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생들의 인간다움은 사랑이야기에서 두드러진다. 열한 살 초제는 비 내린 어느 날, 벼슬아치 행차에 ‘출장’ 나가려다 가죽신에 구멍이 났다. 어찌할 바 모르는 그녀를 위해 더벅머리 소년이 신을 벗어주고 맨발로 갔다. 그녀는 소년의 신발을 꼭 감싸 쥐고 말했다. “저 비록 어리지만 처녀의 몸으로 다른 이의 신발을 신었다. 규방 여인의 행실이 변해서는 안 된다. 앞으로 그와 인연을 맺게 되면 오늘 일 때문일 것이다.”
|
남자를 겪지 않은 열다섯 초운은 한 유명한 선비로부터 시를 받았다. 이후 다른 손님을 거절한 채 우울하게 지냈다. 세월이 지나 선비가 평양에 머문다는 소식을 듣고 달려가 품속에 지닌 선비의 시를 보여 주었다. 얼마나 보고 또 보았는지 보풀이 심하게 날 정도였다.
기생 나섬은 곱고 아름다웠지만 도도했다.
준수한 남자와는 하루 저녁 정을 붙였지만 천박한 사내와는 백 꿰미 금전을 줘도 쳐다보지 않았다.
어느 소년 손님이 그녀의 가락지를 집어서 외설스런 짓을 했다. 그녀는 바로 가락지를 뺏어 부숴버린 뒤 정색하고 준절하게 책망했다.
67명 기생 중 맨 처음 등장하는 스물네 살 죽엽. 웅장하고 화려한 한양을 사랑하고, 개성 만월대 폐허에 눈물지었다는 그녀는 말한다. “언젠가 저도 한 사내를 만나면 그 남자 속박을 받겠지요. 봄 가을 좋은 날 명승지를 골라 거문고를 안고 가서 마음껏 노닐며 이 젊은 날을 놓치지 말아야지요.”
이동환 고려대 명예교수는 “황진이·홍랑 같은 유명 기생의 기록이 일부 있지만 이처럼 기생을 본격적으로 다룬 책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이 책에 묘사된 평양 기생들은 서화와 음악을 즐기는 ‘교양인’이었고, 지조도 높았다. 사랑하는 남자와 젊은 날을 즐기려는 탐미적 경향도 보인다. 책 제목 ‘녹파’는 대동강 푸른 물결, 평양을 상징한다.
스크랩: http://cafe.daum.net/do92 , dosu8888@daum.net
'근대사 (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전통 ‘솟대 문화공원’ 오세요. (충북 제천) (0) | 2006.07.01 |
---|---|
[스크랩] 임오군란시 명성황후 피난일기 발견 (0) | 2006.07.01 |
[스크랩] 다산 정약용, 위대한 패자(敗者) (0) | 2006.07.01 |
[스크랩] 전남 창평`의 창흥의숙 (昌興義塾) (0) | 2006.07.01 |
[스크랩] 조선시대 사람들은 지금보다 3배 먹었다. (0) | 2006.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