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 간염 바이러스 제거 단백질 발견
B형 간염 바이러스 제거 단백질 발견
국내 연구진이 만성 간염의 주원인인 B형 간염 바이러스(HBV)를 제거하는 단백질을 새롭게 발굴했다. 한국연구재단은 김균환 교수. 김두현 박사. 박은숙 교수(건국대학교) 연구팀이 사람의 간세포를 이용해 B형 간염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신규 단백질을 발견하고, 그 제거 원리를 규명했다고 2018년 08월 23일 밝혔다. B형 간염 바이러스는 만성 간염, 간경화, 간암의 주범이다.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우리 몸에서는 사이토카인(Cytokine) 등이 분비되어 바이러스를 제거한다. 이 때 사이토카인이 어떤 단백질을 통해 항바이러스 효과를 일으키는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사이토카인(Cytokine)은 세포로부터 분비된 후, 세포 자신이나 다른 세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단백질로서 인터페론(interferon), 인터루킨(interleukin), 종양 괴사 인자(tumour necrosis factor) 등이 포함된다. 연구팀은 사이토카인(종양 괴사 인자 및 인터페론)에 의해 인터루킨-32라는 단백질이 만들어지고, 이것이 바이러스 제거에 관여하는 일련의 원리를 발견했다.
인터루킨-32 (interleukin-32)는 바이러스의 전사와 복제를 직접 막아내는 강력한 항바이러스 단백질이다. 기존의 다른 인터루킨들과 전혀 달리 외부에 분비되기 보다 간세포 내부에서 신호 전달을 조절함으로써 바이러스를 제거한다는 점이 새롭게 규명됐다. 이번 연구는 인터루킨-32가 바이러스성 간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는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으며, 향후 만성 B형 간염의 치료제 개발에 이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는 설명이다.
김균환 교수는 “종양 괴사 인자와 인터페론-감마가 어떤 단백질을 매개로 B형 간염 바이러스를 간세포 손상 없이 제거하는 지에 대한 분자적 기전을 구체적으로 밝힌 것은 향후 만성 B형 간염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며, “수년간 지속적인 치료제 개발에 대한 다각도 노력의 결실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성과는 과학기술 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2018년 08월 16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