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일반)

■ 짠 음식 소금, 성인병 주범? 만병 통치약?

마도러스 2021. 8. 22. 20:41

■ 짠 음식 소금, 성인병 주범? 만병 통치약?

 

 소금은 면역 증강에 도움되지만, 과유불급(過猶不及) 조심해야한다.

 

 음식을 짜게 만드는 소금은 만병의 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다. 대중매체를 보면, 다이어트와 건강을 위해 저염식을 먹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하지만,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니다. 인류 역사상 소금만큼 인간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친 존재도 없을 것이다. 사람은 생리적으로 소금을 먹어야만 생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금은 인간이 지구상에 등장하면서부터 음식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사용되어 왔다. 특히 우리 조상들은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약물로 소금을 활용했다. 소금으로 이를 닦는 것은 물론, 혀에 백태가 끼거나 발가락에 무좀이 생겼을 때, 소금을 바르거나 문질렀다. 또한, 치통이나 피부병이 발생했을 때도 소금으로 닦고 씻는 등 소금을 거의 만병 통치약처럼 여겼다. 실제로 한의학에서는 소금을 중요한 약재로 사용했다는 기록들이 나온다. 명나라의 대표적 약학서인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총 75종의 소금을 활용한 처방이 수록되어 있고, 또한, 세종대왕 시절에 편찬된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도 소금 치료법만 수백 가지가 넘게 실려 있다.

 

 옛날에는 치아 발치(拔齒) 후에 지혈(止血)하기 위하여 치아 발치(拔齒) 후에 곧바로 간장 5ml 정도를 5분정도 입안 가득히 머금어서 지혈(止血)시켰었다. 간장 속의 소금 성분이 발치 부위의 모세혈관을 수축시켜서 지혈(止血)을 시켰고, 입안 소독 역할을 함께했다. 요즘은 치아 발치 후에 거즈를 2시간 이상 물어서 발치 부위를 압박하여 지혈한다.

 

 소금이 건강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틀린 말이 아니다. 특히, 소금은 고혈압을 유발하는 요인이라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소금을 구성하는 나트륨이 세포 속으로 들어가면, 세포는 균형을 맞추기 위해 수분을 흡수한다. 이 과정에서 세포막이 팽창하면서 근처에 있는 혈관을 압박하는데, 이런 현상이 바로 혈압을 상승시키는 이유가 된다. 하지만, 소금의 입장에서 보면 억울한 점이 많다. 지금도 소금이 사람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존재인데도 불구하고, 성인병을 일으킨다는 그 이유 하나만으로 식탁에서 퇴출될 위기로까지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소금은 너무 많이 먹어도 문제가 되지만, 소금을 너무 적게 먹어도 탈이 난다. 그 좋은 예가 바로 마라톤이나 축구처럼 땀을 많이 흘리는 운동을 할 때이다. 우리 몸은 일정 수준의 염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만약 소금 섭취를 거의 하지 않은 채, 물만 마시게 되면, 체내 염도가 떨어져서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소금을 적게 먹어서 문제가 되는 것은 체내 염도뿐만이 아니다.

 

 소금 첨가한 배지 대식세포가 훨씬 빠른 시간에 대장균 파괴했다.

 

 최근, 소금이 면역력 증강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 후, 그동안 몰랐던 소금의 효능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독일과 미국의 연구진이 저명한 학술지인 셀메타볼리즘(Cell Metabolism) 최근호에 기고한 논문에 따르면, 소금이 사람의 몸에 침입한 세균을 파괴할 수 있는 면역력을 기르는데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레겐스부르크대의 요나단 얀취 교수와 미국 밴더빌트대의 옌스 티체 교수가 이끄는 공동 연구진은 쥐를 대상으로 소금 섭취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던 중에, 상처가 난 피부에서 고농도 소금이 축적되는 것을 발견했다. 이 같은 현상에 흥미를 느낀 연구진은 대식 세포(몸에 침입한 세균을 파괴하는 역할을 하는 세포)를 서로 다른 조건에서 배양해 보았다. 대식 세포를 배양하는 2개의 배지에 대장균을 감염시킨 후, 한쪽 배지에만 소금을 첨가해 본 것이다. 그 결과, 소금을 첨가한 배지에서 자란 대식세포가 훨씬 빠른 시간에 대장균을 파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실험쥐를 대상으로 한 소금 섭취 실험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소금을 많이 먹인 쥐들이 적게 먹인 쥐들보다 세균의 감염으로부터 더 빨리 회복된 것이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공동 연구진은 항생제도 없고, 수명도 짧았던 조상들에게 소금으로 짜게 먹는 것이 세균 감염을 물리치는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연구진은 소금을 많이 먹을수록 면역력이 더 많이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라고 설명했다. 그래서, 소금을 먹는 용도 보다는 바르는 용도로 바꾸자는 대안을 제시했다. 피부가 세균으로 감염됐을 때, 먹는 소금의 양을 늘리는 것보다는, 차라리 소금을 함유한 수액이나 젤 등을 발라서 피부의 염분 농도를 상승시키자는 것이다. 공동 연구진은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는 속담을 염두에 두고, 소금 과다 사용을 경계했다. 그래서, 소금을 바르는 용도로 사용해 보자는 제안을 한 것으로 보인다. 너무 지나치면, 오히려 몸에 해롭다. 연구진은 소금이 지나쳐도 안 되지만, 모자라서도 안 되는 존재임을 알리고 있다.

 

 남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는 것이 비젼(Vision)이다.  건강 관련 자료 및 혁신적인 문화 소식을 소개하고 공유하고자 합니다.  그래서, → ★젊음(靑春), 생명공학의 열망(熱望)! 네이버 밴드로 초대합니다.

 http://www.band.us/#!/band/55963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