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檢察) 개혁

■ 작가 654명, 검찰 권력 해체, 윤석열 사퇴하라!

마도러스 2020. 12. 18. 23:43

■ 작가 654명, 검찰 권력 해체, 윤석열 사퇴하라!

 

작가 654명이 검찰 권력 해체와 윤석열 검찰총장 사퇴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권여선, 김용택, 박민규, 안도현, 장석남, 하성란, 함민복, 현기영 등 작가 654명은 2020 12 17 검찰 권력 해체를 촉구하는 작가 성명을 발표하고, 공수처의 조속한 설치, 윤석열 검찰총장의 사퇴 등을 요구했다. 작가들은 그동안 검찰은 국가기구를 통틀어서 가장 정치적인 집단 중의 하나, 지배 권력에 기생하며 살아왔다. 기소 독점권과 영장 청구권을 독점하고, 법을 자신들의 이해관계에 맞게 적용해 온 검찰은 검찰의 독립이나 중립을 이야기할 자격이 없다. 검찰에게 검찰 개혁을 요구하는 것은 환상이다. 검찰은 반성과 성찰이 먼저이다. 윤석열 검찰총장은 자진사퇴해야 마땅하다고 밝혔다.

 

작가들은 이어 검찰 개혁은 시대적 소명이다. ‘검찰 개혁의 필요성과 당위성은 어떤 국가적 과제보다도 우선한다. 친위 사정 기관이라는 이유로 공수처 설치가 지연되어서도 안 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검찰 개혁의 주체는 정권이 아닌 국민이어야 한다, “검찰 개혁은 자본과 정권으로부터 검찰을 독립시키고, 시민사회가 검찰의 권력을 견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검찰 개혁, 사법 개혁을 뒷받침할 수 있는 시민위원회 설치 사법감시기구로서 제도화하고, 지방검찰청의 검사장도 시민이 직접 투표로 선출해야 한다 시민검찰제 도입을 요구했다. 작가들은 현대 민주국가에서 모든 권력기관에 대해 시민들의 참여와 감시를 요청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기본 이념이라며 검찰 개혁, 검찰 해체는 주권자인 국민의 명령이라고 덧붙였다. 성명에는 염무웅, 이경자, 이상국, 이시영, 정희성, 현기영 등 전현직 한국작가회의 이사장을 포함하여 김명인, 김응교, 류보선, 서영채, 정우영, 조용미, 한승원 등의 작가들이 참여했다. 한편, 정직 2개월 징계 처분을 받은 윤석열 검찰총장은 2020 12 17일 오후 전자소송으로 징계처분 취소소송을 제기하고 징계처분 집행정지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검찰 권력 해체를 촉구하는 작가 성명서

 

촛불의 함성은 살아있다. 2016년에 타오른 수천만 개의 촛불은 박근혜와 최순실의 국정농단을 해결하기 위한 것만은 아니었다. 그것은 범국민적인 사회개혁 투쟁이었다. 촛불 시민들은 한국 사회의 구조적 모순이 기득권 세력들의 편법과 기만’, ‘독점과 부조리부터 기인한 것이라고 보고, 이들을 국민 전체의 힘으로 척결하고자 했다. 정치개혁, 사법개혁, 언론개혁, 재벌개혁, 노동개혁 등 수많은 요구들이 터져 나왔다. 촛불이 일으켜 세운 사회적 의제들은 시민정부를 바라는 열망으로까지 이어졌다. 그 뜨거운 촛불의 함성은 우리 국민들에게 여전히 살아있다.

 

 우리에겐 촛불 혁명의 과업이 남아있다. 촛불 정부가 수립되지 않았다면 박근혜·이명박 두 전직 대통령에 대한 단죄는 꿈도 꿀 수 없는 일이었다. 국정농단 관련자들도 하나둘씩 교도소로 향했다. 특히 놀라운 건 대한민국 사법부의 부끄러운 민낯이었다. 양승태 전 대법원장의 재판거래 사법농단은 실로 경악스러웠다. 건국 이래 최초로 대법원장을 지낸 법조인이 구속되는 모습을 우리는 볼 수 있었다. 이들에 대한 처벌은 촛불로 만들어낸 정부가 아니었으면 불가능했을지도 모른다. 이것은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기 힘든 일이었으며, 위대한 우리 국민들의 승리였다. 그러나, 정작 우리에겐 촛불 혁명을 완수해야할 과업이 남아있다. 정권교체가 혁명은 아니라는 사실을 우리는 알고 있다.

