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 컴퓨터

포스텍, 차세대 양자 소자 구현 기술 구축

마도러스 2020. 10. 5. 05:32

■ 포스텍, 차세대 양자 소자 구현 기술 구축

 

포스텍, 초고감도 검출기 개발, 대규모 양자 컴퓨터 개발 가능

 

10억배 향상된 초고감도 마이크로파 검출기가 개발되었다. 삼성미래기술 육성사업의 지원을 받은 이길호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마이크로파 세기를 1초간 측정 기준 1아토와트 (100경분의 1와트) 수준으로 검출할 수 있는 초고감도 마이크로파 검출기를 개발했다. 20201004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연구 결과는 차세대 양자 정보 기술 상용화를 위한 원천 연구로 인정받아 20200930일 최상위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게재됐다. 연구는 이길호 교수팀과 미국 레이시온 비비엔, 하버드대학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스페인 바르셀로나 과학기술연구소, 일본 물질재료 연구기구와 공동으로 진행됐다.

 

전자기파의 한 종류로 전자레인지에 사용되어 우리에게 익숙한 마이크로파는 이동 통신, 레이더, 천문학 등 폭넓은 과학 기술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양자 컴퓨팅, 양자 정보 통신 등 양자 정보 기술에도 활용 가능하다고 알려지면서, 마이크로파를 초고감도로 검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현재 마이크로파 검출기로 사용되는 볼로미터는 마이크로파 흡수 소재, 흡수한 마이크로파를 열로 바꿔주는 소재, 발생한 열을 전기 저항으로 변환하는 소재로 구성되며, 전기적인 저항의 변화를 이용해서 흡수된 마이크로파의 세기를 계산한다. 그러나, 볼로미터는 실리콘이나 갈륨비소 등 반도체 소자를 마이크로파 흡수 소재로 사용하기 때문에 검출 한계가 1초간 측정 기준 1나노와트 (10억분의 1와트) 수준에 머무는 등 정밀한 세기 측정이 불가능했다.

 

이길호 교수 연구팀은 볼로미터의 소재와 구조 혁신을 통해 이 한계를 돌파했다. 먼저 마이크로파 흡수 소재로 반도체가 아닌 그래핀을 사용해 마이크로파 흡수율을 높였다. 그리고 두 개의 초전도체 사이에 그래핀을 끼워 넣는 '조셉슨 접합 구조'를 도입하여 그래핀에서 발생하는 전기 저항 변화를 10피코초 (1000억분의 1) 이내로 검출할 수 있게 했다. 그 결과, 마이크로파 검출을 이론적 한계인 1초간 측정 기준 1아토와트 (100경분의 1와트) 수준으로 높일 수 있었다.

 

이길호 교수는 "이번 연구는 차세대 양자 소자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한 기반 기술을 구축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양자 컴퓨팅 측정 효율을 극대화해 대규모 양자 컴퓨터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길호 교수 연구팀의 이번 연구는 201706월 삼성미래 육성사업 과제로 선정되어 지원받고 있다. 한편, 삼성미래기술 육성사업은 우리나라의 미래를 책임지는 과학 기술 육성을 목표로 2013년부터 15000억원을 출연하여 시행하고 있는 연구 지원 공익 사업이다. 삼성미래기술 육성사업은 지금까지 603개 과제에 7,729억원을 집행했으며, 국제 학술지에 총 1,255건의 논문이 게재되는 등 활발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 중 네이처(4), 사이언스(5) 등 최상위 국제 학술지에 소개된 논문도 101건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