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자 1개 자기장까지 MRI 촬영 기술 개발
원자 1개의 자기장을 관찰할 수 있는 자기 공명 영상(MRI) 기술이 개발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양자 나노과학 연구단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단장 연구팀과 미국 IBM 연구팀으로 이뤄진 공동 연구팀이 기존 보다 100배 이상 해상도를 높인 MRI 기법을 구현했다고 2019년 07월 02일 밝혔다.
MRI는 병원에서 질병을 진단할 때 주로 쓰인다. 몸을 이루는 원자들의 스핀이 외부 자기장에 반응해 신체 내부를 시각화하는 원리이다. 병원의 MRI 기기 촬영에는 보통 수억 개 원자 스핀이 필요하다. 이후 미시 세계 연구를 위해 분자 수준까지 측정할 수 있는 MRI 연구가 이뤄졌으나, 해상도가 나노 미터 수준에 그쳐 개별 원자를 또렷이 보기는 어렵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독특한 분자 구조 신소재나 양자 소자 등 미시적인 자성 현상을 갖는 물질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개별 원자 스핀 시각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눈으로 볼 수 있어야 나노 구조물을 원하는 대로 정확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꾸준히 연구해 온 주사 터널링 현미경(STM, Scanning Tunneling Microscope)에서 해결책을 찾았다. 주사 터널링 현미경은 아주 뾰족한 금속 탐침을 시료 표면에 가깝게 스캔해서 탐침과 시료 사이에 흐르는 전류로 표면 원자를 보는 장비이다.
연구진은 주사 터널링 현미경 탐침 끝에 원자 여러 개를 묶은 스핀 클러스터를 부착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스핀끼리 자석처럼 서로 끌어당기거나 밀어내는 성질에 착안한 것이다. 스핀 클러스터는 안정적인 탐침 원자와 달리 자기장을 띠어, 시료 원자의 스핀과 자기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한편, 초고진공, 극저온 조건을 적용해서 탐침이 시료 표면에 더욱 가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그 뒤, 시료 원자 주변으로 탐침의 스핀 클러스터를 움직이며, 원자 한 개를 시각화하기 위해 실험을 거듭했다.
그 결과, 연구진은 표면 위 원자 하나와 스핀 클러스터 사이의 자기적 공명을 읽는 데 성공했다. 원자 한 개와의 자기적 공명 에너지를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는 기존의 분자 수준 자기 공명 영상 보다 100배 높은 해상도로, 원자 하나의 또렷한 자기 공명 영상을 촬영한 것은 최초이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된 기술을 사용해 단백질이나 양자 시스템처럼 복잡한 구조 속 원자 하나하나의 스핀 상태들을 시각화할 계획이다. 필립 윌케 연구위원은 “최근 자성 저장 장치를 포함해서 나노 수준에서 다양한 자성 현상이 보고되고 있다. 이번 자기 공명 영상 기술로 고체 표면, 양자 컴퓨터의 스핀 네트워크, 그리고 생체 분자까지 여러 시스템의 스핀 구조를 연구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연구단장은 “병원에서 MRI로 사진을 먼저 찍어야 진단과 치료를 할 수 있듯이 물리적 시스템도 정확히 분석해야 변형과 응용이 가능하다. 이번 연구로 원자들의 성질을 스핀 구조라는 새로운 측면에서 확인했다”고 의의를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피직스’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기계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자석 없이 모터를 만든다. 무자석 모터 개발 (0) | 2021.06.24 |
---|---|
■ 한국 기계 산업 세계 8위, 국가 차원 지원 절실! (0) | 2021.01.12 |
현대모비스, 루프 에어백 세계 첫 개발 (0) | 2020.03.26 |
MRI 빅3 아성 무너뜨린 中國 유니콘 (0) | 2019.12.14 |
■ MRI 크기 무게 절반, 초전도 기술 개발 (0) | 2019.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