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통신

■ 나노미터 넘어 옹스트롬 단위 반도체 소자 구현

마도러스 2021. 8. 3. 01:03

 

■ 나노미터 넘어 옹스트롬 단위 반도체 소자 구현

 

 IBS. UNIST. 포스텍, 차세대 소재 흑린 이용해 실험적으로 제시

 

국내 연구진이 나노미터 단위를 넘어 옹스트롬 수준 초 극미세 반도체 소자를 구현해 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이종훈 그룹 리더와 울산과학기술원(UNIST). 포항공대(포스텍) 공동 연구팀이 차세대 소재인 2차원 흑린을 이용하여 선폭 4.3(옹스트롬. 100억분의 1)의 전도성 채널을 만들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제시했다고 2021 07 30일 밝혔다. 반도체는 회로의 선폭을 가늘게 만들수록 더 많은 소자를 집적할 수 있어 성능을 높이는 데 유리하다.

 

산업계에서는 선폭 5(나노미터·10억분의 1) 정도의 '5나노 반도체'가 최근 상용화에 들어갔다. 2차원 흑린은 두께가 원자 한 층 정도여서 유연하고, 투명한 데다 반도체 신소재인 그래핀과 달리 전기를 통하게 했다가 통하지 않게 하는 등 제어도 쉬워 그래핀을 대체할 차세대 반도체 소자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흑린과 같은 2차원 물질을 실제 소자화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결함 때문에 활용이 어려웠다.

 

연구팀은 다층의 2차원 흑린 각 층에 구리 원자를 삽입한 뒤, 구리 원자가 0.43,  4.3 수준의 미세한 폭을 유지하며, 채널을 만들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원자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해 규명했다. 이렇게 형성된 전도성 채널을 반도체 소자의 전극으로 사용, 반도체의 기본 소자 구조를 1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석우 IBS 연구원(1저자) "현재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방식을 활용하여 응용 효과가 클 것이다. 흑린을 이용하여 나노미터 한계를 뛰어넘는 초 극미세 소자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2021 07 29일 표지 논문으로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