 

 검찰 개혁은 주권자인 국민의 명령이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막강한 권력기구인 검찰은 정의와 공정과는 거리가 멀었다. ‘오만과 부패’, ‘권력과 자본의 하수인으로 전락한 지 오래였다. 개혁 과제 중에서도 특히 적폐 청산 대상 1호는 검찰이 될 수밖에 없었다. 검찰 개혁이야말로 민주주의 확립의 시발점이었다. 하지만 검찰 개혁은 출발점에 서기도 전에 반민주 세력들의 극렬한 저항에 가로막혔다. 현대 민주국가에서 모든 권력기관에 대해 시민의 참여와 감시를 요청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기본 이념이다. 국민들이 권력 통제를 하는 것이 곧 국민주권주의이다. 지금의 검찰은 국민의 입장에서 보면 억압 기관이다. 우리는 현재와 같은 무소불위의 검찰 권력의 해체를 촉구한다. 검찰 개혁, 검찰 권력 해체는 주권자인 국민의 명령이다.

 

 검찰은 검찰의 독립을 말할 자격이 없다. 2019년 대검찰청 국정감사에서 윤석열 검찰총장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검찰의 권력 집중을 막고, 검찰 개혁을 이루려면, 사안별로 분산된 여러 개의 기구가 서로 견제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공수처도 그런 차원에서 공직비리를 여러 군데서 수사하면, 서로 견제할 수 있고, 더 많은 수사도 할 수 있어서 부패가 더욱 단속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 말을 보면, 정부의 검찰 개혁에 반대하지 않고 따르겠다는 뜻이었다. 그러나, 윤석열 검찰총장은 자신이 한 말을 지키지 않았다. 어쨌든 그는 검찰 개혁의 적임자가 아니었다. 법무부 검사징계위원회가 2020 12 16일 윤석열 검찰총장에 대해 정직 2개월을 의결했다. 현직 검찰총장에 대한 헌정사상 초유의 중징계 결정이다. 그동안 국가기구를 통틀어서 검찰은 가장 정치적인 집단 중의 하나로서, 지배 권력에 기생하며, 살아왔다. 기소 독점권 영장 청구권을 독점하고, 법을 자신들의 이해관계에 맞게 적용해온 검찰은 검찰의 독립이나 중립을 이야기할 자격이 없다. 검찰에게 검찰 개혁을 요구하는 것은 환상이다. 검찰은 반성과 성찰이 먼저이다. 그런 점에서 윤석열 검찰총장은 자진 사퇴해야 마땅하다.

 

 검찰 개혁의 주체는 정권이 아닌 국민이다. 검찰 개혁은 시대적 소명이다. ‘검찰 개혁의 필요성과 당위성은 어떤 국가적 과제보다도 우선한다. 친위사정기관이라는 우려로 공수처 설치가 지연되어서도 안 된다. 누가 뭐래도 검찰 개혁의 주체는 정권이 아닌 국민이어야 한다. 공수처는 국민들이 견인해나가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공수처는 말 그대로 또 다른 괴물이 된다. 이제부터 검찰 개혁은 자본과 정권으로부터 검찰을 독립시키고, 시민사회가 검찰의 권력을 견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검찰 개혁, 사법 개혁을 뒷받침할 수 있는 시민위원회 설치를 사법감시기구로서 제도화하고, 지방검찰청의 검사장도 시민이 직접 투표로 선출해야 한다. 시민검찰제를 점진적으로 추진해나가야 검찰의 부패와 인권 탄압을 감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소명을 담아 아래와 같이 촉구한다.  공수처를 조속히 설치하라.  검찰 개혁은 시대적 소명이다. 윤석열은 자진 사퇴하라.  검찰 권력 해체는 주권자인 국민의 명령이다. 시민검찰제를 추진하라. [2020 12 17, 검찰 권력 해체를 촉구하는 작가 성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