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른 사람이 뚱뚱한 사람 보다 위험
■ 건강 검진 수검자 16만명 추적 관찰 결과
저체중인 사람의 사망 위험이 과체중이거나 비만한 사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체중은 비만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체질량 지수(BMI)가 18.5㎏/㎡ 미만인 경우이다. 체질량 지수는 몸무게(㎏)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눠 계산하며, 정상 체중(18.5~22.9㎏/㎡), 과체중(23~24.9㎏/㎡), 비만(25㎏/㎡ 이상)으로 구분된다.
보통 저체중에 해당하는 마른 사람은 정상 체중을 넘어선 과체중, 비만인 뚱뚱한 사람 보다 건강하다고 여겨지지만, 마른 사람이 더 위험할 수 있는 것이다. 강북 삼성 병원 순환 기내과 성기철 교수팀은 2002년부터 2013년까지 건강 검진을 받은 16만 2천 194명을 대상으로 체질량 지수에 따른 사망률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대상자를 저체중, 정상 체중, 과체중 또는 비만으로 구분하고, 전체 사망률과 암 사망률, 심혈관 질환 사망률을 평균 4.9년 동안 추적 관찰했다.
이 과정에서 체질량 지수 이외에 사망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혈압, 당뇨병 등 기저 질환이 있는 대상자는 제외하고 성별, 나이, 흡연 상태, 교육 수준 등의 변수가 반영되지 않도록 보정하는 작업을 거쳤다. 그 결과, 정상 체중과 비교해 저체중인 사람의 사망률은 증가하고 과체중이거나 비만한 사람의 사망률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체중인 사람의 전체 사망률은 정상 체중인 사람 보다 53% 증가했고, 과체중 또는 비만한 사람의 전체 사망률은 정상 체중 보다 23%가량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런 결과는 암, 심혈관 질환과 같은 질병에 의한 사망률에서도 마찬가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체중인 사람은 심혈관 질환 사망률은 정상 체중 보다 34%, 암 사망률은 21% 증가했지만, 과체중이거나 비만한 사람은 정상 체중일 때와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최근 비만하면 건강을 해친다는 인식이 강해지면서 상대적으로 저체중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등한시되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저체중으로 마른 사람이 과체중이거나 비만으로 뚱뚱한 사람 보다 건강이 안 좋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저체중의 사망률이 높은 이유는 영양 부족, 근육량 감소 등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가 부족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저체중 환자 역시 고도 비만 환자 못지않게 건강에 적신호가 켜진 상태이므로 평소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사망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건강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 근육 감소증 예방에 계란이 최고 (0) | 2017.03.14 |
---|---|
샴푸 통은 녹농균 번식처! 똑똑한 관리법 (0) | 2017.03.07 |
시중 전자파 차단 제품 차단 효과 없어 (0) | 2016.12.13 |
전자파 과민증, IT의 빛과 그림자 (0) | 2016.11.24 |
방부제 밀가루, 썩은 밀가루 폭로 (0) | 2016.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