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들이 폐암으로 사망하는 까닭
2005년 5월 정세영 현대산업개발 명예회장과 박성용 금호그룹 명예회장이 거의 동시에 폐암으로 별세했습니다. 그보다 1~3년 앞서 별세한 최종현(SK), 박정구(금호), 양회문(대신) 회장도 모두 폐암 때문에 사망했습니다. 사람들은 재벌의 어떤 특성이 폐암과 연관돼 있는지 궁금해 하고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폐암의 가장 큰 발병원인은 흡연이지만 재벌회장이 특별히 담배를 많이 피우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스트레스도 발병 원인 중 하나지만, 스트레스는 위암 등 다른 암의 발병에도 깊이 관여하므로 재벌의 폐암을 스트레스 때문이라고 말하기도 어렵습니다. 폐암은 식사습관과 큰 관계가 없으므로 재벌들의 호화로운 식단도 원인이라고 말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때문에 암 전문의조차 재벌과 폐암의 상관관계를 분명하게 말해주지 못합니다.
그래서 저는 ‘재벌회장은 건강검진을 철저히 받았기 때문에 폐암으로 사망한다’는 조금 엉뚱한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우리나라 사람에게 많은 위암, 폐암, 간암, 대장암 등에 걸릴 확률은 사실 재벌이나 필부필부(匹夫匹婦)나 대동소이할 것입니다. 따라서 폐암에 걸린 재벌의 수만큼 위암이나 간암, 대장암에 걸린 재벌이 있었을 것이라는 게 제 생각의 출발점입니다.
그러나 위암이나 대장암은 내시경 검사로 조기발견이 매우 용이하며, 조기 발견된 위·대장암은 90% 이상 완치됩니다. 결국 위암이나 대장암에 걸린 재벌들은 대부분 ‘소리 소문 없이’ 치료해 버렸기 때문에 일반인들에게 암 발병 사실이 노출되지 않았을 것이란 얘깁니다. 간암의 경우도 대부분 간염이나 간경화를 거쳐 발병하므로 사전에 암 발병을 차단할 기회가 많다는 점을 감안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러나 폐암은 1차 검진법인 가슴 X선 촬영으로도 조기발견이 쉽지 않고, 설혹 조기 발견되더라도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재벌회장이라도 피해갈 수 없이 ‘덫’에 걸리게 됐다는 것이 제 엉뚱한 추리의 결과입니다. 실제로 세브란스병원 암 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폐암은 위·간·대장암 등에 비해 조기발견율이 가장 낮았으며, 전체 암 중 5년 생존율도 1.3%로 가장 낮았습니다.
우리나라 재벌회장들이 위암이나 대장암으로 사망하지 않고 대부분 폐암으로 사망했다는 사실은 역설적으로 대중들에게 매우 고무적입니다. 폐암이 아닌 위·간·대장암 등 다른 주요 암들은 정기적인 검진으로 모두 예방할 수 있다는 명백한 증거가 되기 때문입니다.
임호준-조선일보 의료건강팀 팀장 |
'감동.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조개속의 진주는 인고의 세월 (0) | 2006.06.23 |
---|---|
[스크랩] 저는 승리하기로 결심했습니다! (0) | 2006.06.23 |
[스크랩] 색깔로 보는 심리 (0) | 2006.06.23 |
[스크랩] 부모가 먼저 공부하는 모습 보여주야죠” (0) | 2006.06.23 |
[스크랩] 암기력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 (0) | 2006.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