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도 한라산은 왕벚나무 원산지이다!
● 우리나라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승려 충담의 ‘앵통(櫻筒)’ 기록(765년)이 있다. 이것이 세계 최초의 벚나무 기록이다. 반면, 일본 고대사에는 벚나무 기록을 전혀 찾아볼 수 없다. 20세기 초 제주도에 머물던 에밀 타케(Emile Taquet) 신부가 1911년 일본에서 활동하는 선교사에게 한국 제주의 왕벚나무를 보내고, 그 답례로 일본의 온주 밀감 나무를 받아왔다. 그것이 일본 벚나무의 시작이며, 동시에 제주 귤 재배의 시작이다. 1908년 04월 15일, 에밀 타케 신부는 제주도 한라산 북쪽 관음사 부근의 숲속에서 왕벚나무의 꽃을 처음 보았다. 그 후 1912년, 그 표본을 독일 베를린 대학의 쾨네(Koehne) 박사에게 보내 제주도가 왕벚나무의 자생지임을 유럽 학계에 처음 알렸다. 왕벚나무 원산지는 제주도이며, 왕벚나무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던 나무이다.
● 1912년 일본이 미국 워싱턴에 제주도의 벚꽃나무를 선물로 보내준 것을 기념해서 미국 워싱턴 벚꽃 축제가 열린다.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벚꽃 축제는 바로 미국 워싱턴 DC의 벚꽃 축제이다. 매년 4월이면 워싱턴의 포토맥 강변은 벚꽃으로 뒤덮인다. 워싱턴 DC의 캔우드 거리는 벚꽃 천국으로 변한다. 이 장관을 보기 위해 무려 백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워싱턴을 찾는다. 미국 워싱턴 DC의 캔우드 벚꽃거리에도 위기가 있었다. 1941년 12월 07일에 일본이 진주만을 공습하자 미국에서는 일본을 상징하는 벚꽃나무를 베자는 여론이 거세게 일어났다. 그때 이를 강력하게 반대하고 나선 사람은 뜻밖에 조선인었다. 미국인들에게 "당신들은 벚꽃나무에 대해 잘못 알고 있소!"라면서 벚꽃나무를 베지 말자고 주장했다. 벚꽃나무를 베려던 미국인들을 향해 벚꽃나무의 원산지는 제주도 왕벚나무라고 반박한 후, 워싱턴 일대에 벚꽃나무를 식수하는 행사까지 열며, 적극적으로 반대 운동을 펼쳤다. 일본은 벚꽃나무의 원산지를 분명 '조선의 제주도'라고 명기하고 있었다. 일본은 일제 강점기에 제주도가 당연히 자기네 땅이라 생각해서 벚꽃나무의 원산지를 제주도산으로 밝히는데 주저할 이유가 없었다. 그 후, 일본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사랑받고 있는 꽃이 벚꽃이다. 일본은 자기 나라를 상징하는 꽃을 바로 우리나라 제주도의 왕벚나무로 삼았다. 일본은 거기에 대한 콤플렉스 때문인지 꾸준히 벚꽃나무를 마치 일본산인 것처럼 세계에 알렸다.
● 1939년, 일본 식물학자인 고이즈미 겐이치(小泉源一)씨는 제주도의 벚나무를 조사하여 일본 벚나무의 부모는 제주도에서 자라는 왕벚나무라고 발표했다. 일본에서는 ‘소메이 요시노’(ソメイヨシノ)란 일본 벚나무가 가장 널리 심는 벚나무이다. 그런데, 이 나무는 부모가 누구인지 명확하지 않았다. 일본 안에서 부모를 찾지 못하던 차에 1939년, 식물학자인 고이즈미 겐이치(小泉源一)는 제주도의 벚나무를 조사하여 일본 벚나무의 부모는 제주도에서 자라는 왕벚나무라고 발표한 것이다. 광복 이후 우리 학자들도 이를 확인했고, 일본 벚나무는 제주도를 원산지로 하는 왕벚나무가 건너간 것이라고 학계에 보고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 왕벚나무의 원산지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도 논란이 많았다. 재배하는 식물이 유래한 곳을 원산지라고 하는 것이지만, 그 곳이 어디인가를 규정하려면, 자생지가 어디인지를 입증해야 하는 것이다. 자생지의 조건은 천연 식생 중에 생육하고, 개체수가 많아야 하며, 다양한 변이를 가져야 하고, 늙은 나무에서 어린 나무까지 골고루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혈연적으로 가까운 종들이 많이 있어야 한다는 것도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조건을 구비한 곳은 세계적으로 한라산이 유일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라산에는 천연 식생 내에 자라고 있는 나무들이 많은데, 이 나무들은 어린 나무에서 200년생까지로 추정되는 늙은 나무까지 골고루 자라고 있다. 그리고 꽃, 열매, 종자, 잎 등 여러 가지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왕벚나무 외에도 한라산에는 특산 벚나무가 3종이나 더 있다. 이와 같은 요건을 구비한 곳은 아직까지 제주도를 제외한 어느 곳도 알려진 바 없다. 제주시 오등동의 한라산 관음사의 왕벚나무 숲은 울창하다. 이곳에는 100년생은 족히 되는 왕벚나무들이 있는가 하면 그 외도 여러 가지 벚나무 무리들이 있다. 