걸린다 (0) | 2008.11.17 |
---|---|
우리 아이, 건강하게 책가방 메는 법 (0) | 2008.11.17 |
美포브스誌 ‘장수비결 15가지’ (0) | 2008.11.17 |
확산되는 자살 신드롬과 예방법 (0) | 2008.11.17 |
알코올 중독자 700명 조사해 보니 (0) | 2008.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