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약 대신 무당 벌레로 해충 퇴치
● 농약 대신 날지 못하는 무당 벌레로 해충 퇴치
일본에서 농약 대신 날지 못하는 무당벌레를 풀어 진딧물 등 해충을 없애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일본 지바 현립 농업 대학교가 이른바 ‘날지 못하는 무당벌레’를 상품화하고 2018년 01월 판매에 들어간다. 우선 농가들을 대상으로 10마리당 500엔(약 4800원)에 판매된다. 지바 농대는 “이 상품을 활용하는 친환경 농업이 여러 농가에서 이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몇 년전, 나리타 세이료(西陵) 고등학교 학생들은 무당벌레의 날개를 수지 접착제로 굳혀 일정 기간 날 수 없게 하는 기술을 개발했는데, 이 기술을 활용하면 실내가 아닌 실외 농장에서도 무당벌레가 날아가지 않고 농장에 머물며 진딧물 등을 잡아먹는다. 고등학교 학생들이 개발한 기술은 무당벌레 날개에 직접 만든 접착 도구로 수지 접착제를 떨어뜨려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렇게 만든 무당벌레를 농장에 방사하면 1마리당 하루에 약 100마리의 진딧물을 잡아먹는다. 물론 날개에 붙인 수지는 무당벌레의 번식 능력 등에도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2개월 정도 지나면 자연스럽게 떨어지므로 그때까지 임무를 완수한 무당벌레들은 자유롭게 다시 날 수 있다.
진딧물은 농작물에 바이러스를 옮기는 등 큰 피해를 주는데 그동안 이를 없애기 위해 농약이 널리 쓰였지만 약제 내성이 생긴 진딧물까지 출현했다. 또한 점차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농작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높아지면서 무당벌레를 활용한 기술에 관심이 쏠려 왔다. 하지만, 지금까지 시중에 나온 날지 못하는 무당벌레는 비행 능력이 낮은 개체들을 교배해 품종 개량으로 태어난 개체를 판매하는 것으로, 구하기도 어렵고 가격도 비싸 농장에서 제대로 활용되지 못했다.
2014년 특허를 취득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술을 지바농대가 실용화하기 위해 농장에 방사하는 방법 등으로 연구했다. 파라핀 종이로 만든 봉투 안에 이렇게 날지 못하게 만든 무당벌레 몇 마리를 넣어놓은 뒤 원하는 곳에 개봉해 두면 알아서 확산해 진딧물을 사냥하는 것이다. 특히 상품화되는 무당벌레들은 지바현에 있는 농장에서 직접 채집한 개체군이므로 생태계 교란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은 지바현으로만 한정한다.
'농업 혁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멸종 위기 꿀벌 살릴 백신 개발 (0) | 2018.12.18 |
---|---|
인공지능이 농사짓는 스마트팜 개발 (0) | 2018.11.15 |
자동화 로봇을 농업 현장에 투입하는 일본 (0) | 2017.12.06 |
로봇 농부 등장, 인간 없는 농업 시대 (0) | 2017.03.19 |
장차 농업 농장 작업도 완전 무인화 된다. (0) | 2017.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