올벚나무, 산벚나무, 잔털벚나무, 섬개벚나무, 산개버찌나무, 한라벚나무 같이 왕벚나무의 사촌쯤 되는 나무들이 많이 모여 살고 있는 것이다. 여러 가지 자생 벚꽃을 동시에 한 장소에서 볼 수 있는 매우 특이한 숲이다. 세계 유일의 왕벚나무 자생지의 모습을 두루 갖춘 곳이다. 왕벚나무는 우리나라가 원산인 나무 중에서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보급된 나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우리나라 식물 분류학계 원로였던 박만규 전 고대 교수(당시 국립과학관장)는 1962년 04월 17일 동아 일보에 “벚꽃은 우리꽃, 한라산이 원산지”라는 제목의 칼럼을 썼다. 그는 이 글에서 “왕벚나무는 제주도 한라산에서 출생하여 일본으로 건너가서 그들에게 총애를 받았고, 미국에까지 시집을 가서 귀염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 2001년 04월 11일, 산림청 임업 연구원 조경진 박사팀에 따르면, 한국 왕벚나무와 일본 벚나무 등을 대상으로 DNA 지문 분석을 수행했다. 유전 변이는 원산지의 수종에서 다양하고 크게 나타나는데, 연구 보고서에서 한라산 자생 왕벚나무가 일본의 것 보다 유전변이가 2.5배로 현저히 크며, 변이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정부는 꽃이 화려한 한라산 자생 왕벚나무를 제주 임업 시험장에서 대량 증식해 전국에 확대 보급할 계획이다.
● 2013년 11월 권위 있는 ‘미국 식물학회지’에 실린 논문에서 성균관 대학교 생명과학과 김승철 교수와 조명숙 박사 과정은 제주 왕벚나무가 올벚나무를 모계로 하고, 산벚나무 혹은 벚나무를 부계로 하는 자연 잡종으로 탄생했음을 핵 유전자와 엽록체 분석을 통해 밝혀냈다. 제주도 한라산의 왕벚나무는 야생종이다.
● 2018년 09월 13일,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명지대. 가천대 연구팀과 함께 제주도에 자생하는 왕벚나무 유전체(genome)를 완전히 해독했고,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을 세계적 저널인 '게놈 바이올로지' 2018년 09월호에 게재했다. 제주도 왕벚나무 유전체는 모두 8개의 염색체상에 있는 2,300만개의 DNA 염기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두 4만 1294개의 유전자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 왕벚나무는 잡종이 되면서 모계와 부계에는 없는 우수한 형질을 나타내는 '잡종 강세'를 보여준 사례이다. 야생 수목의 유전체를 완전하게 해독한 것은 세계적으로도 최초의 일이다. ★ 제주 왕벚나무는 올벚나무를 모계로 하고, 산벚나무 혹은 벚나무를 부계로 하는 자연 잡종이다. 반면, 일본 벚나무는 올벚나무를 모계로 하고. 오오시마 벚나무를 부계로 하는 교배 잡종이다. 유전자 분석 결과, 한국 왕벚나무와 일본 벚나무는 각각 그 지역 야생 벚나무 사이의 잡종으로 생겨났음이 밝혀진 것이다.
★ 2018년 09월 13일, 국립수목원 연구자들은 “유전체를 비교한 결과, 제주 왕벚나무와 일본 벚나무는 뚜렷하게 구별되는 서로 다른 식물”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 벚꽃 원산지 논란은 1960년대 제주도에서 왕벚나무 자생지가 발견되면서 일본 벚나무의 원조는 제주 왕벚나무라는 주장으로 자리 잡았고, 일본에서는 반대로 일본 벚나무가 제주도로 옮겨왔다는 주장으로 맞서며 계속됐다. 이에 따라 일본 기원의 벚나무도 ‘왕벚나무’로 표기하면서 제주산 특산 왕벚나무와 혼동을 불렀다. 제주에 자생하는 천연기념물 왕벚나무는 그대로 ‘왕벚나무’이다. 그리고, 일본에 자생하는 일본 벚나무는 일본에서의 표기법을 따서 ‘소메이 요시노(ソメイヨシノ) 벚나무’로 부른다.
■ 남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는 것이 비젼(Vision)이다. ★ 건강 관련 자료 및 혁신적인 문화 소식을 소개하고 공유하고자 합니다. ★ 그래서, → ★ 젊음(靑春), 생명공학의 열망(熱望)! 네이버 밴드로 초대합니다. → http://www.band.us/#!/band/55963286
'한국.한글 예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은 세계 5위, 제조 강국 발전 지수 (0) | 2020.01.02 |
---|---|
■ 한국인이 IQ 세계 최고, 세계 IQ 지도 (0) | 2019.12.29 |
미국(美國)과 한국(韓國)의 복지 수준 비교 (0) | 2019.01.25 |
한국인, 겨땀 냄새 안 나는 유전자 있다. (0) | 2018.04.09 |
한글은 세종대왕이 혼자 창제했을까? (0) | 2016.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