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국장이 알레르기 질환 억제한다.
청국장에 들어있는 끈적끈적한 물질인 폴리감마글루탐산(polyglutamic acid)의 항알레르기 메커니즘이 규명됐다. 이를 응용하면, 알레르기 질환 예방과 치료제 개발의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폴리감마글루탐산(polyglutamic acid)은 콩 발효 식품인 청국장이나 낫또에 존재하는 균주인 Bacillus subtilis에 의해 만들어지는 끈적끈적한 점액성 물질을 말한다. 면역 활성 성분으로 잘 알려져 있다.
연구팀이 쥐에게 폴리감마글루탐산(polyglutamic acid)을 주사하자 호염구(basophil)의 수가 16시간 안에 감소했다. 호염구는 IL-4(Interleukin-4) 같은 신호 물질을 방출하여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또 다른 면역 세포를 분화시킨다. 하지만, 폴리감마글루탐산(polyglutamic acid)을 주사한 쥐는 호염구가 줄어들었고,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면역 세포를 많이 분화시킬 수 없게 된 것이다.
연구팀이 분석한 결과, 폴리감마글루탐산(polyglutamic acid)은 항알레르기 효과가 활성화된 제1형 자연 살해 T 세포(natural killer T cell)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강화된 제1형 자연 살해 T 세포(natural killer T cell)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호염구(basophil)를 세포 사멸시켰다.
폴리감마글루탐산(polyglutamic acid)에 의해 증가된 면역 반응이 항암 효과. 아토피 피부염. 천식 같은 알레르기 질환을 억제한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져 있다. 그동안 폴리감마글루탐산(polyglutamic acid)에 대한 선천 면역 반응이 Th2(T helper 2) 세포 분화와 같은 후천 면역 반응을 어떻게 억제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았다. Th2(T helper 2) 세포는 알레르기성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세포이다.
연구팀은 폴리감마글루탐산(polyglutamic acid)의 생체 내 자극 후, 빠른 시간 내에 세포 사멸 메커니즘을 통해 호염구(basophil)가 감소하는 것을 발견했다. 호염구의 세포 사멸에 대한 원인을 확인하고, 폴리감마글루탐산(polyglutamic acid)이 T 세포를 매개로 호염구의 수와 기능을 조절함으로써 항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낸다는 메커니즘을 알아냈다.
청국장 발효 물질인 폴리감마글루탐산(polyglutamic acid)의 항알레르기 효과는 세포 분화를 유도하는 알레르기 유발 세포인 호염구(basophil)의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T 세포에 기인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이번 연구는 홍석만 세종대학교 교수팀이 수행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 공공 과학 도서관이 발행하는 과학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2016.04.06일자에 실렸다. 홍석만 교수는 "폴리감마글루탐산(polyglutamic acid)의 항알레르기 조절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다양한 알레르기 질환을 억제하는 약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 남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는 것이 비젼(Vision)이다. ★ 건강 관련 자료 및 혁신적인 문화 소식을 소개하고 공유하고자 합니다. ★ 그래서, → ★ 제4의 생체공학 물결, 회춘! 네이버 밴드로 초대합니다. → http://www.band.us/#!/band/55963286
'건강 (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뇨 환자, 절반이 암으로 판명 (0) | 2016.05.04 |
---|---|
붕어즙의 효능 및 붕어즙 만들기 (0) | 2016.05.01 |
심폐(心肺) 소생술 및 제세동기 사용법 (0) | 2016.02.27 |
물에 타먹는 치매 치료 물질 개발 (0) | 2015.12.11 |
바늘 없는 레이저 혈당 측정기 개발 (0) | 2015.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