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 소재

■ 리튬 금속 전지, 수명 연장 전해액 첨가제 개발

마도러스 2021. 11. 17. 01:47

 

■ 리튬 금속 전지, 수명 연장 전해액 첨가제 개발

 

 리튬금속전지 수명을 대폭 늘릴 수 있는 전해액 첨가제를 개발

 

차세대 배터리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리튬금속전지는 저장 용량이 리튬이온전지 보다 10 정도 커서 전기자동차 등으로 적합하다. 다만, 수명이 짧고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한계 때문에 상용화가 어려웠다. 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리튬금속전지의 수명을 대폭 늘릴 수 있는 전해액 첨가제를 개발하여 빠른 상용화의 길을 텄다는 평가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최남순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리튬금속전지의 수명을 연장하게 하는 전해액 첨가제 기술을 개발했다고 2021 11 16일 밝혔다.

 

 수명 연장, 600사이클 달성, 상용화 핵심 과제 풀었다

 

개발된 첨가제 조합 기술은 리튬 금속 음극 표면에 바람직한 이중층 고체전해질 계면 박막을 형성하여 리튬 덴드라이트 형성을 억제하고, 리튬 이온을 균일하게 전달하여 리튬금속전지의 수명과 고속 충전. 방전 특성을 대폭 향상시켰다. 오래 달리는 전기차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전지의 핵심 성능인 에너지 밀도를 높여야 한다. 리튬금속전지는 리튬이온전지의 흑연보다 10배 이상 높은 용량을 발현하는 리튬금속 음극을 채용하고 있어 전지의 고에너지 밀도화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환원력을 가지는 리튬금속 음극과 전해액의 반응을 제대로 제어하지 못하면, 리튬금속전지의 장수명을 달성하기 어렵다.

 

연구팀은 고체전해질 계면막을 계층화하고, 형성된 이중층 계면막의 담당 기능을 구체화할 수 있는 환원반응성과 흡착력이 다른 2종 이온성 첨가제를 도입하여 수명을 획기적으로 늘리는데 성공했다. 니켈리치 양극 표면을 보호하는 얇은 계면막을 형성하여 양극의 구조적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리튬금속 음극이 가지는 불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해 전자 받음 능력과 흡착 경향성에 따른 이온성 첨가제의 순차적인 환원 분해에 의해 이중층 고체전해질 계면막이 형성되도록 설계했다. 리튬금속 음극에 근접한 계면막은 리튬 전착-탈리반응에 따른 스트레스를 견딜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리튬플루오라이드(LiF) 성분의 물질을 가지도록 했다.

 

바깥쪽 계면막은 전해액으로부터 리튬이온이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이온 수송 능력이 우수한 리튬나이트라이드(Li3N) 물질이 포함되도록 했다. 이러한 리튬 금속 음극 표면 고체 전해질 계면막의 계층적 구조화 기술은 리튬-합금기반 음극재, 리튬저장 구조체 및 무음극 기술 등과도 접목이 가능하다. 기업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리튬금속전지를 실현하는 전해액 핵심 소재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차 전지 시장 판도를 바꿔 놓을 게임 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무음극 이차 전지 기술의 경우, 충전시 리튬 금속이 음극 기재에 생성되므로, 리튬 금속을 안정화시키는 전해액 첨가제 기술 무음극 이차 전지의 성능을 더욱 끌어올리는 데 기여할 것이다.

 

개발된 리튬 금속 음극 보호용 이중층 계면막 기술은 리튬 금속 음극과 니켈 리치 양극으로 구성된 전지의 600회 충전. 방전 후에도 초기 용량의 80.9%를 발현했으며, 99.94%의 매우 높은 쿨롱 효율을 보였다. 김세훈 KAIST 생명화학공학과 박사 과정은 "리튬디플루오로 옥살레이트 포스페이트(LiDFBP)와 리튬나이트레이트(LiNO3)를 불소 도너와 질소 도너형 첨가제로 도입하여 리튬 금속 음극의 가역성과 형상 균일화가 가능했으며, 이러한 이중층 계면막은 양극과의 크로스 토크(cross-talk)을 최소화하여 4V 이상의 고전압에서 전해액이 분해되지 않도록 했다. 기존에 보고된 리튬 금속 전지용 전해액 조성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고전압. 장수명 리튬 금속 전지용 전해액 소재를 개발하게 됐다" 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에너지 스토리지 머터리얼즈 (Energy Storage Materials)' 2021 10 25일 온라인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