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Bio 혁명)

손상 장기에 붙이는 세포 스티커 개발

마도러스 2015. 6. 10. 09:19


손상 장기에 붙이는 세포 스티커 개발

 

[서울 신문] “아픈 상처에 그냥 붙이기만 하세요.” 국내 연구진이 피부는 물론 손상된 장기에도 갖다 붙이기만 하면 저절로 치료가 되는 세포 스티커 기술을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개발했다.

 

서강대 화학과 신관우 교수는 미국 하버드대 바이오 질병 연구소 연구진과 함께 손상된 장기나 피부에 붙이는 것만으로 치료가 가능한 세포 스티커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고 2015.06.09일 밝혔다. 연구팀은 동물실험에 성공한 상태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신소재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최신호 표지 논문으로 실렸다.

 

기존에도 손상된 장기나 신경의 특정 부위에 세포를 자라게 해서 치료하는 방법들은 상당수 연구돼 왔다. 그러나, 대부분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보형물을 이용하는 수준이었다. 이 때문에 이식된 부분의 세포들이 인공 조직과 제대로 접합되지 않고 거부 반응을 나타내거나, 보형물로 인해 조직의 형태가 틀어지는 등 부작용이 많았다.

 

연구진은 우선 이온을 포함하고 있는 고분자 물질로 그물망 형태의 단백질을 만들었다. 그 위에 정상 조직에서 추출해 낸 세포를 올려놓 으면, 스티커처럼 상처 부위를 감싸며 달라붙는다. 이렇게 형성된 세포-단백질 그물망은 스티커처럼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부착할 수 있고, 해당 장기를 빠른 시간 내에 원상 복구 시킨다.

 

연구팀은 실제로 실험쥐의 심장을 손상시킨 뒤, 심장에서 떼어낸 세포로 세포 스티커를 만들었다. 세포 스티커를 손상된 심장 부위에 붙여 치료한 결과 심장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세포 스티커는 심장 이외 다른 장기와 피부에도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번 기술은 치료 대상자 본인의 세포로 만들기 때문에 거부 반응이 나타나지 않아 장기 및 신경 세포의 안전한 치료 방법으로 기대되고 있다. 신관우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를 활용하면 가슴 성형 내부 보형물이나 심장 인공 판막 등에서 나타나는 신체 거부 반응을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기술 상용화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하버드대 연구진과 함께 서강대 내에 공동 연구 센터를 만들어 운영 중”이라고 말했다. [서울 신문, 입력: 2015.06.0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