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 유산균, 과민성 대장 증후군 개선
● 유산균 8주간 투여 결과, 뚜렷한 증상 개선
잦은 설사 등으로 일상 생활에서 큰 불편함을 초래해 삶의 질을 크게 낮추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유산균 섭취 만으로 대폭 완화할 수 있게 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신철민 교수는 2018년 11월 30일 서울 광화문 HJ 비즈니스 센터에서 열린 '과민성 대장증후군 완화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설명 기자 간담회'에서 "2017년 분당서울대병원을 찾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 환자 112명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대표 발효 식품인 김치와 아기의 분변 등에서 얻은 3종류의 프로바이오틱스를 8주간 제공한 결과, 뚜렷한 증상 개선 효과를 얻었다”고 발표했다.
이는 일동제약. 분당서울대병원이 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수산식품 기술기획 평가원의 지원을 받아 3년 간 연구를 거쳐 얻어낸 결과이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 내과 이동호 교수는 "3종류의 프로바이오틱스는 각각 한국의 김치, 한국 아기의 분변, 발효 식품에서 얻은 것으로 식물성 유산균 (김치에서 얻은 Lactobacillus plantarum)과 동물성 유산균 (아기 변에서 얻은 Lactobacillus johnsonii)이 섞여 있어 마치 한국의 비빔밥을 연상시킨다”고 설명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은 인체 적용 연구에 참여한 과민성 대장 증후군 환자 112명을 56명씩 두 그룹으로 나눈 뒤, 의료진과 환자 모두 자신이 실제 유산균과 위약(placebo) 중 어떤 것을 제공하거나 섭취하고 있는지 알지 못하도록 했다. 심리적 요인에 의해 병세가 호전되는 이른바 '플라시보(placebo) 효과'로 인체 적용 연구 결과가 왜곡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연구 결과 최종 참여한 환자 104명에게서 어떤 중대한 이상 반응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3종류의 프로바이오틱스를 사람이 먹어도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의 김치와 아기의 분변, 발효 식품 등 3종의 유산균이 혼합된 프로바이오틱스(ID-JPL934)는 2년 전 일동 제약이 개발했다.
이동호 교수는 “3종 혼합 프로바이오틱스를 8주간 섭취한 과민성 대장 증후군 환자에서 복부 통증, 복부 팽만감 같은 증상이 위약(僞藥)을 먹은 환자 보다 눈에 띄게 좋아졌다”며, “3종 혼합 프로바이오틱스 섭취 후, 대변에서 프로바이오틱스 양이 크게 증가했다”고 말했다. 3종 혼합 프로바이오틱스가 배변 증상 이상 완화에 효과적이란 사실이 인체 적용 연구를 통해 확인된 셈이다.
신철민 교수에 따르면, 과민성 대장 증후군은 복부 불편감, 설사, 변비 등 배변 습관에 변화를 일으킨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 환자는 전 세계 인구의 7-9%로 추정되며, 국내에서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은 효능. 안전성을 확인한 3종 혼합 프로바이오틱스가 식품 의약품 안전처로부터 건강 기능 원료 인증을 받아 과민성 대장 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길 기대하고 있다.
'건강 (미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샤워기 헤드, 비결핵 항산균 조심! (0) | 2019.01.10 |
---|---|
말라리아 치료약 개발 해법 찾았다. (0) | 2018.12.06 |
바실러스 유산균, 빨간 김치에만 많다. (0) | 2018.11.26 |
슈퍼박테리아 잡는 새로운 물질 합성 (0) | 2018.11.17 |
락토바실러스 유산균, 뼈 형성 촉진 (0) | 2018.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