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 한 방울로 치매(알츠하이머) 진단
★ 서울대는 묵인희. 이동영 교수 연구진(의대 생화학 교실)이 알츠하이머병 유발 물질로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타우 단백질(Tau protein)의 뇌 축적을 혈액 검사로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019년 01월 21일 밝혔다. 피 한 방울만 있어도 치매 진단을 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된 것이다. 예측 정확도는 85% 수준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뇌과학 분야 국제적 학술지인 브레인(Brain)의 표지 논문으로 2019년 01월 21일 게재됐다.
알츠하이머의 조기 진단을 위해서는 발생 원인 중 하나인 타우 단백질(Tau protein)의 뇌 축적 여부를 검사해야 한다. 하지만, 고가의 양전자 단층 촬영(PET) 장비를 사용해야 한다. 많은 환자들을 진단하기 위한 저렴하면서도 정확한 축적 예측 기술의 개발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서울대 연구진은 혈중에 존재하는 타우 단백질이 뇌 안의 타우 단백질과 매우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실험 결과, 혈중 타우 단백질 농도가 높을수록 뇌에 타우 단백질이 많이 축적되어 있다는 연관성을 발견했다. 이번 연구가 실용화되면, 치매의 진행 정도를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어 치매의 예방 및 진행 억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묵인희 교수는“이번 연구를 통해 발굴된 뇌 타우 단백질(Tau protein) 예측 혈액 바이오 마커와 지난 연구에서 개발된 뇌 베타 아밀로이드(β-amyloid protein) 예측 혈액 바이오 마커를 함께 사용할 경우, 보다 정확한 알츠하이머병의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며“후속 연구를 통해 치매와 관련된 추가적인 지표를 발굴해 치매 예측의 정확도를 더욱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 누구나 100세를 바라보는 초고령화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하지만, 오래 사는 것까지는 좋은데, 문제는 치매이다. 한국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하면서 치매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93세로 타계한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이 대표적이다, 알츠하어머는 치매의 약 70%를 차지하는 대표적 치매 질환이다. 초기에는 치료도 가능하지만, 뇌세포 손상이 진행된 이후 발견되면, 근본적 치료가 어렵다. 그만큼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건강 (정신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류 호모시스테인, 뇌경색 위험 증가 (0) | 2019.02.08 |
---|---|
한쪽 눈 계속 떨리면, 안면 경련 의심 (0) | 2019.01.22 |
■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원인.증상.진단.치료 (0) | 2019.01.20 |
치매, 운동 호르몬 결핍과 관계있다. (0) | 2019.01.12 |
치매 예방 백신, 실마리 드디어 찾았다. (0) | 2018.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